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대보름 나물.

보름이야. 조회수 : 1,654
작성일 : 2013-02-22 12:05:42

 이번 정월 대보름 챙겨 볼려고 합니다.

그런데.. 보름 나물은 꼭 말린 거 써야 하나요?

 

인터넷으로 장보려 하니까.. 말린 취나물, 말린 가지, 말린 호박고지... 말린 무청.

죄다 말린 나물이네요. ^^;;

 

말린 건 물에 불리고.. 끓이고... 좀 번거로워서...

특히 시래기는 껍질 벗기는 거 좀 힘들더라구요. ㅠㅠ.

 

 

그리고 대보름에 꼭 해야 하는 나물이 정해진 건가요?

 

저는 그냥 제가 하기 편한... 무나물, 시금치나물, 콩나물 같은 것도 가짓수에

넣을까... 하는데... 이렇게 하면 너무 엉터리인지....

 

82분들은 대보름 나물 뭐... 하시나요?

 

손쉽고.. 맛있게 하는 방법 좀 들려주세요~~

 

 

IP : 121.168.xxx.43
8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하스
    '13.2.22 12:07 PM (221.146.xxx.243)

    절대 엉터리 아닙니다.
    맛나게 해서 드세요

  • 2. ㅇㅇ
    '13.2.22 12:07 PM (125.132.xxx.67)

    고사리 쉬워여

  • 3. 어제
    '13.2.22 12:10 PM (49.143.xxx.252)

    재래시장 가서 천원어치씩 달라니까 안된며 신경질을 내시길래.. 2천원 어치씩 샀더니 너무 많아요. 어른 둘에 5살 아이 하나인데..
    오늘은 마트 갔더니 그 절반 되는 양이 전부 2천 몇백원..ㅜㅠ
    불친절해도 재래시장이 낫긴하네..하고 왔어요.
    마트에 보니 콩나물. 무나물 .시금치..고사리.도라지..이렇게 나물 세트로 만들어 놓고 만천원인가 하더군요.
    콩나물 무나물 하셔도 될 듯해요.

  • 4. ㅇㅇㅇ
    '13.2.22 12:12 PM (182.215.xxx.204)

    윗님 좋은정보 감사해요 재래시장 가야겠네요 ㅎ

  • 5. 스뎅
    '13.2.22 12:12 PM (124.216.xxx.225)

    묵은 나물을 먹어야 그 해 여름에 더위를 안탄대요^^

  • 6. 보름
    '13.2.22 12:15 PM (211.255.xxx.22)

    대보름나물 준비하는 중에 글 보고 반가워서 로그인 했어요 ^^
    대보름나물은 정해진 것 없구요 님께서 말씀하신 무나물, 시금치나물, 콩나물은 제가 꼭 빼놓지 않고 넣는 거네요.
    특히나 한참 무와 섬초가 달고 맛일 때라 빼놓기 섭섭해요.

    그리고, 말린 나물은 나물을 말리면 영양소가 훨씬 풍부해진다고 해요.
    옛 어른들께선 겨울에 나물 보관하기 힘드니 미리 잔뜩 말려두고 겨우내 먹다가 막 봄나물이 나올 무렵인
    대보름에 묵은 나물 처지겸 9가지 나물을 먹었다고 하죠.
    조상의 지혜와 건강이 담긴 대보름 나물, 이왕 하는 거 제대로 건나물 불려서 해보세요.

    저도 결혼 초에는 호박고지, 취나물 등등은 생나물 사다가 해먹었는데, 말린 거 불려서 해보니 그
    첫 맛은 꼬들하니 부들 부들 퍼지는 맛을 포기할 수가 없어요.
    이때 아니면 건나물 불려서 이것저것 할 일이 또 없고. ^^;

    함 해보세요. 제가 한번 하면 뭐든 좀 후덜덜 하게 하는 편인데, 후덜덜 하게 하고 가장 보람 찬게
    보름 나물이예요. 1주일 내내 찰밥과 먹다 보면 똥배가 쏙 들어가는 효과까지 덤으로. ^^

  • 7. 보름이야...
    '13.2.22 12:21 PM (121.168.xxx.43)

    역시.. 댓글들이 너무 도움이 되네요. 댓글 달아주신 분들 너무 감사해요. ^^

    말린 묵은 나물을 먹어야 하는 이유... 다 그럴만한 이유가 있는 거 군요. 스뎅님 댓글 감사 ^^

    보름님의 친절한 설명도 너무 감사해요. 말린 나물... 번거로워도 한번 시도해 보렵니다. ^^

    나물에 대해서 이렇게 공부하고...

    이젠 오곡밥이랑 복쌈... 알아볼려구요. ^^

    오곡밥 맛있게 짓는 법 아시는 분~~비법 부탁드립니다. ^^

  • 8. 오곡밥
    '13.2.22 12:27 PM (221.146.xxx.243)

    찜솥이 있으면 찌세요. 팥은 삶아서 쓰셔야 됩니다. 팥삶은물은 버리지 마시고~
    나머지 잡곡은 충분히 불려서 썩어서 찌세요.
    충분히 쪄졌을때 꺼내여 팥삶은 물에 소금간을 하여 넣어서 버무려 주신다음 한번 더 찌시고 뜸을 들이면
    몇일 놔두어도 상하지 않고 맛잊게 드실수 있습니다. (약식과 같은 방법입니다. )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221987 가톨릭 신자분들께 여쭤봐요. 3 여쭙니다 2013/02/24 954
221986 서영이 아버지~ 10 릴리 2013/02/24 4,697
221985 미국에서 호두는 무조건 사오면 안되나요? 12 미국 2013/02/24 7,231
221984 석정온천 다녀왔어요.. 3 석정온천 2013/02/24 1,388
221983 82에 배너광고요.. 6 야옹 2013/02/24 670
221982 억울한 사연 봐주세요 22 트윅스 2013/02/24 4,915
221981 지펠광고 전지현 유부녀 컨셉도 마다안하는거 신선해 보여요. 19 === 2013/02/24 5,537
221980 노처녀의 특징 글과 그것을 모르는 노총각들 26 푸른보석 2013/02/24 7,848
221979 23개월 된 딸이랑 벌써 관계 실패한거 같아요 5 ... 2013/02/24 2,758
221978 자기가 자랑스런 대통령이었다는 MB, 새정부의 성공 기원을 염원.. 늘고마워 2013/02/24 446
221977 검은콩 꾸준히 드신 분들 효과 보셨나요? 9 .. 2013/02/24 6,011
221976 3월에 초등학생되는 딸아이 수학성향.. 4 어떻게 가르.. 2013/02/24 977
221975 이게 혹시 고혈압 증상인가요? 15 44세 2013/02/24 3,907
221974 미샤 언제 세일하죠? 1 ㄴㄴ 2013/02/24 1,029
221973 한자급수시험 왜 보는 건가요? 7 오직하나 2013/02/24 2,872
221972 아빠 어디가 후야 너무 귀여워요 25 귀여워 2013/02/24 11,263
221971 저두 소개팅 후 문의 좀 드릴게요;;; 11 저두 2013/02/24 3,188
221970 명품가방 인터넷서 믿고 살만한곳,,? 2 2013/02/24 1,562
221969 남편의 보험...... 20 살다보면.... 2013/02/24 3,847
221968 부모님 부채 4 심란한 맏딸.. 2013/02/24 1,523
221967 김기백 "광주폭동 주장은 오히려 북을 도와주는격&quo.. 1 이계덕기자 2013/02/24 842
221966 밥상에서 반주하는 남편, 정말 싫어요 46 술병치워 2013/02/24 12,672
221965 아파트 에 웃긴? 현수막 10 2013/02/24 3,944
221964 나이가 들어가는 남편-_- 22 허허 2013/02/24 4,952
221963 제 남편이 확실히 성격적 결함이 있는듯한데.. 제 말씀 좀 들어.. 82 고민 2013/02/24 21,2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