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전세가 없어요

서울살이 조회수 : 3,653
작성일 : 2013-05-18 13:39:47

머무를 집 구하는게 너무 힘들어요

전세가 없어요ㅓ.

월세밖에 없어요

월세는 제게 좀 힘들어요.

왜 이리 집주인들이 월세만 좋아하나요?

 

IP : 222.110.xxx.66
13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금리가 낮으니
    '13.5.18 1:43 PM (112.151.xxx.163)

    전세로는 돈이 안되니 그래요. 그럼 차라리 반전세 구하세요. 반전세는 좀 괜찮을거예요.

  • 2. ㅇㅇ
    '13.5.18 1:47 PM (203.152.xxx.172)

    집값은 오르지 않고 은행이자는 적고... 당연히 은행이자보다 비싼 월세로 돌리는게 낫겠죠..
    1억을 대출받아 은행이자 내면 월 40만원이라고 치면 1억을 월세로 돌리면 75만원은 받거든요.
    저같아도 대출받아 월세로 돌리겠죠.
    돈여유가 있으면 은행 예금 이자보다는 훨씬 더 비싼 월세가 낫고요.
    1억을 은행에 예금해놓으면 예를 들어 월 20만원도 안될껄요? 그거 그냥 은행에서 인출해서
    전세입자 나갈때 줘버리고 월세로 돌리는게 낫지요..

  • 3. 그럼
    '13.5.18 1:50 PM (222.110.xxx.66)

    없는 사람은 더욱더 힘들어져요.
    정부에서 어떤 규제를 해줬으면 좋겠어요.

  • 4. 저금리정책을
    '13.5.18 1:52 PM (112.151.xxx.163)

    풀면 됩니다. 그런데 고환율,저금리정책은 대기업을 위해서 또는 부동산 재벌을 위해서 필요한 정책이다보니 그리 가는거예요.

    부동산 가진이들중에 자기자본 없이 대출로 집을 산 이들이 정말 많아요. 보통 서민들과 비교도 안될만큼요.

    서민들 삶이 조금 불편해진다면 그들은 폭삭 망하니까 절대로 금리 안올릴거예요.

    그러다보면 그나마 전세금 돌려서 조금이라도 수입 가져본 서민들은 그마저도 못하는거죠.

    제윤경 검색해서 팟케스트나 희망살림가서 들어보면 얼마전 전세입자 이야기, 하우스푸어, 랜트푸어, 깡통주택 이야기 잘 나와요.

  • 5. ㅇㅇ
    '13.5.18 1:56 PM (203.152.xxx.172)

    저도 저금리를 풀어야 한다고 봅니다
    저금리는 언뜻보면 서민들에게 좋은일이고 고금리는 은행 배불려주는 일이라 생각하기 쉬운데
    사실은 집값 전셋값 오르는데 일조하는게 더 크죠..
    대출받아서 무리해서 집사놓고 뭐 이런거요..

  • 6. 가장 불쌍한 서민은
    '13.5.18 2:03 PM (112.151.xxx.163)

    깡통주택에 전세로 들어간 사람들인듯 합니다. 이사람들을 위한 대비책이 매우 시급한듯합니다.

    전세는 귀하고 집값은 더이상 오르지 않을 기세인데 대출이 여러군데 잡힌 집들은 그야말로 전세로 들어가도 위험합니다.

  • 7. ...
    '13.5.18 2:33 PM (112.121.xxx.214)

    외국은 그래서 신혼때 아예 20~30년 장기 모기지 받아서 집 사지요. 월세 내는 셈 치고요.
    우리 나라도 점점 그렇게 될거에요.

  • 8. ..
    '13.5.18 2:57 PM (222.120.xxx.202)

    몇 일전 머니투데이에 칼럼인가 보니

    집값에 투자하는게 바보라던데요.

    월세내는거 두려워 하지말라고 그러던데.

    거기 계산에선 집사는게 손해라네요.

    근데 누가 집사서 전세 놓겠어여. 그런 글이 나오는데 누가 바보짓하겠어요.

  • 9. ㅇㅇ
    '13.5.18 2:57 PM (211.209.xxx.15)

    전세 없어질거에요. 전세돈 받아봐야 이자도 안 나오니, 다 월세로 돌리죠.

  • 10. ...
    '13.5.18 3:56 PM (110.14.xxx.164)

    집값이 안오르니 앞으론 점점 더 월세로 변해갈 거에요

  • 11. 그럼
    '13.5.18 4:27 PM (222.110.xxx.66)

    집을 사는게 차라리 좋을까요?
    전세는 없고 월세내고 살기도 버겁고...

  • 12. 없어질 제도, 전세
    '13.5.18 7:42 PM (115.143.xxx.138)

    전세 우리나라밖에 없는 제도예요.
    내집 or 월세가 현실적이예요.

  • 13. 집을 빨리 팔기위해
    '13.5.19 9:09 PM (112.151.xxx.163)

    전세금을 올리는겁니다. 현재 전세금은 매매가의 77%(서울 신림동 기준)이라고 합니다. 이건 매우 비정상적인데 이유는 이미 담보대출이 50%잡힌 상태에서 전세로 들어가면 나중에 집주인이 대출금을 갚지 못하면 전세금은 떼일 위기에 놓이게 됩니다.

    그런데도 왜?? 굳이 전세금을 올리느냐??

    빨리 팔아야 하거든요.

    인구대비 주택수는 이미 오래전 넘어섰고,

    부동산 재태크를 하려는 이들은 빨리 팔아서 현금확보를 하고 싶은데 이도저도 안되니 전세금 올리기로 울며겨자먹기로 집을 사게 하는거죠. 시장에 맡겨서 그대로 두면 집값은 내리는게 정상이죠.

    거품이 빠져도 진작에 빠져야하는데 억지로 붙들고 있는데 정부가 한몫을 합니다.

    "돈빌려줄께 집사라...."

    능력도 없는 사람들이 돈을 빌려서 어떻게 집을 사란건지.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270040 네이트온에 김혜선 충격 근황 다이어트 광고여 2 광고 2013/07/01 3,074
270039 짜증스런 친구 멀리하고 싶어요 3 짜증 2013/07/01 1,598
270038 황석어젓갈 담그려면.. 황석어젓갈 2013/07/01 523
270037 버려진 유치원 가방으로 기부를.. 현민맘~* 2013/07/01 1,058
270036 파마하고 바로 사람 만나도 될까요? 4 파마 2013/07/01 1,318
270035 지난 주말 캐리비안베이에 갔는데 거기서도 공포의 마스크 ㅠ.ㅠ 23 .. 2013/07/01 4,666
270034 내 아들이 이럴줄을 몰랐어요.. ㅠㅠ 7 고1아들 2013/07/01 4,646
270033 음악 제목 좀 찾아주세요. 1 궁금한아짐 2013/07/01 361
270032 저도.. 유통기한 지난 발사믹 식초?? 1 움냐 2013/07/01 10,295
270031 옛날에 쓰던 핸드폰이랑 그 배터리들은 ...어찌 3 버려요 2013/07/01 1,120
270030 창원지리 여쭈어요. 1 ♥♥ 2013/07/01 546
270029 초등 4학년 여아, 과외 얼마쯤 예상하면 될까요? 3 dd 2013/07/01 1,190
270028 칠순잔치 상차림, 현수막, 답례품 등 질문 1 칠순 2013/07/01 1,240
270027 전면에 나선 문재인…'친노' 재결집 견인 9 세우실 2013/07/01 1,360
270026 배우들은 볼펜을 입에 물고 대본연습을 하나요? 6 왜? 2013/07/01 1,747
270025 첫 해외여행 도와주세요!!!! 13 초록나무 2013/07/01 1,702
270024 실곤약이 넘 맛있어서 2봉지씩 먹는데.. 혹시... 2 다요트 2013/07/01 2,317
270023 문예춘추? 2 문학 2013/07/01 427
270022 신경민 "보이지 않는 세력이 언론 장악" 3 샬랄라 2013/07/01 1,314
270021 피아노 의자는 어디서 구입할 수 있나요?(영창 사용중) 1 ... 2013/07/01 582
270020 자주 재발하는 지루성 두피... 답이 없나요? 7 두피 2013/07/01 2,285
270019 오쿠로 만든 찜질방계란이 이상하네요 2 덥다 2013/07/01 1,207
270018 내년 초등학생 미리 책상구입을 하려하는데요.. 1 예비초등 2013/07/01 455
270017 정오의 뉴ㅡ스 들으며.... 1 국민티비 2013/07/01 509
270016 여러분이라면 어떻게 하시겠어요? 단감 2013/07/01 3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