각종 볶음, 조림, 고기 양념 등등
레시피없이...기준이 있나요?
요리 초보는 너무 힘드네요...ㅠ.ㅠ
각종 볶음, 조림, 고기 양념 등등
레시피없이...기준이 있나요?
요리 초보는 너무 힘드네요...ㅠ.ㅠ
제가 항상 음식을 할때 생각하는게 이 음식이 달콤짤잘한 음식인가 아닌가를 따져요.
보통 국물요리가 아닌 양념 볶음 요리는 간장+ 설탕 + 마늘의 조합이죠...
여기에 매운맛을 더하냐 아니냐의 차이
양념갈비나 조림 등의 요리가 여기에 해당합니다.
양념고기나 조림등은 전체 짠맛의 대략 절반을 단맛으로 하면 실패가 없더라고요.
매운맛에도 짠맛과단맛이 포함되어있으니 (고추장등요) 잘 계산하셔야 하고요..
고추장이 들어가는 얼큰한 찌개나 얼큰한 볶음 찜 등의 요리는 고추장분량을 조금 줄이고 절반은
고춧가루로 합니다. 그럼 개운하고요.
고기요리에는 술을 꼭 넣고 단맛이 포함되는 고기요리는 요리술 씁니다.
다른 재료도 무게당 비슷한 간장량
그게 소금 농도로 1~2%(우리가 먹는 음식의 소금 농도)
간장:소금은 15:2
어느순간 저절로 잘하게 되요
일단은 레시피 보면서라도 자주요리해보세요
전 레시피를 봐도 계량은 제맘대로 해요.
일단 이런이런 양념 재료가 들어가는구나 정도를 파악하신 후에
맛을 보면서 추가하심 되는겁니다.
넘 어려워 마세요~
한식조리 셤 수업들을 때
고기양념
간장 설탕 파 마늘 후추 깨 참기름
이걸 간장대신뭐 고추장 혹은 고춧가루 아님 두개합쳐서
글코 ㅣ번거의반을 단맛양으로 항상
설탕 대신 다른 것으로도..
원글님, 지름길을 알려달라는 건데..... 요리에는 지름길이 없어요. 지름길이 있다면 그 많은 요리책과 요리 프로그램이 아직까지 팔리겠나요? 이미 정리 끝났겠죠.
저도 몇 가지 수칙을 적어 드리겠지만 그것도 진리는 아니고, 수 년간 요리해 보면서 익힌 거지 저절로 생긴 게 아니거든요. 그러니 원글님도 요리를 많~~이 해 봐야 그 노하우가 자기 것 된다는 거죠.
그래도 몇 가지 적어 드릴게요, 쉬운 요리책 사서 따라해 보면서 배우세요.
- 제철 재료들로 장을 본다. 쌀 때 사면 좋은데 단, 먹을 수 있는 만큼만 본다.
- 기본 양념을 잘 갖춰 두고 특이한 양념은 웬만하면 사지 마라... 그거 끝까지 다 쓰는 사람 별로 없다.
- 기본 양념이란? 1. 간장 고추장 된장 마늘 파 소금 설탕 참기름 들기름 식용유 식초 /2. 양파 요리용 엿(물엿) 요리용 술(맛술) 후추 생강 등... : 2번이 좀더 덜 필수인 양념들
- 채소는 단단한 것부터 익힌다 : 예 - 당근이나 감자, 브로콜리는 부드러운 것보다 먼저 넣고 볶기. 그래야 다같이 제때 익으니까.
- 고기는 잡내 빼고 연육 과정 거치거나 밑간을 한다 : 고기는 맛있지만 잡내나 핏물이 맛을 망치는 경우가 있어요. 그걸 잘 빼야 되고, 덩어리 고기는 연육을 해야 하는 경우가 많고, 거의 모든 고기 요리는 밑간을 제대로 하면 맛이 달라져요. 심지어 김치전에도 밑간한 돼지고기를 넣으면 맛이 확 다르게 맛있어요.
- 웬만한 건 간만 맞으면 맛있다 : 감자+양파에 소금 후추 뿌려 볶아 보세요. 맛있어요. 브로콜리 볶다가 소금 후추 뿌려 보세요. 그것도 맛있어요. 거기에 밑간한 닭가슴살 한 개 찢어넣어 볶아 보세요. 내가 반찬의 신 같아요. 단, 너무 신나서 소금 뿌려뿌려 막 쉐킷쉐킷 하면 짜요. 간은 잘 맞아야지, 짜다고 맛있는 게 아니에요.
(참, 후추는 통후추를 갈아 쓰면 좋아요. 향이 달라요.)
- 해산물은 속까지 잘 익어야 하지만 너무 익히면 질겨지는 경우가 많다 : 소라, 조개, 오징어 종류, 이런 거 다 오래 익으면 질기고 물 빠져서 맛이 없어요. 적정 시점을 찾아야 함. 생선은 속까지 푹 익어야 하구요.
- 채소는 그 때 그 때 조금씩만 사고 고기 종류는 많이(혼자 산다면 한 근도 많은 거임) 사도 된다. 사서 반드시 한 번 먹을 만큼 나눠서 뭔지 써서 냉동할 것.
- 나물은 어렵지 않다. 거의 뭐든 다듬어서 데쳐서 간을 하면 먹을 수 있다. 간을 하는 재료는 소금/ 간장/ 된장/ 고추장. 이 중에 하나로 간을 한다 생각하고 참기름이나 들기름 중 하나, 그리고 마늘이 들어가는 경우가 많음.
대강 적어 봤어요. 저도 반찬 하기 막막해서 82 굴러들어왔던 사람인데요. 레시피 무지무지하게 많이 봤어요. 다 해 보기 어려우면 읽어보기라도 하세요. 그것도 도움 됩니다. 어떤 재료가 어떤 요리법으로 어떻게 요리되나, 무엇과 어울리나, 보통 푹 끓이나 살짝 익히나...... 이런 거 수백 번 보다 보면, 나중에는 냉장고에 굴러다니는 짜투리 채소 가지고도 그럴싸한 반찬이 나옵니다.
그리구요. 제일 좋은 요리는 재료 본연의 맛을 거의 그대로 살려서 먹는 것 같아요. 생채소 썰어 드셔도 좋고요. 간은 최소한으로, 요리과정은 복잡하지 않게 상큼하게 금방 끝나는 걸로, 그렇게 해서 드세요. 충분히 영양식 만들 수 있어요.
요리비법 저도 참고 할께요^^
도움되네요~
번호 | 제목 | 작성자 | 날짜 | 조회 |
---|---|---|---|---|
282286 | 이거 방산시장에서 팔까요? 5 | . | 2013/08/03 | 1,501 |
282285 | 다이어트 한약 11 | 빠빠빠후 | 2013/08/03 | 2,545 |
282284 | 코스트코 상품권 3 | 기간 | 2013/08/03 | 1,793 |
282283 | 답좀 가르쳐 주세요...? 2 | 궁금이 | 2013/08/03 | 832 |
282282 | 본격적인 더위가 시작 된건가요 3 | ... | 2013/08/03 | 1,571 |
282281 | 피부과에서 피지뭉친것도 뽑아주나요? 2 | 아웅 | 2013/08/03 | 6,729 |
282280 | 오토비*물걸레요 무선이랑 유선이랑 기능은 같은가요 2 | 후리지아 | 2013/08/03 | 1,276 |
282279 | 모텔 출입 불륜女 촬영 사생활 조사 2명 징역형이라니 6 | 호박덩쿨 | 2013/08/03 | 2,706 |
282278 | 코스트코에서 산 티요..우유에 타니 정말 요플레되네요. 7 | 우유 | 2013/08/03 | 4,221 |
282277 | 아이들 데리고 가 볼 인사동 근처 코스 추천해주세요. 1 | 방학 | 2013/08/03 | 1,220 |
282276 | 칼국수에 얹어먹는 빨간다대기 뭐뭐 넣어야 하나요 10 | 급해요 | 2013/08/03 | 3,295 |
282275 | SK텔레콤 단문메세지 확대된거 아세요? 5 | SMS | 2013/08/03 | 1,979 |
282274 | ‘국정원 규탄 촛불집회’ 한달새 5백→2만5천명…오늘은? 9 | 샬랄라 | 2013/08/03 | 1,889 |
282273 | 홍삼액 코스코 꺼 어떤가요 | 너무더워 | 2013/08/03 | 821 |
282272 | 옥수수 박스로 선물받는거 좋으세요? 22 | 싫다 | 2013/08/03 | 2,718 |
282271 | 경찰대 출신이 말하는 경찰대 - 1 12 | 경찰대 | 2013/08/03 | 21,055 |
282270 | 조문갈때 복장문의입니다 13 | 여름 | 2013/08/03 | 7,220 |
282269 | 몇몇 의사들 정말 양아치 짓은 다하고 다니는군요. 15 | ㅡㅡ | 2013/08/03 | 4,785 |
282268 | 꽃보다 할배에서 한지민 안나오나봐요. 25 | .... | 2013/08/03 | 7,432 |
282267 | 원로 사제의 일갈 “공동선 파멸에 침묵은 죄” 2 | 샬랄라 | 2013/08/03 | 1,089 |
282266 | 뉴트리라이트 프로틴 파우더... 유통기한 어떻게 알수있나요? 1 | ... | 2013/08/03 | 1,571 |
282265 | 로이킴 새자작곡 가사 19 | 이정도면 | 2013/08/03 | 4,047 |
282264 | 어제 아스퍼거 글 올린 원글이입니다.. 20 | .. | 2013/08/03 | 6,612 |
282263 | 진주시장 1인시위-치사한 서울시... 29 | 행운보다행복.. | 2013/08/03 | 1,417 |
282262 | 더워요!!! 4 | 서울더위시작.. | 2013/08/03 | 86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