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독서이력이 중요한가요?

지니맘 조회수 : 1,559
작성일 : 2013-06-29 10:23:48
딸이 중2입니다. 학교 생활기록부에 독서 활동란이 잘 정리되어 있어서 별 생각이 없었는데, 주위에서 독서지원스템에 독서록을 써야 대입에 유리하다고 초등학생때 부터 해야한다고들 합니다. 이미 대학생 자녀를 두신분들은 어떠셨나요? 대학입시에서 (특히 입학사정관제) 독서 이력이 중요했나요? 소중한 조언 부탁드립니다~~
IP : 211.176.xxx.45
8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독서
    '13.6.29 10:43 AM (125.177.xxx.5)

    지원시스템 대학에서는 아직 활용하지 않습니다. 이 시스템이 에듀팟의 일환인데,

    올해 기준으로 어느 대학도 에듀팟 기록으로 학생을 평가하지 않습니다.

    그것보다는 학생부 기록이 훨씬 중요합니다. 그리고 대입에는 고등학교 재학 시절의 기록만 활용됩니다.



    중학교 시절 기록은 고입(외고, 과학고 등)에 필요하겠지요. 이 경우에도 역시 학생부 기록이 훨씬

    중요합니다.

    다만, 독서기록을 체계적으로 남기고 관리하는 습관을 들이는 데는 도움이 되겠지요.

  • 2. 그리고
    '13.6.29 10:46 AM (125.177.xxx.5)

    수정 안 되어서 다시 댓글로 답니다.

    입사관제에서 '독서기록' 중요합니다.

    교외상, 학교장 허락 없는 교외 활동 모두 학생부에 기록할 수 없기 때문에

    보통 4~6문항인 자소서 질문에 독서에 관한 문항이 꼭 들어 있고, 그 근거 기록이

    바로 학생부의 독서기록입니다.

  • 3. 지니맘
    '13.6.29 10:55 AM (211.176.xxx.45)

    감사합니다. 그럼 아이가 독서감상문이나 그외 쓰는 글들을 그냥 일반 파일에 보관만 하고 있는데요. 이 파일 자체도 유용할까요?

  • 4. 특목고
    '13.6.29 11:04 AM (125.177.xxx.5)

    진학 생각하고 계시면, 좀 도움이 될 수도 있는데요. 이번 방학부터라도 독서지원시스템에 입력해 놓으세요.

    아주 간단하게만 해놓아도 됩니다. 그리고 독서에서 중요하게 보는 건 '얼마나 많이 읽었냐?'가 아니라

    '그 책이 너에게 어떤 영향을 주었느냐?'입니다. 즉, 어떤 책을 읽고 어떤 생각을 하게 되어서

    삶의 태도 혹은 진로가 바뀌었거나 결정되었느냐 하는 점입니다.


    권수에 연연하지 마세요.

  • 5. 지니맘
    '13.6.29 11:07 AM (211.176.xxx.45)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다시 한번 감사드립니다. 방학동안 입력해 보겠습니다~~

  • 6. 독서교육종합지원시스템은
    '13.6.29 11:30 AM (183.98.xxx.18)

    앞으로 입사관제에 활용될 일이 없을거예요.
    영미 선진국에서는 도서대출기록도 개인정보입니다.

    애초에 무지한 정책입안자들이 입사관제에 반영하겠다고 엄청난 예산을 들여 만든 시스템이지만
    뒤늦게 교수 및 독서전문가들의 의견 반영하여 반쪽짜리 시스템이 되었어요.
    우리나라같이 사교육 시장이 모든 것을 대체하는 곳에서는 더더욱 위험해요.
    독후감 대신 써서 입력해 주기도 하거든요..

    저라면 독종에 입력하지 않고 그 시간에 책을 더 읽도록 해주겠습니다.

  • 7. 지니맘
    '13.6.29 11:36 AM (211.176.xxx.45)

    저도 폐지 되기를 바랍니다. 한가지도 힘든데 이렇게 다 해야한다면 아이도 부모도 힘들고, 글써주는 알바생도 생길것 같네요~~

  • 8. 전체적
    '13.6.29 1:45 PM (125.177.xxx.5)

    맥락에서 파악하시는 게 중요할 것 같습니다.

    윗님(독서교육종합시스템님) 의견도 맞는 말씀입니다만, 이명박 정부의 이주호 장관이 추진한 입사관제의

    토대가 에듀팟이었고, 학생당 할당해줄 수 있는 용량이 제한되어 있다 보니, 독서 부분을 따로

    독서교육종합지원 시스템으로 떼어내기로 변경이 되었습니다.(2년 전쯤)

    하지만, 대학의 입학 담당자들이 이 자료를 활용하지 않게 되면서 의미가 크게 축소되었지요.

    그래도 학생 개인의 입장에서는 꼭 입학에 활용하겠다는 생각보다는, 독서 기획이나 정리라는 가벼운 의미로

    생각한다면 도움이 되는 면이 있습니다.

    참고로, 작년(2013학년도) 서울대 자기소개서의 독서 관련 항목을 소개해 드릴게요.

    독서를 어떤 의미로 보고 있는지 짐작해 볼 수 있지 않을까 싶네요.


    5. 고등학교 재학 기간 또는 최근 3년간(단, 초등학교, 중학교 재학 기간 제외) 읽었던 책 중 자신에게

    가장 큰 영향을 준 책을 3권 이내로 기술하여 주십시오.

    * '선정 이유'는 각 도서별로 띄어쓰기를 포함하여 500자 이내로 작성해야 합니다.

    * '선정 이유'에는 단순한 내용 요약이나 감상보다는 읽게 된 계기, 책에 대한 긍정적 또는 부정적 평가,

    이 책이 자신에게 준 영향을 중심으로 기술하면 됩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271130 이제야 마당을 나온 암탉 봤어요 14 초록이 2013/07/03 1,978
271129 장기출장...하얏트? 아니면 레지던스? 5 게자니 2013/07/03 1,109
271128 통영여행같이 가실분 찾아요! 4 여행 2013/07/03 1,525
271127 컴퓨터에 소리가 들리지않아요 2 꾸벅 2013/07/03 338
271126 방화유리 설치 하신 분 계신가요? 1 아휴 2013/07/03 498
271125 지나가다 언듯 본 가방이 생각나네요 7 가방 2013/07/03 1,447
271124 오늘 너의 목소리가 들려 어찌 전개중인가요? 10 수하야ㅠ 2013/07/03 3,760
271123 라코스떼빨강원피스여 2 2013/07/03 1,661
271122 오로라공주에서 전노민이 기획사 어떻게 들어간거에요? 9 궁금 2013/07/03 3,138
271121 티비장식장 어디서 구입하나요? 1 2013/07/03 516
271120 베트남 호치민 호텔 추천해주세요 lemont.. 2013/07/03 759
271119 모유수유에 관해 고민하다 씁니다. 18 별로 좋은 .. 2013/07/03 2,848
271118 팔뚝살 어떻게 빼셨는지 공유좀 해주셔요~~~~ 8 뚜기 2013/07/03 4,126
271117 왜 자기 자식은 가르치기 힘들까요? 22 아.. 2013/07/03 3,590
271116 소매없는 옷 입고 운동하시는분들 겨땀은 어찌하나요? 4 Zzz 2013/07/03 2,194
271115 조언좀 주세요.. 워터픽사려는.. 2013/07/03 242
271114 40넘으면 눈에 노화가 와서 눈물이 잘 맺히나요? 2 안과는? 2013/07/03 1,529
271113 [도와주세요]CS5작업하던파일을 모르고 닫았는데 어떻게 부르나요.. 2 2013/07/03 366
271112 서해안 평화지역 구상은 현대사의 최고의 걸작품 4 평가 2013/07/03 555
271111 7월 8월 20키로 (3일째) 7 7월8월 2.. 2013/07/03 1,288
271110 당근, 시급치, 감자, 표고버섯, 냉동 가능할까요? 2 2013/07/03 1,250
271109 인견에 대해 잘아시는분 7 우주맘 2013/07/03 1,874
271108 운동하러갈까요? 말까요? 1 고민녀 2013/07/03 632
271107 참외는 먹어봐야 본전이란말 6 ㅇㅇ 2013/07/03 3,516
271106 팔살때기의 최강자 운동은 뭘까요?? 1 너무 두꺼운.. 2013/07/03 1,2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