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Banner

아이의 수학 수준이 궁금합니다

어떤지요 조회수 : 1,104
작성일 : 2013-06-26 22:37:45

아들이 6학년이에요.

나름 수학 머리 있다는 얘기는 좀 들어왔지만 아직 잘한다 못한다 확신하기에는 어린 나이라

그리 의미를 두진 않고 있었어요.

그런데 얼마 전에 아이가 진학 예정인 근처 중학교 1학년의 지난 중간고사 수학 시험지를 얻게 되어서

한번 테스트나 해보자 하는 생각에 시험 시간 똑같이 주고선 풀어보라 했습니다.

채점 기준표 보고 채점해보니 서술형 5점짜리에서 마지막 정답 내는 과정에서 계산을 잘못 하여

틀린 것 외에는 다 맞았더라고요. (과정이 거의 맞았으나 그냥 틀린 걸로 하여 총 95점이라 매겼어요)

물론 진짜 시험과는 긴장도나 다른 면에서 변수가 있을 수도 있겠지만

그 중학생 형 학급에서는 수학 1등의 점수가 93점이라 들었던 터라

6학년이 이 정도면 꽤 잘했다 해도 될 점수인지, 그리고 이 정도면 선행을 좀 더 빼도 될런지 궁금하네요.

현재 중1-2학기 공부하곤 있는데 평소에 별로 열심히 하는 아이가 아니어서

구멍이 많지 않을까 염려하던 차거든요. 솔직히 실력이 어느 정돈지도 제대로 모르고 있구요.

주위에 조언을 구할 사람이 없어 한번 여쭤 봅니다.

 

 

 

IP : 211.179.xxx.254
6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행복하게
    '13.6.26 10:58 PM (125.178.xxx.171)

    아직은 모르죠.....한학년 위 문제풀었다니 우선은 중간이상이긴 하나..

    경시대회 성적이 어느정도 나오느냐가 제일 중요하죠

  • 2. 일단은..
    '13.6.26 11:09 PM (60.197.xxx.160)

    재능이 있다고 믿어도 되겠습니다.

    헌데 선행은 스스로 나간 건가요 아니면 학원 선행인가요?

    스스로 공부해나가는 선행이라면 계속 앞으로 나가는 것이 필요합니다.

    단 억지 선행은 의미 없음.

    주의할 것은 선행을 하되 심화를 병행하면서 해야 되고 배우는 내용을 말로 설명할 수 있어야

    제대로 된 선행이라는 사실을 명심해야 합니다.

    그외에 교과서 밖의 수학 ( 사고력 수학, 경시수학 ) 도 병행하는 것이 추가되면 좋겠습니다.

    그리고 문제풀이 외에 수학독서를 권해드립니다. 다양한 방식으로 수학을 접하는 것이 좋습니다.

  • 3. 선행을
    '13.6.26 11:12 PM (1.228.xxx.155)

    해서 잘한다면. 중1과정을 배웠다면
    그점수 나올수도 있죠.
    문론 잘하는거맞죠.
    안배우고 그렇게 맞았다는건가요?

  • 4. 아이는 현재
    '13.6.27 12:28 AM (211.179.xxx.254)

    주 3회 가는 학원에서 중학교 내용 공부하고 있어요.
    그런데 제가 게으르기도 하고 공부는 본인 스스로 알아서 해라, 하는 주의라
    별 신경을 안 쓰고 있었거든요.
    또 학원 선생님이 한번씩 전화 주셔서 잘한다고 하시니 그러려니 하고 있었던 거죠.
    어려서부터 책은 좋아해서 수학 관련책도 꽤 많이 읽었구요(현재도요)
    경시는 외부 것은 경험이 없고 교내 경시는 항상 최상위 점수를 받는 편입니다.
    교육청 경시 대회 학교 대표로 뽑히는 수준은 되구요.
    헌데 요즘 워낙 수학 잘하는 아이들이 많다 해서
    그렇담 저희 아이는 대체 어느 정도인 걸까 궁금한 차에 시험지를 풀려봤던 거랍니다.

  • 5. 상위권이
    '13.6.27 2:04 AM (121.161.xxx.204)

    되려면 현재 진도 정도로는 어렵죠.
    6학년 이라면 최소 중2 내지는 중3 하고 있어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경시가 불가능하죠. 물론 심화가 병행된 선행이어야 합니다.
    심화를 강조하는 이유는 대충 진도나가는 선행은 공식을 기계적으로 외워도 풀어지는 문제를 다루지만
    심화문제를 풀면서 나가려면 자신의 창의적인 노력이 더해져야 풀어지는 문제를 다루게 되고 그러면서
    사고력을 키울 기회를 갖게 되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신경을 안 쓰신다 하셨는데 구체적인 관심이 필요합니다. 간섭하라는 것이 아니라 어떤 문제를 풀고 어떤 문제는 틀리는 상황인지 부모님이 인지하고 있는 것은 필수라 생각합니다.구체적인 관심이 아이가 정체에 빠지거나 시행착오를 겪는 시간을 줄어줄 수 있거든요.

  • 6. 진단
    '13.6.27 11:00 AM (183.96.xxx.208)

    전국구 경시대회 참여해서 객관적 평가를 받아보세요
    성대경시나kmc정도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295328 전기 펑펑 쓰는 기업들, 서민에 부담 가중 2 부채 70조.. 2013/09/06 1,862
295327 중학교 남자 아이들 집안일 얼마나 할 줄 아나요? 19 엄마 2013/09/06 2,051
295326 "똥묻은 개가 겨 묻은개 나무란다"라더니,카.. 1 진시리. 2013/09/06 1,286
295325 독고영재 사칭 트윗, 국정원 그룹 일원 1 akrakd.. 2013/09/06 1,273
295324 인천 청소년들도 서울 상경 ‘시국선언’…“朴정부 종북몰이 물타기.. 1 민주주의 지.. 2013/09/06 1,175
295323 취득세 인하, 무상보육 막아 3 집값 띄우기.. 2013/09/06 1,614
295322 왜 이 시점에 ‘검찰총장 사생활’ 보도? 합리적 의문 1 틈만나면박원.. 2013/09/06 1,411
295321 아이허브에서 산 에센셜 미스트는 언제 뿌리는지 4 Aaa 2013/09/06 1,928
295320 9월 9일날 지마켓 99% 현금 돌려주는 이벤트 쏠쏠한데요 4 유봉쓰 2013/09/06 2,062
295319 설설희 하차설 떴네요. 9 오로라공주 2013/09/06 5,677
295318 초등학생 명절 조부모 방문도 출석인정되나요?? 3 ..... 2013/09/06 1,629
295317 문예창작과는 어느 대학이 유명한가요? 7 문창과 2013/09/06 10,170
295316 조선일보, 4년 전엔 “하수구 저널리즘” 비판하더니… 1 샬랄라 2013/09/06 1,481
295315 가을 겨울에는 수분크림 안바르는건가요? 4 .... 2013/09/06 3,484
295314 죄송..송파에 한양아파트 시세 어케 될까요? 6 ㅎㅎ 2013/09/06 2,250
295313 곰돌이 모양 영양제 알려주세요. 5 영양제 2013/09/06 1,516
295312 먹는것과 관계되는 재미있는 속담 있나요? 14 초딩맘 2013/09/06 2,463
295311 대박.지금 친구 남친이 강남역 카페에서 다른여자랑. 30 !! 2013/09/06 22,028
295310 강원도 쪽 아파트 가격이 얼마나 할까요? 1 아파트 2013/09/06 1,891
295309 휴럼 원액기랑 녹즙기랑비슷한거 아닌가요? ........ 2013/09/06 3,408
295308 친정에전화해야하나 9 바람 2013/09/06 2,645
295307 턱교정 아시는 분 계신가요? 4 교정 2013/09/06 1,891
295306 여러분은 외국에서 공부하거나 살았을 때 어느 나라에서 온 친구가.. 19 ... 2013/09/06 3,646
295305 동네 백화점 식품관에서 요즘 장애인들을 채용했나봐요 7 .. 2013/09/06 3,166
295304 닭튀김 1 주니맘 2013/09/06 1,4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