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간장 장아찌 할 때 간장물을 끓였다 식히는 이유가 뭐가요??

.. 조회수 : 1,237
작성일 : 2013-06-07 10:03:54

그렇게 하면 유해세균이 죽어서

장기보관이 가능해서 그런건가요??

아님 간장물을 한번 끓여주면 맛이 더 깊어지나요??

그냥 간장 들이붓고 오래두면 더 편하고 좋을꺼같은데..

끓였다 식히고 하는데 시간도 너무 많이 걸리고 번거롭네요

IP : 210.99.xxx.34
1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remy
    '13.6.7 10:36 AM (121.187.xxx.63)

    중간에 한번 따라내서 끓여 식혀 붓는거 말하는건가요.

    그건, 삼투압 작용으로 재료의 수분이 빠져나오고 간장물이 재료속으로 스며들면서
    염도나 맛의 정도가 낮아지기 때문에 부패되기 쉬워서 그래요.
    끓이면서 살균도 하고 빠져나온 수분도 날리고.. 등등..
    간혹 간장국물에 간을 더하기도 하죠...

    그런데 양이 많지 않고 냉장보관이 가능하면 끓여붓지 않아도 되요.
    담고나서 3-4일 정도 지나 맛이 들때쯤 냉장고에 넣고 한달 이내에 다 먹을 수 있음
    다시 끓여붓지 않아도 괜찮아요.
    아니면 짜게 되었다면 역시 끓여붓지 않아도 되구요..
    냉장고에 오래오래 둘 수 있다면 역시 끓여 붓지 않아도 됩니다..

    그런데 맛있는 장아찌를 만들고 싶다면 중간에 국물을 따라낸 후에
    재료의 맛을 보고 간장의 맛을 봐서 모자란 맛을 가감하는 것도 좋아요..
    전 수분이 많은 재료일 경우 간장물을 새로 슴슴하게 담아 붓습니다..
    그럼 훨신 맛도 좋고 오래 가거든요..
    재활용도 하는 집도 있는데 웬만하면 안해요..
    먼저 재료의 맛과 조금씩 발효된 혹은 맛이 들면서 생기는 찌꺼기들이 남아 있는데
    이것이 새것을 넣고 만들었을때 맛을 해쳐요..

    중요한 것은 간장의 양과 재료의 양을 잘 맞춰서 간장이 남아돌지 않게 하는게 중요한데
    보통 재료와 동량의 국물을 만들면 되요.
    즉, 재료가 1키로면 국물도 1리터.. 이런 식으로..
    가끔 넘칠때도 있고 모자랄때도 있는데 손으로 꾹 눌러보면 대부분 다 잠겨요..
    숨이 죽으면 가라앉기도 하니까 다시 끓여 부으면 다 잠기게 되구요..
    새로 끓여 식혀서 부을땐 재료를 위아래 뒤집어 넣어주면 골고루 맛이 들어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276760 장마철 습도 높은게 4 뼈 관절에 2013/07/18 1,135
276759 못난이의 마야 6 웃음 2013/07/18 1,763
276758 갈색혈 2 궁금 2013/07/18 2,174
276757 [속보] 기록원, 2008년 진본 넘겨받았다...한겨레 확인 6 .... 2013/07/18 2,219
276756 주소지 이전을 부탁하는데.. 1 ㅇㅇ 2013/07/18 1,591
276755 헤어팩좀 추천해주세요 6 헤어 2013/07/18 2,187
276754 굉장히 신경쓰이는 전화가 왔었어요. 6 ... 2013/07/18 2,282
276753 입이 근질근질^^* 게시판에만 외치고 가요 59 으하하하하 2013/07/18 20,070
276752 인천 송도 근처 가볼만한곳과 음식점 추천해주세요~^^ 6 해지온 2013/07/18 7,087
276751 정말이지 여름에 체취 신경좀 써야겠어요 13 ㅇㅇ 2013/07/18 5,045
276750 미국 경제에서 FOMC 성명서와 회의록은 어떻게 다른 것인지요?.. 1 pupu 2013/07/18 668
276749 (굽신 급질)이 화초의 이름을 알려주새요 6 an 2013/07/18 1,167
276748 2년지난 고추장 먹어도...? 1 2013/07/18 1,791
276747 사춘기 통과한 자녀 두신 선배님들.사랑하고 기다리면 돌아오긴 오.. 7 휴우.. 2013/07/18 1,817
276746 2010년 계약한 전세를 집주인이 월세로 전환한다고 하는데요 2 이제월세 2013/07/18 1,465
276745 미스터고..보신분 계세요? 3 ... 2013/07/18 1,542
276744 해외호텔 카드예약시, 현지이용금액과 원화청구금액의 차이 2 .. 2013/07/18 1,927
276743 공부하느라 휴가 안가는 집 있나요? 11 과외쌤 2013/07/18 2,259
276742 로이킴 표절논란에 고국진 PD, "멋지게 인정하자&qu.. 10 철판 2013/07/18 4,299
276741 이다희?가 정유미인줄 알았어요 4 2013/07/18 3,861
276740 김용민 서영석의 밀실에서 광장으로 기다리고 기.. 2013/07/18 713
276739 가스오븐기 vs 전기렌지 2 결정장애 2013/07/18 1,469
276738 남자 가정주부는 싫다는 가장 황당한 이유 16 참나 2013/07/18 3,732
276737 피아노 문의요. 키보드와 차이점을 모르겠어요.. 2 엄마 2013/07/18 950
276736 어린이집에서 가지고온 교재, 교구들 바로 버리시나요? 정리 2013/07/18 9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