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아이의 수학 수준이 궁금합니다

어떤지요 조회수 : 1,088
작성일 : 2013-06-26 22:37:45

아들이 6학년이에요.

나름 수학 머리 있다는 얘기는 좀 들어왔지만 아직 잘한다 못한다 확신하기에는 어린 나이라

그리 의미를 두진 않고 있었어요.

그런데 얼마 전에 아이가 진학 예정인 근처 중학교 1학년의 지난 중간고사 수학 시험지를 얻게 되어서

한번 테스트나 해보자 하는 생각에 시험 시간 똑같이 주고선 풀어보라 했습니다.

채점 기준표 보고 채점해보니 서술형 5점짜리에서 마지막 정답 내는 과정에서 계산을 잘못 하여

틀린 것 외에는 다 맞았더라고요. (과정이 거의 맞았으나 그냥 틀린 걸로 하여 총 95점이라 매겼어요)

물론 진짜 시험과는 긴장도나 다른 면에서 변수가 있을 수도 있겠지만

그 중학생 형 학급에서는 수학 1등의 점수가 93점이라 들었던 터라

6학년이 이 정도면 꽤 잘했다 해도 될 점수인지, 그리고 이 정도면 선행을 좀 더 빼도 될런지 궁금하네요.

현재 중1-2학기 공부하곤 있는데 평소에 별로 열심히 하는 아이가 아니어서

구멍이 많지 않을까 염려하던 차거든요. 솔직히 실력이 어느 정돈지도 제대로 모르고 있구요.

주위에 조언을 구할 사람이 없어 한번 여쭤 봅니다.

 

 

 

IP : 211.179.xxx.254
6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행복하게
    '13.6.26 10:58 PM (125.178.xxx.171)

    아직은 모르죠.....한학년 위 문제풀었다니 우선은 중간이상이긴 하나..

    경시대회 성적이 어느정도 나오느냐가 제일 중요하죠

  • 2. 일단은..
    '13.6.26 11:09 PM (60.197.xxx.160)

    재능이 있다고 믿어도 되겠습니다.

    헌데 선행은 스스로 나간 건가요 아니면 학원 선행인가요?

    스스로 공부해나가는 선행이라면 계속 앞으로 나가는 것이 필요합니다.

    단 억지 선행은 의미 없음.

    주의할 것은 선행을 하되 심화를 병행하면서 해야 되고 배우는 내용을 말로 설명할 수 있어야

    제대로 된 선행이라는 사실을 명심해야 합니다.

    그외에 교과서 밖의 수학 ( 사고력 수학, 경시수학 ) 도 병행하는 것이 추가되면 좋겠습니다.

    그리고 문제풀이 외에 수학독서를 권해드립니다. 다양한 방식으로 수학을 접하는 것이 좋습니다.

  • 3. 선행을
    '13.6.26 11:12 PM (1.228.xxx.155)

    해서 잘한다면. 중1과정을 배웠다면
    그점수 나올수도 있죠.
    문론 잘하는거맞죠.
    안배우고 그렇게 맞았다는건가요?

  • 4. 아이는 현재
    '13.6.27 12:28 AM (211.179.xxx.254)

    주 3회 가는 학원에서 중학교 내용 공부하고 있어요.
    그런데 제가 게으르기도 하고 공부는 본인 스스로 알아서 해라, 하는 주의라
    별 신경을 안 쓰고 있었거든요.
    또 학원 선생님이 한번씩 전화 주셔서 잘한다고 하시니 그러려니 하고 있었던 거죠.
    어려서부터 책은 좋아해서 수학 관련책도 꽤 많이 읽었구요(현재도요)
    경시는 외부 것은 경험이 없고 교내 경시는 항상 최상위 점수를 받는 편입니다.
    교육청 경시 대회 학교 대표로 뽑히는 수준은 되구요.
    헌데 요즘 워낙 수학 잘하는 아이들이 많다 해서
    그렇담 저희 아이는 대체 어느 정도인 걸까 궁금한 차에 시험지를 풀려봤던 거랍니다.

  • 5. 상위권이
    '13.6.27 2:04 AM (121.161.xxx.204)

    되려면 현재 진도 정도로는 어렵죠.
    6학년 이라면 최소 중2 내지는 중3 하고 있어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경시가 불가능하죠. 물론 심화가 병행된 선행이어야 합니다.
    심화를 강조하는 이유는 대충 진도나가는 선행은 공식을 기계적으로 외워도 풀어지는 문제를 다루지만
    심화문제를 풀면서 나가려면 자신의 창의적인 노력이 더해져야 풀어지는 문제를 다루게 되고 그러면서
    사고력을 키울 기회를 갖게 되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신경을 안 쓰신다 하셨는데 구체적인 관심이 필요합니다. 간섭하라는 것이 아니라 어떤 문제를 풀고 어떤 문제는 틀리는 상황인지 부모님이 인지하고 있는 것은 필수라 생각합니다.구체적인 관심이 아이가 정체에 빠지거나 시행착오를 겪는 시간을 줄어줄 수 있거든요.

  • 6. 진단
    '13.6.27 11:00 AM (183.96.xxx.208)

    전국구 경시대회 참여해서 객관적 평가를 받아보세요
    성대경시나kmc정도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269090 다음에 아주 장ㅇㅈ 외가쪽 악플이 넘쳐나네요 4 2013/06/28 2,448
269089 국정원 땜에 열받아서 돈이 굳네요. 지름신 날라.. 2013/06/28 811
269088 가방 문의 Novemb.. 2013/06/28 365
269087 연예병사 천태만상 근무실태라네요. 3 ... 2013/06/28 1,993
269086 대장내시경약 포카리스웨트에 타먹어도 되나요? 5 아녜스 2013/06/28 8,612
269085 친박 홍문종 사무총장 “민주당 나라 팔아먹을 사람들” 막말 5 세우실 2013/06/28 564
269084 . 자궁 개복수술하고 회복중입니다. 10 산부인과 2013/06/28 10,198
269083 오늘 저녁 전국에서 촛불시위 있는거 아시죠? 10 이팝나무 2013/06/28 1,206
269082 장윤정씨 드레스 예쁘네요.. 6 ... 2013/06/28 2,587
269081 항공 마일리지 모으기 좋은 카드는 무엇인가요? 6 음.. 2013/06/28 1,822
269080 이렇게 말하는 인간 속뒤집어집니다! 2 관찰 2013/06/28 1,027
269079 씽크U수학에서 수학시험 실험 영상을 만들었네요...ㄷㄷ 2 그래서그랬던.. 2013/06/28 563
269078 아기낳은지 삼년만에 헬쓰 시작해요. 1 ... 2013/06/28 580
269077 간호사 vs 간호조무사 54 사과공주 2013/06/28 7,255
269076 대출받아 아파트를 사보려고 하는데요. 질문있습니다.T.T 7 유미님 2013/06/28 1,727
269075 밀크글라스 그릇 아시나요?? 4 밀크 2013/06/28 1,923
269074 은행 이율 전망이 어떨까요? 4 장기 2013/06/28 1,801
269073 영어학원을 두달 쉬면 집에서 어떻게 공부를 할까요? 3 초6 2013/06/28 991
269072 공구중인 코스타베르데, 뉴웨이브랑 색감 맞을까요? .. 2013/06/28 373
269071 테팔 해피콜 둘중에 어디가 낫던가요? 13 후라이팬 2013/06/28 6,171
269070 예술의 전당 차이콥스키발레 6만원짜리 2만원에 가실분? 7 발레 2013/06/28 1,430
269069 첫사랑을 우연히 만났어요. 4 살다보니 2013/06/28 3,527
269068 직계가족 돌잔치 할만한곳... 4 애엄마 2013/06/28 7,942
269067 상체(복부) 비만 체형에 어울리는 치마 스타일이 있을까요? 4 ... 2013/06/28 2,772
269066 두돌 애기가 이런다면 걱정을 해봐야 할까요? 1 사회성문제 2013/06/28 6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