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요리질문

너머 조회수 : 581
작성일 : 2013-06-05 16:12:17

고등어나 꽁치조림할때 묵은김치 넣어서 많이들 하시잖아요.

근데 갈치에는 넣는걸 못봤거든요.

이유가 있을까요?

오늘저녁 갈치조림 하려고 싱싱한 갈치 사왔는데

잘익은 갓김치 넣어볼려고 합니다.

괜찮겠죠?

IP : 118.45.xxx.164
3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13.6.5 4:16 PM (175.197.xxx.68)

    고등어나 꽁치조림에 묵은 김치 넣는건 고등어나 꽁치가 워낙 비린내가 강한 생선이라 그런것 아닌가요?

    갈치는 비린내도 별로 없는데...

    실험정신으로 넣으셔도 안될거야 없지만 갈치는 그냥 조림해 먹어도 맛있던데... ^^;

  • 2. ...
    '13.6.5 4:28 PM (180.64.xxx.54)

    전라도에선 갈치조림할 때 고구마줄기나 머윗대 같은 거 넣고도 하고
    파김치 넣고도 하는데 갓김치도 괜찮을 거 같긴해요.

  • 3. ㅇㅇ
    '13.6.5 4:33 PM (203.152.xxx.172)

    맛의 궁합이라는게 있잖아요.
    갈치는 맛이 담백하고 얕은 특유의 풍미가 있지만.........
    고등어나 꽁치는 맛이 짙고 비린맛이 강하니.. 김치하고 잘 어올리죠..
    갈치에 김치같이 진한 맛의 양념이 합해지면 갈치의 맛은 하나도 안날껄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280783 7월 30일 미디어오늘 [아침신문 솎아보기] 1 세우실 2013/07/30 603
280782 "'전땡' 시절에도 기자저항 있었거늘 지금은...&qu.. 3 샬랄라 2013/07/30 1,150
280781 키자니아 싸게 가는 법 갈차주세요! (미리 감사^^) ... 2013/07/30 3,412
280780 이런경우에 어떻게 하실껀가요? 1 돌직구? 2013/07/30 788
280779 유기농 배달 우유 추천해주세요~ 8 우윳빛깔 2013/07/30 2,025
280778 아침 출근 지하철에서 통화 소음 너무 싫으네여 1 출근길 2013/07/30 886
280777 제 아이는 어느대학을 갈수 있을까요 16 2013/07/30 3,405
280776 7월 30일 [신동호의 시선집중] “말과 말“ 1 세우실 2013/07/30 778
280775 pt식단중 바나나대신 넣을만한게 뭐가 있을까요? 15 ㅡㅡ 2013/07/30 5,188
280774 7월 30일 경향신문, 한겨레 만평 세우실 2013/07/30 739
280773 비밀문서로 들통난 4대강 '대국민 사기극'의 전말 3 샬랄라 2013/07/30 1,236
280772 부리부리한눈 큼직한이목구비는 어떤화장을해야할까요? 7 o 2013/07/30 2,553
280771 아소 日부총리 "나치 수법 배워 개헌해야" 3 샬랄라 2013/07/30 1,142
280770 어제 촛불 다녀왓어요. 5 앤 셜리 2013/07/30 1,102
280769 남편이 조건만남을 할려고 준비중인걸 알았어요 17 개버릇 2013/07/30 13,246
280768 프라하서핸드폰으로호텔에전화하려면 1 프라하 2013/07/30 1,073
280767 튼살크림방지로 바셀린 4 d음 2013/07/30 4,328
280766 코피왕창쏟고 두통호소하는 아들 4 유캔도 2013/07/30 3,210
280765 통영꿀빵 13 혹시 2013/07/30 3,240
280764 지금 깨어있으신분 계세요? 2 푸르른 2013/07/30 907
280763 내용 지울께요. 24 2013/07/30 3,323
280762 회사 다니다가 집에 있으니 생활비가 많이 드네요. 3 www 2013/07/30 3,106
280761 빌보홈피에서 주문하신분들 질문드려요 7 초보 2013/07/30 1,495
280760 혹시 부부 심리치료 받아보신분 있나요? 5 ... 2013/07/30 3,014
280759 82하면서 제가 얻은 최고의 깨달음은 "정리".. 7 많이 배웁니.. 2013/07/30 4,5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