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아버지에 대한 미성숙한 감정. 주절거려 봅니다.

느느니한숨 조회수 : 1,095
작성일 : 2013-04-16 17:43:01

요즘 이런 저런 생각에 잠도 설치고 잠자리도 뒤숭숭한데,

잠시 주절거려 봅니다.

이혼한 아버지와의 관계 문제에요.

제 아버지란 사람은 제 입장에서 존경할만하거나 훌륭한 분은 아니세요.

가난한 집의 9남매 장남에,

저희 엄마한테 시댁 식구가 되는 할머니와 고모 편만 주구장창 드는,

아무 것도 없는 집안의 장남으로서의 우월감과 의무감에 가득 차

본인 가족들은 힘들게 하는 전형적인 옛날 아버지였죠.

저희 집은 저랑 제 여동생, 딸만 둘인데

엄마한테 아들도 못낳고 키도 작고 배움도 짧다고

친가 식구들과 합세해서 들들 볶고 못살게 굴었어요.

(아버지도 많이 배우시거나 한 건 아닙니다)

저는 잘 기억이 안날 만큼 어릴 때도

이혼하라고 고모들이 엄마 머리채를 잡았다는 얘기도 좀 커서 들었어요.

참... 쓰고 있는데도 울컥합니다.

나이도 이제 예순 채 못됐는데

근대기 드라마에 나오는 이야기 같기도 합니다.

인물이 좋아 여자가 많았고 여자 문제로 항상 엄마가 속을 끓이셨어요.

제 안사람에 대한 배려같은 건 찾아볼 수 없었고,

걸핏하면 윽박지르고 강압과 폭력을 행사했죠.

결국 제가 대학교 4학년 때 두분은 이혼하셨는데,

그것도 저희 엄마 의지는 아니었고

(엄마는 어떻게든 잘 해보려고 하셨구요 ㅠ.ㅠ)

아버지의 강요에 못이겨 이혼을 하셨어요.

30년 가까이 같이 살았는데 위자료도 없었고,

그 동안 잘못에 대해 미안했다는 사과도 없었습니다.

그리고 아버지는 다른 분과 재혼하셔서 지금 살고 계시고,

저희 엄마는 여전히 혼자시고 식당일 하시면서 힘들게 사세요.

엄마는 계속 '그래도 아빠한테 잘 해라. 아빠가 너한테는 잘 했다.

아빠도 참 불쌍한 사람이다...' 라고 이야기 하는데,

아빠에 대한 감정과 상관없이 제가 걱정돼서 하는 얘기라는 건 알지만

그럴 때마다 엄마한테도 화가 나요. ㅠ.ㅠ

그런 식으로 20대 때는 몇년동안 연락도 잘 안하고 찾아뵙지도 않았는데,

저도 나이를 먹었고, 어쨌든 아버지고

아버지가 나이를 먹으면서 약한 모습 보이는 것에

저도 마음이 약해지다,

제 결혼을 계기로 해서 일종의 평화상태를 유지하게 되었어요.

저희한테 잘 해주려고 하십니다.

그러다 작년 가을에 제가 살고 있는 지역으로 이사오시면서

부쩍 더 가깝게 지내고 싶어 하세요.

근데 제 동생이 몇 달 후에 결혼을 하게 되는데,

그걸 계기로 해서 다시 갈등이 폭발했어요.

본인이 아직도 우리 엄마 남편인 것도 아닌데

이것저것 불만을 늘어놓거나

조율(이라고 쓰고 간섭이라고 읽죠)하려고 하는 모습에

(자리 문제, 한복 문제, 이동 문제...)

그나마 추스려왔던 감정이 마구 마구 다시 올라온달까...

저는 어릴 때부터 아버지한테 진절머리가 나거든요.

엄마에 대한 것도 그렇지만,

(사실 제 동생 태어나고부터 한 10년 정도는 덜 해서

동생은 아버지에 대한 감정이 저 만큼 나쁘지는 않습니다)

'없이 사니까 어쩔 수 없어'라며

소소하게 편법을 써서 이익을 도모하는 모습들이 참 싫었어요.

그 과정에서 저도 자긍심에 상처받은 적 많았구요.

나름 다독다독하면서 여기저기 꼬매고 살고 있지만

제 혼자 문제가 아니라 엄마도 얽혀 있어서 참 마음이 그래요...

근데 이제 와서 가족인 척 코스프레 하는 걸 보면 참을 수가 없어요.

제가 전화를 잘 받지 않으면 제 남편에게 전화해서

용건을 이야기하거나 전화하도록 지시합니다.

그래서 요 며칠 골머리를 앓고 속이 시끄러워지면서,

어릴 때 아버지가 밥상을 엎거나 젓가락으로 밥상을 내리찍어

밥상이 못쓸 정도로 패였던 기억,

엄마한테 하던 행동들, 그런 모습들에 겁먹었던 어린 나,

아들이 아니라고 대놓고 싸한 눈으로 나를 보던 고모들, 할머니

(동생 결혼식 때 보게 될텐데,

또 이런 저런 참견하면서 큰 소리로 떠들면

결혼식이고 뭐고 엎어버릴 것 같아요)

왜 우리 엄마는 내가 이혼하라고 그렇게 울면서 애원할 때

안한다고 버티다가 결국 이혼당했나.

내가 지금 화가 나는 건 엄마한테서 감정적으로 분리가 안돼서인지,

아님 여러 번 비겁했던 나 자신에 대한 분노인지...

이런 저런 생각이 뒤죽박죽 돼서 막 소리내서 울고 싶어요.

난 왜 이렇게 미성숙한가,

과오가 있는 부모를 용서할 줄 알아야 정말 어른이 된다는데

여기서 아버지를 받아들여야 하는 걸까.

혹시 정작 우리 엄마는 용서했는데 나만 괜히 이러고 있는 건가.

나나 엄마한테 잘 하면 되는 거지, 엄마한테 잘 하지도 못하면서

아버지한테 화를 내고 있는 거 아닌가...

쓰다 보니 너무 긴 글이 된데다,

제 감정에 대한 변명과 투정이 되어 버렸네요.

그래도 이런 얘기 한번도 안해 봤는데

막 얘기하고 나니까 이제 진짜 울어도 될 거 같아요...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IP : 220.80.xxx.248
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roo
    '13.4.16 6:09 PM (182.218.xxx.145)

    어머니는 용서하지 않으셨을 겁니다
    단지 운명이다 하며 체념하셨을 것 같아요
    아버지에 대한 원글님의 감정
    너무 자책하지 마시고요
    용서가 쉽습니까?

    가장 좋은 건 아버지와의 단절이지만
    그게 쉬운 것도 아니고
    될 수 있는 한 얼굴 보는 시간을
    줄이는 수 밖에요
    아버지의 요구에 너무 순응하지 마시고
    원글님을 함부로 해서는 안된다는 걸
    아버지에게 환기시킬 필요는 있다고 봐요
    글고 어머니에게 더욱 더 잘해드리세요
    가장 상처입은 분은 어머니이시니까요

  • 2. 느느니한숨
    '13.4.16 6:30 PM (220.80.xxx.248)

    답변 감사합니다.
    그리고 저희 엄마 얘기도, 정말 감사해요.

  • 3. 느느니한숨
    '13.4.16 6:33 PM (220.80.xxx.248)

    사실 아버지도 일이 잘 안되고,
    함께 사시는 분과 관계나 건강 문제...
    이런저런 것들이 겹쳐서 우울해 하시는데,
    왜 아버지를 보고 싶지 않은지
    앞으로 관계를 어떻게 하고 싶은지
    이야기하는 게 좀 겁이 나요...
    그리고 루님 말씀대로 죄책감 같은 것도 있구요...
    하지만 잘 추스려야 겠죠. 하아...

  • 4. ...
    '13.4.16 7:17 PM (118.218.xxx.236)

    용서하려고 노력할 필요 없습니다.
    성숙해지려고 억지로 할 필요도 없구요
    사연을 읽어보니
    용서하거나 감싼다는게 불가능한 상황같아요
    먼저 반성하고, 수그러드는게 있어야 용서고 뭐고 있는거니까요.
    오히려 본인 감정을 그대로 드러내는 게 먼저 일거 같아요
    어머니가 미처 준비도 안된 딸에게 '그래도 아버지다..' 는 식으로
    감정적 억압을 한 것이 나빴던 거 같군요.
    그래서 원글님은 자기 감정에 충실할 기회가 없어서 성숙도 못하고 그저 정체되기만 한 거 같아요.
    죄책감 가질 필요 없구요. 먼저 자기 감정에 충실해 보세요. 아버지에 대해 원망할 건 하구요.
    어린 시절에 기억들.... 아버지가 잘못한 거 다 이야기 하세요
    터트릴건 터트려야 아뭅니다. 종기가 그대로 둔다고 살 되지 않아요. 터트려야 살이 되지요

  • 5. be happy
    '13.4.17 5:19 AM (220.125.xxx.243) - 삭제된댓글

    미성숙한 분이 아니세요.

    오히려,
    이제야 자기 자신이 처한 상황을
    객관적으로 보게 되신 거 같습니다.
    자기 자신에 대한 마음의 정리..랄까... 그런 거.

    그렇게 정리하고 나면,
    앞으로 살아갈 때 뭔가 힘이 되지 않을까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262918 칭찬해주세요.. 국민TV조합원 가입햇어용.. 13 칭찬 2013/06/12 771
262917 저 취직했어요~~~ 7 소래새영 2013/06/12 1,961
262916 중3아들 이시간까지 깜깜무소식 .... 3 해라쥬 2013/06/12 1,136
262915 집에서 혼자 마시기 좋은 술, 알려 주세요. 18 힘든 요즘 2013/06/12 4,365
262914 시어머니의 짜증 10 맘 다스리기.. 2013/06/12 3,526
262913 수학문제 풀어주세요.. 10 초2 2013/06/12 730
262912 MBC 뉴스 동네아저씨가 진행? 첨보는 아저씨가 진행하네요 5 서울남자사람.. 2013/06/12 1,464
262911 공약가계부 재원확충 ‘착시’ 논란 1 세우실 2013/06/12 526
262910 요즘 산오징어회 먹어도 될까요? 2 소금광산 2013/06/12 723
262909 아이 얼굴에 점 2 .. 2013/06/12 723
262908 마포구의 이미지는 어떤가요? 30 dkdk 2013/06/12 3,383
262907 요즘 깜박잊는게 많아서 걱정이에요 1 55입을수있.. 2013/06/12 354
262906 눈깜빡임 틱 땜에 고민예요.ㅜㅜ 10 floral.. 2013/06/12 4,259
262905 초5 아들 그림동화책(유아~초저) 푹 빠져읽고 있어요 ..;;.. 2 에구구 2013/06/12 817
262904 영어 해석~ 5 .. 2013/06/12 445
262903 전세대출- 은행이 주인 아파트에 전세권설정 하나요? 5 궁금 2013/06/12 2,114
262902 오로라공주 왜? 5명인가요? 15 왜? 5명 2013/06/12 4,293
262901 '제2의 남양유업' 꼼짝마 샬랄라 2013/06/12 707
262900 이거 끼워넣은건가요? 배우자 ㅠㅠㅠ 2 2013/06/12 1,397
262899 임파선염에 대해 아시는분요~ 5 임파선염 2013/06/12 4,703
262898 초4 사회 준비물 조언 부탁드립니다 ... 2013/06/12 426
262897 김치가 맛있는 한정식집 어디가 있을까요? 장마 2013/06/12 522
262896 피자도우 살수 있는 곳 없을까요? 4 구차니스트 .. 2013/06/12 1,302
262895 갑상선암인데 너무너무 피곤합니다 8 갑상선암 2013/06/12 6,989
262894 파주 교하 토익학원 토익 2013/06/12 8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