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Banner

현금 증여시 얼마부터 세금을 내야하나요?

궁금 조회수 : 7,580
작성일 : 2013-02-25 23:05:24
여기서 본 적이 있는데요.
부모님으로부터 상속으로 현금을 증여받았다는 가정하에
얼마부터 세금 납부대상이 되나요?
답변 주신 분들 미리 감사드려요^^
IP : 116.41.xxx.10
6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3.2.25 11:08 PM (223.62.xxx.153)

    10년동안 3000만원으로 알고 있어요.

  • 2. 질문을
    '13.2.25 11:14 PM (116.41.xxx.10)

    잘못 했네요.
    사위가 장모님께 4,300만원을 증여했다 했을 때
    증여세가 나올까요?
    남편이 공직자 재산신고를 하면서
    친정엄마한테 빌린 돈을 상환했는데
    처음 신고때 이 부분을 빚으로 신고하는걸 누락시켜서
    마이너스가 생기니깐 그냥 장모님께 증여했다고 하더군요
    혹시나 이 부분에서 문제가 생길까봐 여쭤봅니다.
    남편은 현금증여시 세금이 발생하는 걸 몰라서
    대충 그렇게 써서 제출했다고 하네요ㅠ

  • 3. 상속과 증여
    '13.2.25 11:15 PM (218.148.xxx.108)

    증여는 증여자 생존시에 받는거구요,
    상속은 직계존비속이나, 직계존비속이 없을시 방계,,등등 이런식으로 서열이 있으며 상속자 사후에 받는 것입니다.

    그래서 증여세와 상속세는 기본 공제 금액이 다르고, 대상에 따라 편차가 있으니 가족법에 의해 세부사항 살펴봐야 해요.
    증여세는 배우자가 아니면 증여금액에서 삼천만원 공제후 나머지 금액에 10%의 증여세가 산정됩니다.

  • 4. ...
    '13.2.26 12:44 AM (110.14.xxx.164)

    사실 5천 이하는 추적 안할겁니다
    미성년자도 아니고 양쪽다 성인이고 경제활동하는나이면요

  • 5. @@
    '13.2.26 6:54 AM (119.201.xxx.219)

    제가 알기론, 증여의 경우
    부자간에는 10년동안 3천만원인데..며느리나 사위는 500까지가 증여세 면제라고 봤어요.
    인터넷에 부자간 증여로 검색해보시면 어렵지않게 찾으실 수 있을거예요.
    친정어머님께 돈을 빌렸던게 현금으로 받으신건가요?
    통장으로 받으신거고 통장입금으로 갚으신거라면 그 내역 증명을 할 수 있으면
    빌린거 갚은걸로 인정될수도 있을거예요.
    근데 윗분 말씀처럼 아주 큰 금액이 아니라서 일반적인 경우는 추적해서 세금 매기진 않을거 같긴해요.

  • 6. 증여
    '13.2.26 10:58 AM (221.146.xxx.243)

    증여세를 계산하기 위한 공제액이고요(금액이 많을경우)
    그 정도 금액은 경제 활동 하시는분들이 왔다갔다 하는 금액이기 때문에 문제되진 않을겁니다.
    국민 한사랑당 국세청공무원 한 사람이 감시해야 할껄요
    송사리추적하려다 고래 못 잡지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249502 주택전세집 주인이 바꿔서 계약서를 다시 쓴 경우 확정일자는.. 2 문의 2013/05/06 915
249501 결혼 결정이 망설여 지시는 분들께 저의 개인적인 생각드려요. 21 결혼 후회... 2013/05/06 12,313
249500 보스톤과 동부쪽 지금 날씨가 어때요? 1 조은맘 2013/05/06 433
249499 연비 좋은 중형차 추천해주세요. 5 ... 2013/05/06 4,742
249498 아이허브에 대한 질문 드립니다 3 ... 2013/05/06 818
249497 국민연금 대신 꾸준히 넣을 뭔가 추천 좀 해주세요. 4 50대 전업.. 2013/05/06 1,472
249496 친구가 결혼한다고.. 4 123 2013/05/06 1,016
249495 식당과 남편... 1 ---- 2013/05/06 855
249494 [원전]한국은 후쿠시마의 교훈을 무시하지 말라! 1 참맛 2013/05/06 421
249493 간장게장 담글때 끓는 간장을 바로붓나요? 5 bobby 2013/05/06 1,534
249492 어느 택배기사의 하루! 4 어떤아짐 2013/05/06 2,568
249491 김한길의 아버지, 문성근의 아버지 5 샬랄라 2013/05/06 1,939
249490 전업주부는 언제 은퇴하는가요? 24 나님 2013/05/06 2,769
249489 아이들에 대한 기대와 현실의 갭이 너무 큰 것 같아요.. 2 ㅎㅎ 2013/05/06 911
249488 요 밑에소풍때 부침개 부친다고 글올렸는데요 3 ㅇㅇ 2013/05/06 1,060
249487 저는 진심으로 스마트폰이 재앙인 것 같습니다... 22 진심으로 2013/05/06 4,323
249486 박원순 시장 "일자리 없다는 말 믿을 수 없다".. 7 할리 2013/05/06 1,028
249485 신문1년정기구독권과 상품권당첨..낚인건가요? 3 당첨 2013/05/06 535
249484 임신3개월..회사일에 자꾸 집중을 못해요 5 ... 2013/05/06 897
249483 파워블로거 관리하는 회사가 따로있나봐요? 7 ,,, 2013/05/06 1,907
249482 공공부분 비정규직, 정규직과 임금격차 더 벌어져 세우실 2013/05/06 638
249481 특히 고3 수험생 부모님들을 위해 1 좋은 정보를.. 2013/05/06 848
249480 카드사에서권하는 복리저축... 4 금육상식부족.. 2013/05/06 1,100
249479 어제 성동일씨가 준이 달래는거보고 감동했어요 3 ... 2013/05/06 5,012
249478 어제 어린이날 딱 5시간 조카랑 놀고 실신했어요. 9 엄마들을 존.. 2013/05/06 2,4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