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이래도 성적이 좋으면 칭찬해줘야하는건가요?

엄마 조회수 : 1,766
작성일 : 2013-07-19 18:17:32

중1 저희 아이가 꼬리표라는걸 가지고 왔는데요

잘했길래 애 많이 썼다고 했는데 아이는 이 꼬리표를 청소할 때 없어질까봐 만지지 말라며

귀하게 생각하네요

사실 아이가 평소에는 공부 안하다가 시험 때만 벼락치기해서 잘하는거라 오히려 전교등수가 아이에겐 독이 되는거 같고

한계가 올거라는 생각이 들어 걱정스러운 마음에 칭찬에 인색하긴 했어요

지금도 하교하고 스마트폰 만지작거리다 자네요

한참 클 때라 많이 자는것도 이해하는데 ..

학원을 보내야 하나 싶고

학교 갔다와서 학원 가고 학원 숙제까지 하는게 너무 자유시간이 없는거 같고

오히려 집중력만 떨어지는거 같았는데 벼락치기로 전교등수는 좋아도 그게 네 실력이 아니라고 하면

수긍하고 자기 생활태도의 문제점도 다 깨닫는데 행동은 안바뀌네요

원래 이 맘 때 이렇게 많이 자는건가요?

 

IP : 211.219.xxx.152
6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그정도면
    '13.7.19 6:22 PM (180.65.xxx.29)

    엄청 착한 아이 같은데요. 어른도 자기 생활태도 문제점 깨닫는 사람 별로 없고 깨달아도 행동 바뀌는 사람 그다지 본적이 없는데 부모도 완벽하지 않는데 중1딸에게 너무 기대를 하시는건 아닌지요

  • 2. 마블녀
    '13.7.19 6:22 PM (42.82.xxx.97)

    음..제 자식이 그러면 칭찬 크게 안해줄것 같네요.
    이래서 전교등수의 함정이라는게 있다고 보네요.
    아는애가 그래요.
    시험기간.그것도 길지도 않아요
    딱 10일동안 하는데 계획 딱 세워서 미친듯이 해요.
    12까지 완전 초집중.그러고 자고 학교갔다가 와서 또 하고.
    그땐 학원도 안가요..
    그러고 이번에 전교 10등언저리..

    그런데 그 학교가 전반적으로 잘하는애들이 많지 않은건 맞지만 그럼에도 그건 놀라운일이죠.
    그러나 그 아이 공부를 봐주면서 항상 느끼는건 딱 이정도 밖에 알지 못하는데 알고 있는 것 십분 발휘하는데다가 더 나아가 시험치는 요령이라고 해야 하나.답을 딱 아는 그런 능력이 있더라구요
    보통 모를땐 애들인 참 애들수준에서 답을 찍는데. 이애는 왜 이런게 답이 되는지.그 흐름을 알더라구요
    머리가 그런쪽으로 기똥차요.
    그러나 수학이나 영어나 전반적으로 잘하는애들과는 실력에서 차이가 나더라구요.
    그럼에도 성적은 잘 받아와요.

    이런경우 고딩가서 어떻게될지 아무도 판단못하는애들이 되는거죠.

    중학교땐 실력을 키우는게 맞거든요.

  • 3. ^^;
    '13.7.19 6:26 PM (112.149.xxx.152) - 삭제된댓글

    제 아이도 원글님과 비슷했어요.
    사실,
    학원 다니지 않는 아이가 시험 기간도 아닌 때에 알아서 예복습하는 것은 드물지요.
    저도 아이와 많이 얘기도 해보고 했는데요,
    결국은
    아이가 평상시의 꾸준히 공부가 필요하다고 느끼지 않는한
    그것은 엄마의 욕심으로만 비춰지더군요.

    저는,아이가 시험기간에만 벼락치기 한다고 생각했는데,
    그게 또 과목이 많아지니까
    거의 3주간이 되더군요.
    학원 다니는 아이들도
    평상시 집에서 공부하는 것은 학원 숙제이지,
    개인적인 주도학습은 아닌 것 같구요.

    여하튼,
    시험기간에라도 집중해서 열심히 공부해서 좋은 결과 나왔으니
    많이 칭찬해 주세요~^^

    참!
    잠 많은 건...
    쭉 그렇다고 보시면 될 듯..
    사춘기(특히 여자아이들)때 유난히 잠을 많이 자더군요^^;

  • 4. 저요..
    '13.7.19 6:34 PM (211.234.xxx.128)

    제가 중고등때 벼락치기로 성적 잘나온 사람인데요 이건 별로 칭찬할 거리는 못된다고 봐요..그냥 꾸준히 하는것의 중요성을 그때도 알긴했지만 시작을 어찌해야할지 잘 몰랐던것 같기도 하고..그러다보니 고등때는 많이 불안했어요.할것도 너무 많고..지금이라도 학원이라도 보내서 꾸준히 하게끔 잘 대화나눠보세요.아이의 잠재력은 이미 확인된거니까 아이에게 확실한 동기부여만 되면 차근차근 공부해서 성적이 더 탑이 될것 같아요.아이에게도 그 사실을 반드시 이야기해주시구요.화내거나 하면 반발만 심해지니까 화내지말고 얘기해보세요.

  • 5. .....ᆞ
    '13.7.19 6:45 PM (39.7.xxx.149)

    중학생인가요?
    진짜 공부머리 있으면 고등가서도 크게 지장없이 할겁니다.
    하지만 딱 중등 머리일 경우 고등가서 노력이 필요한 경우가 생기면 어려워질수 있죠.

    아이에게 결과보다 과정이 중요함을 깨우쳐 줄 필요는 있어요.
    같은 교실에서 몇배의 노력을 하고도 훨씬 못한 성적을 받은 아이들이 분명히 있거든요. 그 아이들이 결코 실패자가 아니고 언젠가는 그 중에는 노력으로 네 앞에 설 아이가 있다는것도 얘기해 주시고요. 실제로 그리 되거든요.

  • 6.
    '13.7.19 8:48 PM (211.219.xxx.152)

    중학생 남자아이에요
    우연히 만난 과학고 다니는 형한테 어떻게 공부하냐고 물어봤는데 자기 공부태도가 문제가 있다면서
    엄마 말이 맞다면서 반성하고 다르게 생활하겠다고 그러더니 하교하고 쉬다가 자다가 밥 먹고 다시 쉬다가 일찍 자네요
    오늘은 주말이라 자다가 밥 먹고 스케이트 타러 갔어요
    학원도 많고 교육열도 센 동네라서 실력 있는 아이들도 많아요
    학원을 보내서 경험을 하게 해줘야할거 같아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284151 사람과 거리두고..불편해하는 성격은 어찌고치나요 10 2013/08/10 4,442
284150 여름철에 체력을 보충하는 조화로운 음식, 보양식 스윗길 2013/08/10 1,156
284149 입시점수 같은 걸 떠나, 예체능하는 여자들이 이런 경향은 좀 있.. 26 예체능 2013/08/10 7,970
284148 메실씨로 베게만드는거 6 .... 2013/08/10 1,290
284147 오늘 촛불집회 가길 정말 잘했다는 생각이 들어요 26 너누구야 2013/08/10 3,396
284146 알포인트 지금 하네요~ 8 공포영화 2013/08/10 2,120
284145 서귀포 부근 갈치조림 맛집 알려주세요 4 서귀포 2013/08/10 2,776
284144 증상 좀 봐주세요 ㅠㅠ 2 초등아이 피.. 2013/08/10 1,112
284143 옥수수 보관할때 어떻게 해야하나요? 11 보관질문 2013/08/10 3,211
284142 여행복장 1 5학년 0반.. 2013/08/10 1,488
284141 시골의사 책 보니까 6 2013/08/10 3,434
284140 싸이시청공연과 0810시청집회의 규모 비교.jpg 14 참맛 2013/08/10 3,387
284139 유기 국.밥그릇 하나씩만사고자하는데 1 어디서 2013/08/10 1,033
284138 콩국수 견과류나 깨 넣으세요? 3 개취 2013/08/10 1,345
284137 락테올대신할 약은 뭔가요? 5 우짜지 2013/08/10 958
284136 오늘 그것이 알고싶다.. 신분을 완벽히 속이고 결혼한 아내..... 11 ,,, 2013/08/10 11,734
284135 세상이 어떻게 돌아가는건지.. 3 황당 2013/08/10 1,310
284134 죽전.오리 근방 콩국수 맛집 아시는 분~ 2 .. 2013/08/10 1,176
284133 가족없이 홀로 여행하신다면 어떤계획을 가지시겠어요? 5 전업11년차.. 2013/08/10 1,080
284132 집을 나왔다 9 불꽃 2013/08/10 2,546
284131 군대 재검 두둥 2 ... 2013/08/10 1,902
284130 집에서 샤워가운 입고 욕실에서 나오시는 분... 31 어디 2013/08/10 32,047
284129 시청앞에 못 가신 님들을 위해 올립니다 4 손전등 2013/08/10 1,383
284128 촛불 집회 사진 대단하네요 3 ㅇㅇ 2013/08/10 1,901
284127 전기렌지 사용하시는 분들께 조언을 구합니다.-특히 독일제 사용중.. 8 새로이 2013/08/10 4,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