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애한테 왜 공부공부 하는지 모르겠네요

공부 조회수 : 3,233
작성일 : 2013-04-21 00:14:02

학벌 좋아도 이젠 실업자 박사 천지인데 왜 공부공부 할까요.

전문직도 넘쳐나고

이젠 공부해봐야 별 기대할것도 없어 보이는데 말입니다.

더구나

아무리 잘하는 애라도 요샌 완전 자기주도는 드물다고 생각해요.

이미 부모들이 대졸자들이 많으니까

엄마아빠 모두 교수나 전문직으로 공부잘했던 부모를 가진 애가 같은 머리라면

아무래도 공부를 더 잘하겠죠.

모르는거 부모가 직접 가르쳐주기도 하고,  공부하는데 애가 어떤 상태고 무슨 공부가 더 필요한지

자기가 해봤으니 잘알죠.

 

실제로 엄마아빠 교수나 전문직인 집도 애들에 따라 다르지만

저절로 잘하는건 아니거든요.

그냥 학원 보내놓고 왜 안하냐 왜 성적이 잘 안나오냐 이런 부모도 있겠지만

잘하는 집들은 애 단계에 맞게 분량과 수준을 정해서 부모가 애랑 같이 해나갑니다.

애가 둘이면 부모도 시간상 힘에 부치겠지요.

그러니 이미 공부에서 엄마아빠 학교때 공부 엄청 잘했고 애하나면서 부모가 지속적으로 같이 보조를 맞추며

공부를 살펴주는 여건의 아이가 경쟁에서 유리한 건 당연한거죠.

그러니

너무 자기주도형 공부 안한다고 애만 탓할거 아니라고 봅니다.

요즘은 과거와 달리 엄마아빠가 같이 해주는 시대니까요.

 

그러니까

치열한 경쟁사회에선 공정한 기회균등이 사실상 어렵고 대개는 세습이 되는거죠.

돈도

공부도

인맥이나 취직도 빽의 유무가 관건이고요.

하여간 상황이 이미 이런데 공부로 애만 잡지 않았으면 좋겠네요.

그럼 우리애한테 중산층의 삶을 포기하란 말이냐,

이렇게 항의하겠지만 좀 현실이 그렇잖아요.

다들 자기애한테는 좀더 편하게 일하면서 보수는 많은 자리를 물려주고 싶어하니까

이제 아이의 경쟁력이 곧 부모의 경쟁력이 된 시대로 변해버렸다고 봅니다.

이런 상황에서 이미 아이를 낳은 상태라면

기본공부는 가르치되 공부외 다른 진로도 고려하는게 현명하다고 봅니다.

보수야 좀 못하겠지만...

그게 싫으면 경쟁력없는 부모는 아예 낳지를 말아야하는거죠.

맹목적인 막연한 기대는 더이상 안통하니까요.

 

 

 

IP : 115.136.xxx.239
1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또 납셨네
    '13.4.21 12:25 AM (218.50.xxx.30)

    115.Xxx.239 애낳지 말자는 인간혐오론자.

  • 2. 리빙러브
    '13.4.21 12:29 AM (211.246.xxx.115)

    공부해서 즐거운 시간이 저는 없든데요. 성적은 우수했지만 그렇다고 즐겁진 않았어요 긴장과 불안의 연속이지..

  • 3. ..
    '13.4.21 12:35 AM (112.148.xxx.220)

    원글님 진지하게 물어봅니다.

    최근 굉장히 힘드신 일이 있으신가요?특히 경제적으로요.

  • 4. ㄴㄴㄴ
    '13.4.21 12:38 AM (68.49.xxx.129)

    진짜 공부시키는 이유 몰라서 이렇게 글쓰신건가?

  • 5. 댓글로 정신나간 소리하는 사람은 뭔가요
    '13.4.21 12:39 AM (115.136.xxx.239)

    내용은 타당하니 반박할껀 없고
    그냥 욕이나 해대는 건가요.

    공부는 공부가 즐거웠을때도 있었고, 안그럴때도 있었죠.
    문제는 즐거울때는 잘되고
    안그럴때는 하기싫어 잘 안하게 된다는거죠.
    근데
    하기 싫어도 하는 사람이 지금까지는 좋은 직장에 힘안들고 보수는 많이 받을수 있었죠.
    근데 지금은
    공부와 상관없이 애의 경제적 지위가 결정되는 시대라 그런거죠.

  • 6. 그나마 공부로 경제적지위를 노린다해도
    '13.4.21 12:47 AM (115.136.xxx.239)

    공부로 경쟁하는 애들도 부모여건에 따라 경쟁자체가 달라져버린다는 얘기잖아요.
    이미 똑같은 경쟁이 아니라
    어떤 부모에게 태어나느냐에 따라 공부로 쇼부보는것마저도 달라지게되었다고요.

  • 7. 교육을 왜 안시키겠습니까
    '13.4.21 12:52 AM (115.136.xxx.239)

    다만, 가격대비 노력대비 효율성을 생각하고 시켜야한다는 거죠.
    공부도 어떤 공부냐도 중요한 거구요.

  • 8. 교육을 왜 안시키겠습니까
    '13.4.21 12:52 AM (115.136.xxx.239)

    교육의 내용은 부모된 사람들이 알아서 결정해야죠.

    자기 상황에 맞게...

    아니면 우민화교육만 돈들여 들입다 시킬 위험이 크죠.

  • 9. 물론 그래도 현재상황에선
    '13.4.21 1:01 AM (115.136.xxx.239)

    어떤 대학이라도
    이왕이면 좋은 대학을 보내는게 아이의 삶에 유리하겠죠.
    일단 대졸이냐 아니냐로 사회적 시선이 달라지고
    대우가 달라지는 사회니까요.

    문제는 그 대우라는게 어떤 대우냐도 이제 판단해야하지 않을까 라는 겁니다.
    별 만족할만한 대우를 못받아도 그 비용을 치를것인가,
    아니면
    사회적 시선이야 어떻든 비용감당이 안되니 대우못받아도 대학은 안시키겠다,
    정원하면 니가 알아서 다녀라
    뭐 이런식요...
    아이에겐 별 좋은 부모 아니겠지만 부모도 어쩔수없는데 별수 없죠.

  • 10. 그니까 대학생활에 대한 경험
    '13.4.21 1:07 AM (115.136.xxx.239)

    정도는 잠깐 해보고 자기판단에 굳이 졸업까지 필요없다 싶으면 중퇴할수도 있는거죠.

    또 어떤 대학을 다니느냐에 따라 달라지는 사회적 시선이라는 문제를 본인이 어떻게 해결하느냐,

    남의 시선, 사회적 시선에 자기를 맞추며 살것인가,
    아니면 이를 뛰어넘는 자각과 지혜가 있는가,

    등등

  • 11. 물론 122.31.님 말도 일리있어요
    '13.4.21 1:13 AM (115.136.xxx.239)

    이런저런 다양한 가능성은 갖게해줘야 한다는 말...
    그게 하기싫은 공부라도 일단 어느 정도는 하게해서라도 말이죠.

    무식하면 당하는 세상이긴 합니다.
    아주 똑똑한 아이 아니면 적어도 남들처럼은 교육시키는게 더 좋을지도 모르죠.

    또 대학생활이라는거 자체가 좋은 경험이기도 하죠.
    고등학교때보다는 자유시간 많고
    의식주에 대한 생계걱정에서 어느 정도 해방된 자유로운 인간으로서 사는 삶,
    공부를 잘하건 못하건
    그 경험 자체는 좋은거죠. 졸업하면 언제 또 그런 자유로운 삶을 살아보겠습니까.

    성인으로서
    생계걱정, 부양가족에 대한 의무없이
    온전히 자신을 위한 자유로운 삶이 가능한 유일한 시간이니까요.

  • 12. 어느 정도
    '13.4.21 2:49 AM (58.143.xxx.246)

    동감하면서도 아이공부에 대해선 포기하기 힘들죠
    부모가 능력있어 직접 가르친다면 좋겠지만
    주변은 대부분 사교육으로 대학가는 시대라는걸
    크게 실감하게 되네요. 배울 사람은 배우고
    기술이든 다른 분야로 나갈 사람도 같이 존중되는
    사회가 되었음 좋겠어요. 제가 본 기술쪽도
    자식세대에 전수되더라는 앞으론 이도 저도
    아닌 어중간한 사람들은 힘들거라는 거죠.

  • 13. 115.136.xxx.239
    '13.4.21 3:49 AM (68.36.xxx.177)

    하루는 예쁜 우리 김태희 까지 마.
    하루는 애 낳지 말고 자기 혼자 자유롭게 살아라.

    원글님, 좀만 더 일찍 태어나서 부모님한테 원글님 낳지 말라고 하시지...
    부모님 노후보장에 걸림돌이 될 원글님 나빠~

  • 14. 딴건....
    '13.4.21 7:12 AM (121.144.xxx.167)

    모르겠지만 옛날처럼 저절로 잘하는건 요즘은 불가능한건 맞아요.
    엄마들 학원만 달랑 보내고 공부잘하기를 바래서는 안된다는 말과 부모가 같이 신경써서
    해줘야 되는거는 맞는 말입니다.

  • 15. 딴건....
    '13.4.21 7:27 AM (121.144.xxx.167)

    그리고 요즘 다들 능력있는 배우자를 원하기 때문에 직업이 좋아야 하는데 그럴러면 일단은
    공부를 잘해서 좋은대학 들어가야 하고 그래야
    직장도 좋은데 들어가서 거기서 배우자 만나서
    결혼하는 경우가 많죠.
    그러니 공부 못하면 답이 보이잖아요.
    원글님은 너무 현실적이고 부정적인 면도 보이지만 이게 틀린말은 아니라는 생각에 씁쓸하네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265688 에휴 쇼를 하네요 2 2013/06/20 1,395
265687 여기분들.여자2호한테 질투가 심한듯. 5 콩콩잠순이 2013/06/20 1,479
265686 베스트의 의사부부님 중 누가 외과의인건가요? 1 ... 2013/06/20 1,302
265685 39세 재취업맘 질문받아요 18 천개의바람 2013/06/20 2,379
265684 제주 이민 2년차입니다. 궁금한거 있으실까요. 34 -- 2013/06/20 7,076
265683 10가지 종목을 긴 시간 조목조목ᆢ 1 표창원교수 2013/06/20 598
265682 심상치 않은 경제관련 기사네요 폭풍전야 2013/06/20 1,612
265681 2호 저런분은 천상 백여시라 하나봐요 .. 1 ... 2013/06/20 1,751
265680 임신 7주에서 8주 넘어가는 시기인데, 입덧이요. 6 gb 2013/06/20 3,884
265679 햄스터를 진찰해줄 동물병원 찾고있어요!! 6 케러셀 2013/06/20 866
265678 자칭 방사능 전문가, 방사능카페지기님 글 어디 갔어요? 5 ?? 2013/06/19 764
265677 현직 중고등 입시영어학원 부원장입니다. 다양한 질문 환영합니다~.. 29 입시영어학원.. 2013/06/19 4,056
265676 라디오스타에 애프터스쿨 라나라는 애 35 아휴 2013/06/19 10,320
265675 중요한 시험 앞두고 있는데 공부가 잘 안되요. 혼내주세요ㅠㅠ 2 엉엉 2013/06/19 525
265674 짝 여자2호....왜 인기죠? 7 녀름... 2013/06/19 2,220
265673 여자 2호 느무느무 비호감 9 짝짝짝 2013/06/19 2,815
265672 예전에 잠시 만났던 남자 근황을 알게 됐는데.. 그때는 스뎅이던.. 4 *** 2013/06/19 2,226
265671 신혼부부전세자금대출 ㅇㅇ 2013/06/19 502
265670 오디쨈을 샀는데요. 뭐에 발라먹으면 맛있을까요 5 . 2013/06/19 720
265669 블랙베리에 종속된 삶 이게 무슨 뜻이예요? 7 궁금 2013/06/19 2,217
265668 여왕의 교실 오늘 마지막에 어떻게 됐나요? .. 2013/06/19 497
265667 아이패드 소리가 났다 안났다 해요. 4 흑흑흑 2013/06/19 1,345
265666 세계일주 했습니다.. 질문..있으실까요? 48 ㅇㅇㅇ 2013/06/19 4,059
265665 통돌이쓰시는분 2 가루세제추천.. 2013/06/19 773
265664 로펌 변호사였어요 법률상담 빼고 질문하세요 ㅎㅎㅎ 55 ㅇㅇ 2013/06/19 17,5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