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음식물쓰레기종량제 7/1일 부터 시행하는거요.....

.... 조회수 : 2,553
작성일 : 2013-06-23 14:34:22

저희는 중량구 아파트 인데 7/1일 부터 음식물 쓰레기 종량제를 하면서, 그 방법으로 < 납부필증방식 >을 택했다해요.

가격은 120 리터에 6840 원이라는데요.

음식물수거함에 넣어서 관리소에서 스티커를 받아다 붙이면 수거해가는 방식이라는데..,

잘 이해가 안되어서요...

 

/정해진 음식물수거용기 라는건 그럼 관리소에서 일괄적으로 나누어주는 건지요?

/만약 그렇다면 그 용기가 설마 120 리터짜리를 주는건 아니겠고, 크기가 얼마만 한가요 대개?

/용기가 작거나 적당하다면 그 용기에 담아서 버릴때마다 들고 관리소에가서  꽉 찬거 확인하고 스티커를 받는건가요?----이건 제가 생각해도 아닌꺼같고...,ㅜ  아니면 한번에 스티커 용지를 몇십장씩 관리소에서 배분해주는 건지요...?

 

 

혹시 이런 < 납부필증방식 > 으로 음식물쓰레기 이미 실시하고 있는 동네에 계시면 그 방법이 어떠한지 부탁드려요...

 

어디서보니까  납부필증방식이 편의점 같은데서

 스티커를 구입한후 쓰레기에 붙여서 내면 환경미화원이  수거해가면서 그 스티커를 따로 데어가는 방식이라고 나왔는데요..,

그거랑은 다른건지요..,왜냐면 수거용기라는게 일괄적으로 정해져 있는거 같아서요 (일반 비닐 말구요 )

IP : 114.204.xxx.220
4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냉면
    '13.6.23 2:40 PM (14.40.xxx.154)

    저희도 기존 쓰레기통사용하며 꽉차면 스티커붙여 수거하는방식. 아파트 한동당 n분의 1로 나눠요.

  • 2. ...
    '13.6.23 2:44 PM (114.204.xxx.220)

    한동당 1/n 이라면 그 동 주민끼리는 많이 버리고 적게 버리는 가구에 상관이없이 동등하게 내시나봐요..

    저희는 자기가 버린 만큼만 낸다고 해서요..

  • 3. 쓰레기봉투까지는 아니래도
    '13.6.23 4:06 PM (124.5.xxx.3)

    각 가정별 무게대로 해야 맞지요.
    수박껍데기 무게 젤 많이 나옵니다.
    잘게 썰어 말리세요.
    요금 상관없다 하는 사람은 그냥 버리면 될것이고
    손이 커 음식 많이 했다 왕창 버리는 습관있는 사람들
    은근 있어요. 1/n은 아니라 생각되어요.

  • 4. 흐음
    '13.6.23 4:49 PM (123.109.xxx.66)

    아파트는 아직 안하고 있었던거에요?
    단독주택이나 다세대주택가는 벌써 오래전부터
    음식쓰레기 노란봉투에 담아 버리고 있었어요
    수박껍질 정말 골치죠, 이젠 요령이 생겨서 아주 먹을때부터 껍질이 작게 잘라요
    매일 버릴수있는것도 아니고 일주일에 3일만 배출할수있어서 잘 궁리해야해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00795 저렴이 미용실 괜찮네요.. 5 나비잠 2013/09/23 2,818
300794 요즘 5학년 애들은 어떤 전집 읽나요? 4 초등 2013/09/23 1,619
300793 바지 허리 늘리는 수선 가능할까요? 5 궁금 2013/09/23 11,136
300792 산부인과에 입원중인 환자에게... 4 ??? 2013/09/23 1,235
300791 6년만에 파운데이션 구입 도와주세요. 14 못난나 2013/09/23 3,394
300790 추석에 중고등아이들과 해외여행하신 분 계신가요? 2 궁금해요 2013/09/23 1,059
300789 25평안방에 실크벽지 셀프도배 하려는데 23 저기요 2013/09/23 5,017
300788 초유제품 추천 기다립니다 맥주파티 2013/09/23 524
300787 이번주 할인상품 뭔가요? 코스트코 2013/09/23 535
300786 양수검사도 했는데, 정밀초음파 해야될까요?? 7 ㅇㅇㅇ 2013/09/23 3,632
300785 시집, 친정 조카들 명절에 용돈 줬는데 자녀분들에게도 용돈 줬나.. 13 윽... 2013/09/23 2,930
300784 유니클로에서 사던 기본아이템 이제 어디서?? 8 살데가없다 2013/09/23 3,553
300783 중등 아이들 세배돈 얼마나 모았나요? 10 궁금 2013/09/23 1,713
300782 40대 초반인데 남편이 운전을 못배우게해요ㅠ 6 고고싱하자 2013/09/23 1,987
300781 신발 사서 발 아프면 그냥 안 신고 마시나요? 20 ㅜㅜ 2013/09/23 14,201
300780 무슨 이런 사람이 있죠? 김무성이 대통령 되게 하고 싶나봅니다 2 .... 2013/09/23 1,010
300779 햅쌀 믿고 살수 있는곳? 3 .... 2013/09/23 851
300778 자식에게 생활비 용돈 받는 부모님들 51 ㅇㅇ 2013/09/23 22,051
300777 자녀가 논술로 대학 합격하신 분들.. 자녀 글씨체가 예쁜가요? 4 논술 2013/09/23 2,666
300776 그것이알고싶다에서 사법연수원 방송안한데요 3 .. 2013/09/23 5,073
300775 유산균을 얼리면 효과있나요? 1 한국 야쿠르.. 2013/09/23 2,191
300774 감자 까맣게 멍든 것 먹어도 되나요? 4 감자 2013/09/23 8,105
300773 삐쭉대는 사람 어때요? 8 마나난 2013/09/23 1,419
300772 대입으로 운동한 여학생들 졸업후 뭐하나요 4 입시준비 2013/09/23 1,383
300771 판매방에 사진올리기 어디서하나요 Drim 2013/09/23 5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