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고등수학공부 어떤식으로 대비를 해야 하나요?

작성일 : 2013-05-26 17:55:16

아래 고등학교는 수학 성적이 갑이라는 글을 읽고.. 이런 얘기 많이 들었지만 고등을 앞두고 너무 실질적인 글이라 저도 걱정이 앞서네요.

비싼 수학학원 다니지 못하고 동네 저렴한 수강생 많지 않은 학원에서 시중 참고서 위주로 공부하는데 저희 아이는

꽤나 성실한 편이라 수학에 많은 투자 안했지만 학원과 학교 수업을 열심히 들어 아직은 95점 이상 나오긴 해요.

선행은 6개월 정도 하고 있고 저렴한 학원이다보니 고급 심화까지는 안들어가고요.

아이도 그닥 수학 머리가 뛰어나지는 않아요. 단지 너무 성실하죠. 모든 과목에서.

그래서 중학교는 전과목 성적이 꽤 좋은 편인데 .. 고등학교에 판세가 바뀐다고 하니 어떤 식으로 대비를 시켜줘야 할지 걱정입니다. 이참에 대형학원으로 갈아타야하나....

 

수학을 요즘 대세인 융합형 방식의 서술, 창의력 위주로 가야하는지.

아니면 심화., 경시 위주로 가야하는지,

아니면 몇년을 앞선 선행으로 가야하는건지.

지금처럼 성실을 갑으로 내신 관리 탄탄하게 잘 하면서 가도 되는건지.. (현재 이쪽인데 글을 보니 이건 아닐것 같긴 하네요. ㅠㅠ)

선배님들께서 조언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IP : 211.214.xxx.43
4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ㅇㅇ
    '13.5.26 5:56 PM (211.209.xxx.15)

    그렇게 하니 되던데요.

  • 2. ㅏㅏ
    '13.5.26 6:16 PM (124.50.xxx.89)

    성실하지만 수학적 머리는 없는 고1아들 내신관리로 갔어요 지금 중간고사 성적 잘나왔습니다 하지만 3월모의고사와 사설모의고사 두번 보고 스스로 갈등중입니다 아해와 창의력위주의 모의고사 문제에서 힘들어해요
    수학적 감이 없으니 스스로 내신만 열심히 해보겠다고 어제 말하더군요 하지만 학년이 올라 갈 수록 더 힘들어지고 성적는 잘 안나오겠죠

  • 3. 수학 먼저
    '13.5.26 7:16 PM (118.34.xxx.172)

    성실해서 중학내신 잘 나오던 애들이
    고등 가서 수학 때문에 무너지는 경우 많아요.
    특히 이과의 경우 치고올라오는 남자애들 무섭더라구요.
    제 아이는 어려서부터 수학을 제일 좋아하고 잘했는데,
    외국에서 오래 있다와서 중학 때는 반 5등도 못했어요.
    암기과목이 평균을 다 깍아먹어서요.
    근데 고등 가더니 제 실력 발휘가 되더라구요.
    고1때 1년간은 거의 수학 위주로 공부했는데,
    내신, 모의에서 만점이거나 하나 틀리는 정도로 안정적 점수가 나오니
    그 다음부터는 내신과 스펙에 더 주력했어요.
    아마 수학 자신감이 결국엔 성공요인이 아니었나 싶어요.
    문과라 선행보다는 심화위주로 꼼꼼하게 공부했더니
    문이과 나누기 전 1학년 때도 전교 유일 만점도 받고
    선생님과 친구들의 인정을 받으니 자신감이 생기더라구요.
    고난이도까지 수준별로 문제를 많이 풀어보고
    모르는거 오답정리, 반복풀이가 중요한것 같습니다.

  • 4. 이과냐문과냐에따라
    '13.5.26 7:46 PM (121.157.xxx.62)

    수학적 머리가 뛰어나다면 상관없지만, 그렇지 않은 보통 아이들의 경우 이과아이들은 어쩔수 없이 선행이 많이 되야하고, 문과아이들은 한 학기정도 선행이나 내신대비위주로 가셔도 괜찮습니다.

    이과아이들 수학 공부양이 너무 많은데다가 정해진 진도과정은 고3때까지 천천히 배우도록 되어있지만 현실적인 학교현장에서는 아무리 늦어도 3학년 1학기 중간고사까지 4권의 이과수학을 모두 다 끝내버리니까요.거기다 기하와 벡터같은 경우는 사실 어느정도 타고난 감각이 없으면 매우 힘든 과목입니다. 이과아이들은 1년정도 선행, 꼼꼼히 해두지 않으면 많이 힘듭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287807 오늘 아빠어디가에서 준이 ㅜㅜㅜㅜ 48 무명씨 2013/08/18 18,100
287806 보이차 끓이는 법 좀 가르쳐 주세요 ^^; 2 헌댁 2013/08/18 8,483
287805 백화점에서 맛있는 전라도김치를 먹었는데요 1 ㅣㅣ 2013/08/18 1,743
287804 김대중 대통령 4주기를 추모합니다. 8 설라 2013/08/18 1,234
287803 완두콩이 많이 생겼는데 3 mis 2013/08/18 979
287802 길냥이 먹이문제 여쭤봅니다. 18 냥이들 2013/08/18 1,225
287801 일베충들 면상 깠네요 11 ㅣㅣ 2013/08/18 3,262
287800 바뀐애 정부 대북송금 600만달러,북한측 승인 2 우리는 2013/08/18 1,341
287799 유럽이나 다른 지역에서 추천해 주실만한 커피 체인점 있나요? 3 추천 2013/08/18 1,042
287798 둘째 낳을 산모에게 한우선물 어떨까요? 9 출산선물 2013/08/18 1,235
287797 삐지면 문닫고 말안하는 남편 18 주부 2013/08/18 7,882
287796 82 자유게시판에 시스템 에러 있었나요? 4 방금 2013/08/18 767
287795 입셍로랑 틴트 13호요 5 +_+ 2013/08/18 7,040
287794 냉장고에 음식에 살얼음이 껴요 . 2013/08/18 630
287793 방 머리카락 청소 매일 하시나요? 21 adfusl.. 2013/08/18 8,551
287792 조금 전 쪽지를 받았는데 발신인이 ()로 나오네요 1 ^^ 2013/08/18 715
287791 퇴직금담보대출 어떡해 2013/08/18 2,104
287790 윈도우 7 포맷했더니 오피스가 ! 2 발렌타인 2013/08/18 1,142
287789 저 밑에 2페이지에 마요네즈 올린 글 날짜좀 보세요 2 2013/08/18 1,066
287788 교회오빠들이 정말 최고네요 53 제일 진상 2013/08/18 25,391
287787 친구 남친에 대해 알려야할까요 22 빅토리아 2013/08/18 6,724
287786 딸을 하나 더 낳으면.... .... 2013/08/18 808
287785 부부간대화 누가 잘못인가요? 40 부부간대화 2013/08/18 5,399
287784 이태원 놀러갔다 왔더니 옛날과 많이 틀리네요.. 5 2013/08/18 2,956
287783 현관 아래 계단에 앉아 담배 피우는 아랫집 1 미쳐 2013/08/18 9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