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고등수학공부 어떤식으로 대비를 해야 하나요?

작성일 : 2013-05-26 17:55:16

아래 고등학교는 수학 성적이 갑이라는 글을 읽고.. 이런 얘기 많이 들었지만 고등을 앞두고 너무 실질적인 글이라 저도 걱정이 앞서네요.

비싼 수학학원 다니지 못하고 동네 저렴한 수강생 많지 않은 학원에서 시중 참고서 위주로 공부하는데 저희 아이는

꽤나 성실한 편이라 수학에 많은 투자 안했지만 학원과 학교 수업을 열심히 들어 아직은 95점 이상 나오긴 해요.

선행은 6개월 정도 하고 있고 저렴한 학원이다보니 고급 심화까지는 안들어가고요.

아이도 그닥 수학 머리가 뛰어나지는 않아요. 단지 너무 성실하죠. 모든 과목에서.

그래서 중학교는 전과목 성적이 꽤 좋은 편인데 .. 고등학교에 판세가 바뀐다고 하니 어떤 식으로 대비를 시켜줘야 할지 걱정입니다. 이참에 대형학원으로 갈아타야하나....

 

수학을 요즘 대세인 융합형 방식의 서술, 창의력 위주로 가야하는지.

아니면 심화., 경시 위주로 가야하는지,

아니면 몇년을 앞선 선행으로 가야하는건지.

지금처럼 성실을 갑으로 내신 관리 탄탄하게 잘 하면서 가도 되는건지.. (현재 이쪽인데 글을 보니 이건 아닐것 같긴 하네요. ㅠㅠ)

선배님들께서 조언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IP : 211.214.xxx.43
4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ㅇㅇ
    '13.5.26 5:56 PM (211.209.xxx.15)

    그렇게 하니 되던데요.

  • 2. ㅏㅏ
    '13.5.26 6:16 PM (124.50.xxx.89)

    성실하지만 수학적 머리는 없는 고1아들 내신관리로 갔어요 지금 중간고사 성적 잘나왔습니다 하지만 3월모의고사와 사설모의고사 두번 보고 스스로 갈등중입니다 아해와 창의력위주의 모의고사 문제에서 힘들어해요
    수학적 감이 없으니 스스로 내신만 열심히 해보겠다고 어제 말하더군요 하지만 학년이 올라 갈 수록 더 힘들어지고 성적는 잘 안나오겠죠

  • 3. 수학 먼저
    '13.5.26 7:16 PM (118.34.xxx.172)

    성실해서 중학내신 잘 나오던 애들이
    고등 가서 수학 때문에 무너지는 경우 많아요.
    특히 이과의 경우 치고올라오는 남자애들 무섭더라구요.
    제 아이는 어려서부터 수학을 제일 좋아하고 잘했는데,
    외국에서 오래 있다와서 중학 때는 반 5등도 못했어요.
    암기과목이 평균을 다 깍아먹어서요.
    근데 고등 가더니 제 실력 발휘가 되더라구요.
    고1때 1년간은 거의 수학 위주로 공부했는데,
    내신, 모의에서 만점이거나 하나 틀리는 정도로 안정적 점수가 나오니
    그 다음부터는 내신과 스펙에 더 주력했어요.
    아마 수학 자신감이 결국엔 성공요인이 아니었나 싶어요.
    문과라 선행보다는 심화위주로 꼼꼼하게 공부했더니
    문이과 나누기 전 1학년 때도 전교 유일 만점도 받고
    선생님과 친구들의 인정을 받으니 자신감이 생기더라구요.
    고난이도까지 수준별로 문제를 많이 풀어보고
    모르는거 오답정리, 반복풀이가 중요한것 같습니다.

  • 4. 이과냐문과냐에따라
    '13.5.26 7:46 PM (121.157.xxx.62)

    수학적 머리가 뛰어나다면 상관없지만, 그렇지 않은 보통 아이들의 경우 이과아이들은 어쩔수 없이 선행이 많이 되야하고, 문과아이들은 한 학기정도 선행이나 내신대비위주로 가셔도 괜찮습니다.

    이과아이들 수학 공부양이 너무 많은데다가 정해진 진도과정은 고3때까지 천천히 배우도록 되어있지만 현실적인 학교현장에서는 아무리 늦어도 3학년 1학기 중간고사까지 4권의 이과수학을 모두 다 끝내버리니까요.거기다 기하와 벡터같은 경우는 사실 어느정도 타고난 감각이 없으면 매우 힘든 과목입니다. 이과아이들은 1년정도 선행, 꼼꼼히 해두지 않으면 많이 힘듭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295044 북서울 꿈의 숲이 더 좋아지겠네요~ 1 garitz.. 2013/09/05 1,460
295043 집에서 키울 물고기 구입하려는데 어디에서 해야할지,,,,, 8 물고기구입처.. 2013/09/05 975
295042 주말에 아이친구랑 엄마아빠가 같이 놀러올 예정이예요~ 12 긴장된다.... 2013/09/05 3,257
295041 심각한 아들 6 귀여운 아이.. 2013/09/05 1,951
295040 프레드포스텐팔찌,, 어디서 살 수 있을까요? 1 가을아 2013/09/05 2,763
295039 지난달 적금 안넣고 2 적금문의 2013/09/05 1,923
295038 모바일 청첩장 예쁘게 나오네요~ 옥쑤 2013/09/05 1,151
295037 섹시와 색기 9 ㅡㅡ 2013/09/05 8,227
295036 몰딩 등 인테리어 자재는 어디서 살수 있을까요? 1 ... 2013/09/05 1,073
295035 제빵기에 식빵만들면 시중보다 맛있나요? 18 팁주세요 2013/09/05 4,131
295034 회사에 청첩장 돌리고 싶지 않은데... 2 리엘 2013/09/05 1,916
295033 활어의 죽음 3 진시리. 2013/09/05 1,495
295032 서울에서 학군이 괜찮은곳.....어딘가요?? 제발요 ㅠㅠ 17 학군 고민입.. 2013/09/05 6,553
295031 자주 체하는 아이 3 2013/09/05 1,409
295030 [국민TV 생방송]민주당 정청래 출연 세세한 국조관련 이야기, .. 3 lowsim.. 2013/09/05 1,114
295029 내일 캠핑 가는데... 7 추운데.. 2013/09/05 1,908
295028 '결전의 날' 재계-노동계, 오늘 '통상임금' 사활 건 공방 2 세우실 2013/09/05 917
295027 소고기장조림 전기압력밥솥에 하는 법좀 알려주세요~~~ 2 ..... 2013/09/05 2,794
295026 소식하는 가족은 어떻게 먹고 사나요 7 진이엄마 2013/09/05 3,856
295025 대학 특례입학 가능한가요? 7 외국 몇년 .. 2013/09/05 2,928
295024 사무실에 두남자의 속삭임 정말..신경쓰이네요 12 2013/09/05 4,153
295023 둔촌주공 4단지 아파트 주민들 이주했나요? 1 .... 2013/09/05 2,798
295022 영어 단어 쉽게 외우는 방법있나요? 11 쏙쏙 2013/09/05 3,479
295021 제주 은갈치구이~!?!? 1 부탁드려요 2013/09/05 1,341
295020 집에서 셀프매직 하시는 분들이요~ 3 ^^ 2013/09/05 3,4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