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멸치랑 다시마로 육수 우려내고 나서 그거 그냥 다 버리시나요??

... 조회수 : 6,348
작성일 : 2013-02-22 20:39:41

 

제목그대로

큰멸치랑 다시마로 육수 우려내고나서 그거다 버리나요?

 

 

얼핏 티비가 어디서 봤는데..

그걸 다시 말려서 가루로 내서 조미료로도 활용한다고 본거같긴한데..

 

다들 어떻게 하세요 ??

 

전 그냥 버려요 말리기도 힘들고.. 그래서요 ..

말리는 기계도 없으니...

IP : 180.224.xxx.59
9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3.2.22 8:42 PM (123.212.xxx.135)

    육수를 제대로 뽑고?나면 멸치에서 아무맛도 나지 않아요.
    아무맛도 나지 않아서 조미료로 사용할 수 없을텐데요.
    저는 길냥이 주는데, 아주 잘먹어요.

  • 2. 멸치
    '13.2.22 8:43 PM (112.151.xxx.163)

    염분 빠진 멸치 그냥 드시는분 봤어요. 자긴 그거만 먹는다고요.

  • 3.
    '13.2.22 8:47 PM (59.86.xxx.85)

    다 버려요
    매번 나오니깐 처치곤란하더라구요
    울강아지라도 먹으면 주겠는데...강아지도 안먹더라구요

  • 4. ..
    '13.2.22 8:48 PM (211.224.xxx.193)

    다시마는 돌돌 말아서 가위로 채쳐 고명으로 올리는데요.

  • 5. 어떤
    '13.2.22 8:50 PM (112.171.xxx.81)

    음식을 만드느냐에 따라 달아요.
    멸치의 경우 잔치국수 등 육수만 사용할 때는 버리고 된장찌개를 만들 때는 버리지 않고 그냥 먹어요.
    다시마는 가위로 잘게 썰어 음식과 함께 먹구요.

  • 6. ..
    '13.2.22 8:51 PM (180.224.xxx.59)

    그렇군요 저도 그냥 버려야겠네요 괜희 아까워 했었는데 ㅋㅋ

  • 7. 전 2번 우려내고
    '13.2.22 9:13 PM (182.211.xxx.229)

    맨처음에 한번 우려내면 아까워서 ㅠ.ㅠ (1년에 멸치랑 다시마 값이 장난아니라서....)
    요즘에는 2번 우려내요. 어떨때는 섞어서 사용하기도 하고, 그냥 2번째 우린 것만 사용하기도 해요.
    2번째 우려낸 육수는 진하지않고 아주 농도가 옅지만 그럭 저럭 쓸만해서....그냥 사용해요.
    그리고 맨 나중에 건져낼때 멸치는 제가 우적우적 씹어먹어요. 냄비 옆에서 멸치 건져내서 입에다 넣고 있으면
    제 자신이 꼭 연어 낚아먹는 곰(ㅡ.ㅡ) 같아요.
    처음에는 멸치 건져먹다가 이건 사람이 먹는게 아니다 싶을 정도로 맛없었는데
    계속 먹다보니 요즘에는 먹으면 짠기 하나도 없고 비린 맛도 하나도 없는데 씹으면 씹을수록(이게 중요!!!)
    고소해서 맛있어요^^

  • 8. //
    '13.2.22 10:23 PM (1.238.xxx.165)

    저도 길냥이에게 주고 있어요. 자정 가까운 시간에 냥이들 밥주는 곳에 살며시 가져다 놓고 다음날 아침 확인해 보면 깨끗하게 싹싹 늘 비어 있어요.

  • 9. ++
    '13.2.23 10:54 AM (14.52.xxx.133)

    전에는 그냥 버린 적이 많았는데요. 박찬호씨 부인 박리혜씨의 요리책을 본 뒤로는
    버리는 게 마음이 편하지가 않아서 맛간장에 조려 한 끼 반찬으로 저만 먹는답니다.
    어제 뉴스에도 지나친 칼슘제가 심혈관질환을 일으킨다고 나오던데
    아무래도 멸치뼈가 도움이 되겠지요.
    다음은 '리혜의 메이저밥상'에서 직접 인용한 글입니다.
    -41쪽 "찬호씨가 절대 안 먹는 국물 낸 멸치, 이미 맛있는 성분은 다 빠져나가 맛은 없지만
    뼈째 먹는 칼슘 덩어리인데 저걸 어떻게 버리나 싶어 한 마리씩 입에 넣고 꼭꼭 씹어 먹죠.
    그러다 보면 포만감이 생겨 과식을 안 하게 돼 저절로 다이어트가 돼요.
    그런 저를 보고 친정어머니는 궁상맞다고 야단하시지만 음식물 쓰레기로 버리는 것 보다
    아름다운 일이죠."
    -37쪽 "멸치는 시간 있을 때 미리미리 손질해둡니다. 국물 낼 때 바로 사용할 수 있어 편리하고
    기본 국물이 똑 떨어진 바쁜 아침 시간, 멸치 국물 내가며 국 끓이고 할 시간이 없을 때
    손질해둔 멸치를 그대로 넣고 끓이면 시원하고 맛있는 국물을 낼 수 있죠.
    멸치를 손질할 때는 배를 갈라 내장만 떼어내요. 보통 보기 싫다고 머리까지 떼머내기도
    하는데 멸치머리에서도 몸통 못지않게 시원한 국물이 많이 우러나므로 떼어버리면 아깝죠.
    멸치를 많이 손질할 때는 머리만 모았다가 국물을 끓일 때 쓰기도 합니다.
    비린내를 없애려면 접시에 멸치 20마리 정도를 겹치지 않게 깔고 전자레인지에 20초만 돌려보세요.
    그냥 집어 먹어도 좋을 만큼 바삭해지면서 비린내가 싹 가신답니다.
    팬에 볶는 것보다 한결 간편하죠."
    -45쪽 "멸치국물이나 가쓰오부시 국물을 낼 때 함께 넣고 끓이면 감칠 맛을 내는 다시마.
    국물 우리고 난 다시마는 버리기 참 아깝죠. 곱게 채 썰어 북엇국에 넣었더니 보기에도 좋고
    다시마를 그대로 먹을 수 있어 더욱 좋아요. 따로 두었다가 주방을 왔다 갔다 하며 한 쪽씩
    먹으면 입이 심심치 않아 좋고요."
    맛간장이 없으시면 즉석에서 간장,맛술, 청주, 설탕이나 올리고당, 물,다시마를 끓이다가 멸치나 채썬
    다시마를 넣어 조려 드시면 됩니다. 저 같은 경우는 국물멸치를 너무 크지 않은 적당한 크기로 합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253464 수건 도매는 어디가 좋죠? 남대문?동대문? 3 ㅇㅇ 2013/05/16 3,828
253463 스마트폰 전화번호가 다 지워졌어요T.T 3 양배추 2013/05/16 2,043
253462 결혼정보히사 등록은 돈버리는 일일까요? 15 하늘하늘 2013/05/16 3,400
253461 대법 "정상적 부부사이라도 강간죄 성립" 1 부부간에도성.. 2013/05/16 655
253460 요즘 신축빌라 관리비 대부분 정액납부인가요? 7 추세 2013/05/16 1,460
253459 어버이날에 조부모님도 챙기나요? 9 얼마전 2013/05/16 3,090
253458 영화추천 좀 해주세요 중학생 2013/05/16 463
253457 나드리 가고 싶어요~~ 7 나드리 2013/05/16 1,104
253456 박근혜 정부 세금 폭탄 시작????? 2 .. 2013/05/16 1,777
253455 한국노인 절반이 빈곤층… OECD국가 중 가장 가난 2 집토끼 2013/05/16 835
253454 살인 진드기가 뭐길래 1 미오리 2013/05/16 1,127
253453 운동회라 아이스크림 넣어 줬는데 맛없는 거라 싫타고~ㅠㅠ 9 중학생 2013/05/16 2,629
253452 전 임신하면 10달동 배만 불러 있다가 낳는 줄 알았어요 21 이런거였나 2013/05/16 6,281
253451 낼 절에가면 절밥 먹을수 있을까요? 22 절밥 2013/05/16 5,023
253450 아파트 입주자대표회의 운영비 내역이요, 대개 공개하지 않나요? 4 대표회의 운.. 2013/05/16 3,172
253449 등산 혼자가는거 안위험한가요? 10 동네산 2013/05/16 6,076
253448 짚신 짝은 짚신이라는 말. 4 지푸라기 2013/05/16 1,125
253447 美경찰보고서 ‘윤창중 성기 노출 장소’ 분석해보니.. 2 참맛 2013/05/16 3,185
253446 갑자기 현관문 당겨보고 가는 사람들. 뭔가요? 5 이거 뭐죠?.. 2013/05/16 2,306
253445 격앙된 동포사회.. ”최고 인재를 가이드라니?” 9 세우실 2013/05/16 2,299
253444 지역 82님들 노통 4주기 추모 자원봉사자를 찾습니다. 노란풍선 2013/05/16 658
253443 복도식 아파트 끝집 어떨까요? 15 17평 2013/05/16 18,401
253442 그날 예정일이 지났는데도 생리 안할때 짜증 안나세요? 2 --+ 2013/05/16 1,761
253441 대법, 유신시절 긴급조치 4호도 위헌 판결| 1 유신헌법은 .. 2013/05/16 634
253440 내일 서울랜드 2 .. 2013/05/16 8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