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요리 못했는데 잘하게되신분 비법좀...

입맛도없네 조회수 : 2,159
작성일 : 2013-03-13 13:36:26
입맛도 없는데 요리를 못해 그냥 한숨만 나오네요

요리 잘하는게 이렇게나 하늘이 주신 재능인지 정말 몰랐어요

밑반찬부터 뭘해도 맛이없으니 식사하는것도 즐겁지않고...
좋은재료가 생겨 블로그 찬찬히 뒤져 해봐도 기대이하 ㅜㅜ
뭐가 한그릇 뚝딱. 쉬운반찬이라는 건지...
남편이랑 아이한테도 미안하고...

잘하게되신분들 어떤 계기가 있으신가요?
학원이나 문화센터를 다녀보면 나을까요?

잘하시는 분들은 원래 잘하신건가요?
예체능 나왔는데 차라리 요리 잘하는 재능을 주시지...ㅜㅜ




IP : 1.241.xxx.70
13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3.3.13 1:43 PM (218.159.xxx.77)

    하다 보면 언젠가 느는 것을 알게 되요. 저도 직장만 다니느라 요리도 못배우고 결혼했는데 관심가지고
    자꾸 하다보니 왠만한 반찬은 하게되던데요.

  • 2. ...
    '13.3.13 1:45 PM (110.14.xxx.164)

    다른 재능처럼 타고난것도 있는거 같아요
    똑같이 해도 맛이 다른거 보면..
    우선은 관심있고 많이 해보고 미각이 발달해야 합니다

  • 3. ...
    '13.3.13 1:46 PM (61.43.xxx.115)

    책에 나오는대로 용량 꼭 지켜서 해보세요.
    계량스푼 계량컵 필참 하시고요. ^^

  • 4. ㅇㅇ
    '13.3.13 1:46 PM (203.152.xxx.15)

    하다 보면 늘던데요. 요리프로그램도 자주 보고 요리 레시피도 찾아보고 그러다 보면
    기본양념이라는게 뭔지 알게 되지요..
    어디에 뭐가 어떤 비율로 들어가야 하는지..

  • 5. ^^
    '13.3.13 1:48 PM (113.10.xxx.125)

    일단 요리나 먹는 것에 대한 관심
    그리고 반복학습.
    계량컵과 계랑스푼의 생활화.

  • 6.
    '13.3.13 1:50 PM (220.85.xxx.157)

    일단 미각과 후각이 발달해야 할것 같아요

    기본적인 식욕도 있어야 하고

    근데 공부도 타고난형 노력형이 있으니 비슷할것 같아요

  • 7.
    '13.3.13 1:59 PM (118.42.xxx.42)

    먹는거, 맛있는거 좋아하는 사람이 요리 더 빨리배우고 잘하는건 있는듯하지만

    세상에 공부하고 노력해서 안될일은 별로 없자나요..
    기본양념만 만들줄알면 요리 별로 안어려울거 같은데요ㅡㅡ

  • 8. 원글
    '13.3.13 2:12 PM (1.241.xxx.70)

    정말 정성스런 댓글들 감사해요
    요즘 계속 입맛이 없어서 한끼라도 잘 먹고 싶었는데 의욕이 꺾이니 이런 우울한 글까지 쓰게됐네요

    간 맞추는게 제일 어려워요

    그럼 예를들어 배추 반통을 사용하라고 하면 꼭 반통만 사용하시나요?
    저는 멸치 한줌, 두부 반모... 이런 양에 감이 없는거 같아요
    콩나물도 생기면 꼭 한봉지를 다 써야할거 같고...

    이런거가 잘못된거죠?

  • 9. 안티포마드
    '13.3.13 2:26 PM (220.85.xxx.55)

    문화센터나 구민회관 등에서 하는 가정요리 등록하시구요,
    저울, 계량스푼, 계량컵 사시구요..

    블로그에 나와 있는 레시피 보고 따라하면 내 입맛과 잘 맞지 않기 때문에 실패하는 일이 많잖아요.
    그럼 의욕도 꺽이고 자신감만 잃게 되죠.
    요리 교실 다니면 음식을 만들고 맛보는 과정까지 한번에 이루어지기 때문에
    바로 내 입맛에 맞는 레시피를 얻을 수 있어요.
    선생님이 알려준 레시피가 달다 싶으면 설탕만 조금 줄이는 식으로요.
    그렇게 기본 양념 공식(찌개, 조림, 불고기, 무침 등등 양념비율)을 익혀 놓으면 한식 요리 절반은 된 거예요.
    그리고 배추 반 통이면 얼마나 큰 배추의 반 통을 말하는 건지 잘 모르잖아요?
    요리 교실에선 눈으로 확인 가능하기 때문에
    집에 와서 혼자 할 때도 실패할 확률이 줄고요.

    저도 손맛 무지하게 없고 눈대중도 못 하고 아예 감이나 눈치라곤 없는 사람이어서
    매 끼 준비하는 것이 고역이었는데
    요리 학원에서 기본 요리 몇 개 익힌 뒤로는
    조금씩 응용도 하게 되고 새로운 요리에 도전도 하게 되고
    그럭저럭 재미나게 먹고 살 정도는 되었어요.

  • 10. 뒷북ᆢ
    '13.3.13 4:33 PM (117.111.xxx.109) - 삭제된댓글

    요리는 관심! 정성인거같네요
    제 경우엔 재료준비가 잘되면 맛은 어느정도
    보장되던데요 우선싱싱한것,냉동보다는
    생물재료들이 요리했을때 당연히 맛있더라는
    염도계 사용하니 간 맞추기가 알맞게되더라구요.
    마늘,생강등 미리 갈아서 준비,육수도 미리준비
    기본이 준비되면 조리시간이 짧아져요
    자꾸 하다보면 늘어요 처음에 조금씩 시도해
    보시면 차차 잘되구요 나름 재밌어지더라는~~

  • 11. 바다
    '13.3.13 7:22 PM (211.36.xxx.53)

    쪽지 주세요
    제가 쉬운 레시피부터 차근차근
    설명해드릴께요ᆢ

  • 12.
    '13.3.14 1:52 PM (119.71.xxx.92)

    원글님
    배추크기마다 다 다르겠지만 배추 반통을 우선
    요리해서 먹어보시구요
    남으면 쌈두 싸서 드셔 보시구...배추도 살짝 데쳐서
    나물로도 드셔보시구요
    그렇게 하다보면 다양한 요리 방법이 생겨요

    윗님들이 말씀하신거처럼 계량컵 사용하시다 보면
    손에 익는다고나 할까요

    불고기 한근에 간장 얼마, 소금 얼마 하고
    대중이 잡히구요. 혹 야채를 첨가한다면 간을 좀 추가 하는 식으로요
    좀 실패하시다 보면 요령이 생기실 꺼예요^^
    콩나물 한 봉지 다 안 쓰셔도 되요
    손만 커져요 다 먹지도 않아요
    콩나물 반봉지 먹고 남으면
    다른 콩나물들어 있는 요리 생각해서 사용하는것도
    중요하구요
    예를 들면 찌게나 국에 조금,쫄면도 좋고요
    라면에 조금 넣어서 먹으면 국물도 시원하고 좋구요
    다만 빛이 안들게 냉장고에 보관하는것도 중요하겠죠
    그러다 보면 나름 요령도 생기고 그러더라구요

    지나가다 약간의 첨가 적어 보고 가요
    결혼 18년차 아줌마 요령이었습니다 ^^

  • 13. 원글
    '13.3.16 2:42 PM (1.241.xxx.70)

    너무 뒤늦게 답글다네요 충고 주신분들 너무 소중한 글들이네요
    절대 지우지 말아주세요
    항상 다시 읽어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230910 뉴SM5 차에 USB 꽂을데가 있나요? 2 미즈박 2013/03/17 5,389
230909 생리할 때마다 무릎이 아프신 분 있나요? 3 별님ㅎ 2013/03/17 7,853
230908 머리 며칠마다 감으세요? 42 40대 2013/03/17 9,947
230907 지퍼 고장난 가방 구제하는 방법 5 가방 2013/03/17 2,049
230906 연아 선수 뒤로 지저분하게 늘어서 있는 광고들 7 저만그런가요.. 2013/03/17 3,803
230905 아이꺼로 명의 변경 할 때 필요한거 없나요? 2 핸드폰 2013/03/17 665
230904 부산에서 정읍역까지 바로 가는 버스나 기차가 있나요? 2 2013 2013/03/17 3,277
230903 혹시 사각턱 보턱스 맞아보신분 계신가요? 3 ?? 2013/03/17 1,857
230902 연아경기 해설 영상 자막 4 연아 2013/03/17 3,239
230901 필리핀에서 커피숖 창업이라(펌) 3 ... 2013/03/17 2,592
230900 보티첼리 패밀리세일 가보신분 계세요? 구매욕구 2013/03/17 5,526
230899 카톨릭 신자분들께(기도방법) 3 질문 2013/03/17 1,310
230898 피겨 까막눈이 보는 김연아의 연기 4 잠잠 2013/03/17 3,154
230897 헤어진 연인..자꾸연락오는건 6 숙희야aa 2013/03/17 2,857
230896 전 남친이 주치의예요 4 왜그러는걸까.. 2013/03/17 4,718
230895 요즘 학생들 정말 철이 없네요...(장애인 비하 미팅사건) 4 저녁 2013/03/17 1,463
230894 배대지 추천해주세요 1 추천해주세요.. 2013/03/17 1,131
230893 아이 과외팀 짜는데 어이없네요 101 스카이전업 2013/03/17 26,178
230892 앞머리 있는 분들 안 불편하신가요? 12 모태올백녀 2013/03/17 6,461
230891 아사다 마오ᆞ경기 보구싶네요 3 마오 2013/03/17 1,583
230890 부수수한 머리...자문 구합니다 2 ...,. 2013/03/17 1,399
230889 다들 오디오 비디오 어쩌셨나요? 3 오디오비디오.. 2013/03/17 1,519
230888 까치가 집을 지으려고해요.. 7 까악까악 2013/03/17 1,290
230887 좀 많이 오글거리는 경기 후 평...! 1 아나 2013/03/17 1,433
230886 아사다 마오 4 요조라 2013/03/17 2,0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