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요리 못했는데 잘하게되신분 비법좀...

입맛도없네 조회수 : 2,161
작성일 : 2013-03-13 13:36:26
입맛도 없는데 요리를 못해 그냥 한숨만 나오네요

요리 잘하는게 이렇게나 하늘이 주신 재능인지 정말 몰랐어요

밑반찬부터 뭘해도 맛이없으니 식사하는것도 즐겁지않고...
좋은재료가 생겨 블로그 찬찬히 뒤져 해봐도 기대이하 ㅜㅜ
뭐가 한그릇 뚝딱. 쉬운반찬이라는 건지...
남편이랑 아이한테도 미안하고...

잘하게되신분들 어떤 계기가 있으신가요?
학원이나 문화센터를 다녀보면 나을까요?

잘하시는 분들은 원래 잘하신건가요?
예체능 나왔는데 차라리 요리 잘하는 재능을 주시지...ㅜㅜ




IP : 1.241.xxx.70
13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3.3.13 1:43 PM (218.159.xxx.77)

    하다 보면 언젠가 느는 것을 알게 되요. 저도 직장만 다니느라 요리도 못배우고 결혼했는데 관심가지고
    자꾸 하다보니 왠만한 반찬은 하게되던데요.

  • 2. ...
    '13.3.13 1:45 PM (110.14.xxx.164)

    다른 재능처럼 타고난것도 있는거 같아요
    똑같이 해도 맛이 다른거 보면..
    우선은 관심있고 많이 해보고 미각이 발달해야 합니다

  • 3. ...
    '13.3.13 1:46 PM (61.43.xxx.115)

    책에 나오는대로 용량 꼭 지켜서 해보세요.
    계량스푼 계량컵 필참 하시고요. ^^

  • 4. ㅇㅇ
    '13.3.13 1:46 PM (203.152.xxx.15)

    하다 보면 늘던데요. 요리프로그램도 자주 보고 요리 레시피도 찾아보고 그러다 보면
    기본양념이라는게 뭔지 알게 되지요..
    어디에 뭐가 어떤 비율로 들어가야 하는지..

  • 5. ^^
    '13.3.13 1:48 PM (113.10.xxx.125)

    일단 요리나 먹는 것에 대한 관심
    그리고 반복학습.
    계량컵과 계랑스푼의 생활화.

  • 6.
    '13.3.13 1:50 PM (220.85.xxx.157)

    일단 미각과 후각이 발달해야 할것 같아요

    기본적인 식욕도 있어야 하고

    근데 공부도 타고난형 노력형이 있으니 비슷할것 같아요

  • 7.
    '13.3.13 1:59 PM (118.42.xxx.42)

    먹는거, 맛있는거 좋아하는 사람이 요리 더 빨리배우고 잘하는건 있는듯하지만

    세상에 공부하고 노력해서 안될일은 별로 없자나요..
    기본양념만 만들줄알면 요리 별로 안어려울거 같은데요ㅡㅡ

  • 8. 원글
    '13.3.13 2:12 PM (1.241.xxx.70)

    정말 정성스런 댓글들 감사해요
    요즘 계속 입맛이 없어서 한끼라도 잘 먹고 싶었는데 의욕이 꺾이니 이런 우울한 글까지 쓰게됐네요

    간 맞추는게 제일 어려워요

    그럼 예를들어 배추 반통을 사용하라고 하면 꼭 반통만 사용하시나요?
    저는 멸치 한줌, 두부 반모... 이런 양에 감이 없는거 같아요
    콩나물도 생기면 꼭 한봉지를 다 써야할거 같고...

    이런거가 잘못된거죠?

  • 9. 안티포마드
    '13.3.13 2:26 PM (220.85.xxx.55)

    문화센터나 구민회관 등에서 하는 가정요리 등록하시구요,
    저울, 계량스푼, 계량컵 사시구요..

    블로그에 나와 있는 레시피 보고 따라하면 내 입맛과 잘 맞지 않기 때문에 실패하는 일이 많잖아요.
    그럼 의욕도 꺽이고 자신감만 잃게 되죠.
    요리 교실 다니면 음식을 만들고 맛보는 과정까지 한번에 이루어지기 때문에
    바로 내 입맛에 맞는 레시피를 얻을 수 있어요.
    선생님이 알려준 레시피가 달다 싶으면 설탕만 조금 줄이는 식으로요.
    그렇게 기본 양념 공식(찌개, 조림, 불고기, 무침 등등 양념비율)을 익혀 놓으면 한식 요리 절반은 된 거예요.
    그리고 배추 반 통이면 얼마나 큰 배추의 반 통을 말하는 건지 잘 모르잖아요?
    요리 교실에선 눈으로 확인 가능하기 때문에
    집에 와서 혼자 할 때도 실패할 확률이 줄고요.

    저도 손맛 무지하게 없고 눈대중도 못 하고 아예 감이나 눈치라곤 없는 사람이어서
    매 끼 준비하는 것이 고역이었는데
    요리 학원에서 기본 요리 몇 개 익힌 뒤로는
    조금씩 응용도 하게 되고 새로운 요리에 도전도 하게 되고
    그럭저럭 재미나게 먹고 살 정도는 되었어요.

  • 10. 뒷북ᆢ
    '13.3.13 4:33 PM (117.111.xxx.109) - 삭제된댓글

    요리는 관심! 정성인거같네요
    제 경우엔 재료준비가 잘되면 맛은 어느정도
    보장되던데요 우선싱싱한것,냉동보다는
    생물재료들이 요리했을때 당연히 맛있더라는
    염도계 사용하니 간 맞추기가 알맞게되더라구요.
    마늘,생강등 미리 갈아서 준비,육수도 미리준비
    기본이 준비되면 조리시간이 짧아져요
    자꾸 하다보면 늘어요 처음에 조금씩 시도해
    보시면 차차 잘되구요 나름 재밌어지더라는~~

  • 11. 바다
    '13.3.13 7:22 PM (211.36.xxx.53)

    쪽지 주세요
    제가 쉬운 레시피부터 차근차근
    설명해드릴께요ᆢ

  • 12.
    '13.3.14 1:52 PM (119.71.xxx.92)

    원글님
    배추크기마다 다 다르겠지만 배추 반통을 우선
    요리해서 먹어보시구요
    남으면 쌈두 싸서 드셔 보시구...배추도 살짝 데쳐서
    나물로도 드셔보시구요
    그렇게 하다보면 다양한 요리 방법이 생겨요

    윗님들이 말씀하신거처럼 계량컵 사용하시다 보면
    손에 익는다고나 할까요

    불고기 한근에 간장 얼마, 소금 얼마 하고
    대중이 잡히구요. 혹 야채를 첨가한다면 간을 좀 추가 하는 식으로요
    좀 실패하시다 보면 요령이 생기실 꺼예요^^
    콩나물 한 봉지 다 안 쓰셔도 되요
    손만 커져요 다 먹지도 않아요
    콩나물 반봉지 먹고 남으면
    다른 콩나물들어 있는 요리 생각해서 사용하는것도
    중요하구요
    예를 들면 찌게나 국에 조금,쫄면도 좋고요
    라면에 조금 넣어서 먹으면 국물도 시원하고 좋구요
    다만 빛이 안들게 냉장고에 보관하는것도 중요하겠죠
    그러다 보면 나름 요령도 생기고 그러더라구요

    지나가다 약간의 첨가 적어 보고 가요
    결혼 18년차 아줌마 요령이었습니다 ^^

  • 13. 원글
    '13.3.16 2:42 PM (1.241.xxx.70)

    너무 뒤늦게 답글다네요 충고 주신분들 너무 소중한 글들이네요
    절대 지우지 말아주세요
    항상 다시 읽어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230090 신혼 집들이 결혼식 하고 나서 얼마 지나서 하셨어요? 10 honey 2013/03/15 1,516
230089 여행갈때, 부추를 씻어서 보관해서 가면 다 무를까요? 2 부추 2013/03/15 1,001
230088 플립 점수 깎는것보다도 연아 심리 흔들어놓는 게 목적이겠죠 7 ... 2013/03/15 1,543
230087 박경리 쌤의 토지에 대한 질문이요!! 18 토지.. 2013/03/15 2,772
230086 작은말실수라도하면 계속 신경쓰여요 7 ... 2013/03/15 1,322
230085 소변볼때 아랫배 통증 1 ㅠㅠ 2013/03/15 5,178
230084 실비보험 관련 문의합니다 7 도움부탁 2013/03/15 868
230083 쌀벌레 덜 생기게 하는 요령. 15 리나인버스 2013/03/15 1,865
230082 위암수술후 체력보강할수 있는게 뭐가 있을까요 3 건강 2013/03/15 2,786
230081 보리순이 한뭉치 생겼어요. 어떻게 먹죠 6 coff 2013/03/15 1,018
230080 고기 많이 먹이면.. 키 안크나요? 22 궁금 2013/03/15 4,483
230079 대화 타협 소통 양보 알아서 남주.. 2013/03/15 403
230078 나이들면서 무너지는 얼굴..방법없을까요? 11 슬퍼요 2013/03/15 4,432
230077 빕스 맛있나요? 12 ---- 2013/03/15 2,372
230076 오늘 날씨 추운가요? 3 2013/03/15 795
230075 싱크인 정수기 쓰시는분들 필터 얼마만에 가세요? 6 싱크인 2013/03/15 1,245
230074 40..아이크림 안 쓰면 후회할까요?? 12 .. 2013/03/15 4,182
230073 통3중이나 통5중 주전자는 잘 없나요? 11 아흐 2013/03/15 1,862
230072 3월 15일 [손석희의 시선집중] “말과 말“ 세우실 2013/03/15 430
230071 45세 이상 주부님들~ 파마 8 2013/03/15 2,442
230070 초등입학한애들 언제까지 등하교 시켜주시나요? 19 초등1엄마 2013/03/15 2,146
230069 좀 있어보이게? 옷을 입고 싶은데 좋은 사이트 좀 추천해주세요... ... 2013/03/15 906
230068 초등학부모 상담시 야구모자 쓰고 가면 실례일까요? 33 행복이 2013/03/15 4,636
230067 학원강사 분들이나 선생님들 봐주세요 2 감사 2013/03/15 937
230066 혹시 면목2동쪽에서 아모래 방판하시는분 안계시나요? 1 해라쥬 2013/03/15 3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