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수학 공부에 대한 생각...

베리떼 조회수 : 2,004
작성일 : 2013-06-15 00:56:58

아시는분들은 아시겠는데,

82장터를 통해, 무료수학과외를 2년째 해오고,

이렇게 직업이 알려져, 유료 과외 부탁으로

82회원님 자녀들을 가르치고 있습니다.


네,

직업이 가르치는겁니다.

나름 고정닉을 쓰고 있어서,

자게에 직업에 연관한 글을 안쓰려 했고,

현재까지, 그렇게 82쿡 생활을 하고 있었습니다만,

어제

문자를 받았습니다.


최근 바쁜일로 82 자게판을 잘보지 못했는데,

자녀교육에 대한 글들이 올라왔나 봅니다.

많은 걱정을 하는 문자였습니다.


그래서 검색해 글을 읽어봤습니다.

대부분 공감하는 내용이구요.

원칙적으로 맞는 말씀입니다.

공부 잘하고 싶으면,

탑랭킹 대학 가고 싶으면,

공부 많이 하라는 말씀입니다.

틀린 말 없죠.


82게시판의 분위기가

항상 그렇듯이,

이런 글들이 올라오면,,

내 아이를 쳐다보며,

한숨을 짓는 분들이, 많습니다.

당연하죠,

탑은 극히 소수이고,

자녀 성적에 만족하는 어머님들은,

아주 드물기 때문입니다.


글 쓰신, 강사님께서,선행에 대해 말씀하신 부분을,

읽는 회원님들이,

너무 심각하게 받아들이는 것도 있는것 같고,

어제 

걱정 많은 문자를 주신,

학생 어머님이자, 82쿡 회원님께

말씀드리고자 하는 일부분을

함께 공유하고자,

평범한,

누구나 다 아는 내용이지만.

너무 걱정마시란 의미로 글 올립니다.



본론입니다.


1> 선행은, 공부에 있어서 큰 덕목이 될수 있습니다.

하지만,

과도한 선행은 저는 권하지 않습니다.

천편일률적인 것도 오류입니다.

억지로 시키지 마세요.

자녀 실력에 맞춰 시켜야지, 내 욕심에 맞춰 하는 선행은,

아이의 수학 싫증 향상에 대단한 역활을 합니다.

잘하는 애들은, 1년선행이상을 할 수 있겠지만,

그렇지 않다면,

능력껏 선행(또는 예습)하면 됩니다.

사교육을 시키면, 사교육 쌤하고 상담을 하셔서 목표점을 잡으세요.

없이 공부시키는 분들은, 자녀의 수준에 맞는 수준의 책으로 시키십시오.

학기가 시작되기 전에 1권 완독을 하면 좋고,,

꾸준히, 2~3단원 앞서가도 양호합니다.

내 아이가, 수학에 특별한 영재가 아니라면,

영재애들이 한다고, 똑같이 하라는 법은 없습니다.


저는

선행에 대한 강조보다는,

자기 학년의 교과내용을

차근차근히 익히는 나아가는지를 중시하라고

강조하고 싶습니다.



2> 수학 잘하지 못하면, 대학 가지 말란 것인가,

수학 못해도 갈수 있습니다.

수학을 포함,

소위 말하는, 언수외를 잘하면,

선택을 할수있는, 그 폭이 넓어지고, 업그레이드를 할수 있는것이지,

못해도, 갈수는 있습니다.


그런데,

포기는 쉽게하지 마세요.

특히,

중학교 자녀를 둔 분들,


중학때 수학이 그렇게 눈에 띄는 수준이 아니였지만,

고등 올라가서, 많은 향상을 이룬 경우도 많습니다.


수학,

쉬운 과목 아닙니다.

성적도 단박에 오르지 않기때문에,

꾸준한 노력이 필요합니다.

포기하지않는 정신이 중요합니다.

수학은,

무지 어렵긴 하나,

아주 막연하지 않습니다.

과정이 보이는,

그래서 계획을 세우며 공부할수있는 과목입니다.

매번 보는 시험점수가 공부 잘하는 여부에 중요한 자료가 될수있지만,

너무 일희일비하지 마시고,

틀린 문제와 틀린 이유를 파악하는것도 중요합니다.


고등과정이라면,

1등급을 목표로 한다면 그 수준에 맞게 해야겠고,

4~5등급이라면, 한등급 올리는데 노력을 해야겠습니다.

1등급은 1등급 수준의 대학을 고르고,

아니면,, 그 위치에 맞는 계획을 세우면 됩니다.


수학,

포기는 하지 마시되,

큰 욕심도 가지지 마세요.

현실은 직시하시되,

막연한 불안감과 낙심은 하지 마세요.


내 아이에 대해,

적절한 목표를 세우고,

장기전을 준비하세요.

지치지 않으면 이깁니다.

바라는대로, 이룰수 있습니다.


학생들과, 어머님들,,, 모두 화이팅하세요...


IP : 180.229.xxx.48
7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감사
    '13.6.15 1:13 AM (223.62.xxx.81)

    현재 지극히 평범한 중1아들 둔 엄마로서..
    사실 어제 글 읽고 많이 심란했었거든요
    좋은글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늦게 자는 보람이 있네요..

  • 2. 감사합니다
    '13.6.15 1:36 AM (68.82.xxx.18)

    수학...지치지 않으면 이긴다는말씀 참 가슴에 와닿네요..
    제 아이도 수학 머리 없고 수학 싫어해서 요즘 너무 걱정이 많습니다.
    이런 글 보면 힘이 되네요.
    감사합니다.

  • 3. 저도 감사^^
    '13.6.15 3:00 AM (123.214.xxx.49) - 삭제된댓글

    저도 어제 글 보고 심란했는데.. 글 읽고 첫 중학 중간시험 수학 50점 받은 아이를 생각하니 참 난감했는데.. 힘이 되는 말씀 감사합니다.. 고등과정 선행이니 뭐니 다 접어두고 일단 내 아이가 할 수 있는 것부터 차근차근 노력해 나가겠습니다.. 아이에게는 중간 보다 더 잘보면 된다고 격려하고 있는데.. 조금씩 올라가다 보면 언젠가 좋은 점수 받을 날 있겠죠.. 새벽에 위로받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 4. 중3엄마입니다
    '13.6.15 8:16 AM (220.76.xxx.183)

    그 글 읽고 제 아이보며 답답했었는데 조금이나마 위로가 되네요.
    그런데 현실은 그렇지가 않은 것 같아요.
    제아이 같은 경우도 주위에 친구들이 많은 선행을 했다며 비교해보고 위축되어 벌써 수학을 포기할려고 하네요
    진심으로 제 아이 과외를 부탁드리고 싶습니다.
    가끔 좋은 글 부탁드리겠습니다

  • 5. 96점 맞는 아들은
    '13.6.15 8:51 AM (220.76.xxx.244)

    100점 맞게 하고 싶고
    88점인 딸도 100점 맞게 하고 싶은
    이 끝없는 내 욕심과 늘 싸웁니다.
    모두 100점 받으면 행복한 세상이 올까?
    모두 80점 받으면 행복할까?
    남보다 조금이라도 잘하고 싶은 이 끝없는 욕심...
    내려놓고, 또 내려놓고....

  • 6. ..
    '13.6.15 12:13 PM (110.14.xxx.155)

    맞아요
    사실 공부 못하는 애들이 대다수인데... 잘한다는 정도는 상위 10프로 이내
    엄마들 만나면 다 잘해요 ㅜㅜ
    중고등학교 가보니 잘하는 애들 엄마만 학교일에 참여하는거더군요
    그냥 내 아이 한계를 인정하고 그 내에서 좀 노력해주길 바라는 수 밖에요

  • 7. 영어도 마찬가지
    '13.6.16 11:20 AM (112.171.xxx.67)

    좋은 글 고맙습니다.
    영어강사인데 초/중등에 영어 끝낸다며
    아이를 영어에 질리게 만들고
    영어가 엉망으로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아이의 상태/의견을 존중하면서 push하세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02224 전기압력밥솥 처음 사용할때 세척법 알려주세요^^; 3 가나다라 2013/09/26 39,225
302223 결혼 준비 중인데요...소형 가전,주방용품 등등 강추 하시는 것.. 24 행복 2013/09/26 4,161
302222 소간지보다 이종석을 보니... 11 ... 2013/09/26 5,373
302221 투윅스 오늘 마지막회네요. 8 킹콩과곰돌이.. 2013/09/26 1,403
302220 지난주 주군의 태양 13,14회 재방송이였나요? 1 룰루랄라 2013/09/26 783
302219 2달동안 매일 근력운동(커브스)했는데 종아리가 딱딱한근육이 무릎도아파요.. 2013/09/26 2,613
302218 투윅스처럼 예측 불가인거 또 뭐 있나요 3 드라마 2013/09/26 695
302217 저,어제부터 걷기운동 시작했어요. 4 아자 2013/09/26 2,171
302216 결혼 준비 중.. 엄마 땜에 미치겠습니다. 53 엄마미워 2013/09/26 18,810
302215 종아리등에 사용할 바디스크럽 추천 해주세요 2 바디스크럽 2013/09/26 968
302214 열애설이 실시간에 쫘르륵,,, 2013/09/26 1,034
302213 기초 연금 손대면 20년후에 우리가 못받아요 8 심각해요 2013/09/26 1,841
302212 급작스런 한국 방문 요즘 옷차림 질문이요 3 방문 2013/09/26 850
302211 구운김에서 파란 물이 나오는거 정상 아니죠? 2 /// 2013/09/26 1,010
302210 사주보시는 식신너부리님~ 8 나오셔요 2013/09/26 2,070
302209 인터넷 가입시 요금제요 스노피 2013/09/26 409
302208 아들들의 학군 - 강남과 판교 3 고민맘 2013/09/26 3,507
302207 옆집개소리에 미치겠어요.도와주세요 6 어째요 2013/09/26 1,628
302206 sbs에 이런 기사를 쓰는 기자가 있다는게 놀랍네요... 3 ... 2013/09/26 2,132
302205 여행계 할려고 적금들려고 하는데 어디은행이 좋을까요? ..... 2013/09/26 759
302204 朴대통령 ”기초연금 어르신 모두에 지급못해 죄송”(종합) 外 12 세우실 2013/09/26 1,921
302203 82님들! 노래 제목 하나만 가르쳐 주세요. 1 기억 2013/09/26 635
302202 올만에 외국에서 친구가 들어와요. 어딜가야 좋을지 1 123 2013/09/26 457
302201 이별 후 가슴이 쥐어짜는 듯한 느낌. 언제까지인가요? 16 ... 2013/09/26 29,684
302200 수련회 갈 때 꼭 챙겨가야 될 것이 뭔가요? 2 초등5학년 2013/09/26 9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