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부모 모시면 결국 가정불화로 피해는 손자 손녀들이 볼 수도 있어요..

시부모 조회수 : 2,702
작성일 : 2013-02-20 00:31:02
물론 시부모, 친부모 잘 모시고 잘~~~ 사실 분 있겠지만.. 

친할머니랑 같이 살았구요. 
할머니가.. 인격적으로 좋은 분이 아니었어요. 

자랑하는거 좋아하시고(노인정 가서.. 반지 자랑하고 이런거.. --;;, 아빠한테 한소리 들었었죠..) 
까탈스럽고..(고기도 안드시고)
원만한 성격도 아니고.. 

저는 예뻐해주셨지만... but..엄마가 처음 결혼했을 때 할머니랑 아빠 식구들 만나고 충격이라고 했어요. 
엄마가 정말 시집살이 많이 하셨구요.. 


두분다 가난하셨지만.. 친가 쪽이 좀 .. 인격적으로 문제가 있었던듯.. 

어쨌든, 돈욕심도 (얼마 안되는 돈..이지만..) 많으시고..
자식을 사랑으로 못키우셔서... 자식들(고모나 큰아빠..)도 별로고.. 
큰아빠가 안모신다고 해서 둘째인 저희 아빠가 모신건데...

정말 안모셨으면 저희 집이 행복했을거 같아요..

엄마 아빠도 하루에 쓸 수 있는 에너지가 100이 있는데.. 할머니 뒤치닥 거리 하고.. 그러느라 상당히 에너지가 소비되고..

자연히 그러면 자녀들에게 돌아가야 하는 관심,,.정서적 지원.. 경제적 지원...다 빠지죠..

돈 많으신 분들이면 상관 없겠지만..
저희 집은 아니였어요..

없는 살림에.. 할머니가 자식 교육잘 못시켜서 아무도 안모신다는 거 보고.. 자란 저도.. 
참 그렇고.. 

직장일도 잘하시고.. 
특히 자녀들에게 정서적..으로 빈공간 안만들 자신 없으시면 .. 모셔도 상관 없겠지만..

글쎄요.. 
성인들이 같이 산다는게 ... 쉬운게 아니잖아요. 

우리나라 어른들 또 대접 받는거 좋아하고.. 자랑하는거 좋아하고 이런 분들 있잖아요.. ;;;

유교사상 참.. 왜 한국에 와서 변질 되서.. 수많은 사람들을 고통스럽게 하는지.. 답답합니다. 

소박하고, 조용하시고, 취미생활 있으시고, 자식들에게 많은거 바라지 않으시고..건강하시고, 
이런 부모님이시면 모셔도 좋겠지만..

그런 부모님 2%될까요?


합가해서 행복한?? 분들도 .. 있겠지만.. 혹시나 해서 적어드립니다. 
저는 너무 예민해서 그런지. 할머니랑 살아서 ..ㅜㅜ 맨날 피곤했던 기억만 있어요 ㅜㅜ 휴....
엄마 아빠 목소리 높이고..ㅜㅜ 



그리고 제가 예민한 아이여서.. 더 그럴 수도 있지만.. 아이들도 다 느낍니다. 아이들이 어른보다 더 예민 할 수도 있구요. 왜냐.. 아이들은 사회의 규칙을 따라서 행동하거나 판단하지 않죠. 보는 그대로 느낀 그대로 판단합니다. .. 제가 공부를 했지만,.. 가정 불화 있는 양친 밑에서 자란 아이들보다는 편모 편부 슬하에서 자라더라도 정서적 인격적으로 적당한 환경 에서 자라면 더 건강한 성인이 될 수 있어요.. 아.. 정말 우리나라에서 유교식? 문화 하루 빨리 사라졌으면 좋겠어요, 



IP : 222.108.xxx.112
6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13.2.20 12:35 AM (79.194.xxx.60)

    저도 한 표 ㅠㅠ 저도 합가한 맞벌이 부모님 밑에서 자랐으나 저도 동생도 외롭고 힘들게 자랐네요;;; 심지어 성격형성에 결정적인 영향을 끼친 듯 합니다 ㅠㅠ

  • 2. 까칠이
    '13.2.20 12:58 AM (175.208.xxx.181)

    저두 그낙 인품이 좋지 만은 않으신 할머니가 계셨어요.
    부모님이 바쁘시면 가끔 저희 집에 오셨는데
    저희를 돌보는게 아니라 야단치고
    어머니 살림살이에 대한 험담에
    저희 남매 많이 먹는거에 대한 야단.야단.. 식충이라는 소리도 들었어요.ㅠㅠ
    할머니가 좋지 않았는데
    제가 결혼하고보니
    저희 아이들 가끔 오시는 할머니의 안정된 정서 덕분인지
    제 시어머니 오시면 아이들이 급 반듯해져요.
    같이 살지 않아도 경우 마다 다른 것 같기도 해요.
    원글님 기억이 어떤건지 전 알겠어요.

  • 3.
    '13.2.20 1:03 AM (118.219.xxx.187)

    님 말씀 다 맞아요. 저도 경험 있어서 누구보다 잘 알구요...
    그런데요...그렇게 겪어봐서 알고, 이론적으로도 힘든 일이라는거 잘 알지만.
    결국 부모님 연로하시면 자식이 모셔야지...누가 모시나요.
    이게 꼭 남의 일이 아니더라구요.
    주변에 결혼해서부터 분가해서 30년 분가해서 살았는데, 시어머니 연로하시고 혼자 되시니 결국 아들하고 합가한 집있어요. 서로 스트레스받는거 누가 모르나요... 아마 시어머니도 싫지만 할수 없어서 굽히고 들어간듯했어요. 연로하신 어머니 혼자 두는것도 자식으로서 할 도리가 아니구요. 걱정되는게 정상입니다.

    누군가는 해야 되요. 다만 같이 살면서 서로 충분히 의견조율하고 타협점을 찾아서 스트레스 덜 받는 방향으로 해야지요. 무조건 같이 사는걸 안좋은 쪽으로 보는것도 잘못된것 같아요.
    다행한 점은 요즘에는 옛날처럼 며느리 한테 막대하는 시어머니는 별로 없다는거에요.
    오히려 어머니 쪽에서 같이 사는걸 싫어하죠. 며느리 눈치보고 사는것도 싫고...
    그래도 어쩌겠어요. 늙고 힘없어서 건강 장담 못할 나이가 되면...자식을 의지하게 됩니다.
    늙었다고 무조건 요양원가고 병원가고 그러는거 아니에요... 집에서 간호를 못할 정도가 되어야 가는곳이죠...

    이래서 아들 역할이 참 중요한데...그 역할 잘하는 사람이 없어서 가정불화생기고 그래요.
    남자들이 참 그런 역할 못하더라구요. 생각도 깊지가 않구요. 배려도 별로 없고...
    남자들만 중간에서 잘하면 부모 모시는거 좋은일이고, 자식들한테도 배울점 많아요.

  • 4. 부모
    '13.2.20 1:11 AM (222.108.xxx.112)

    결혼후 30년후면 괜찮네요.. 아이들도 거의 장성했을 때구..

    저흰 제가 초등학교-중학교 시절인데..
    엄청 엄마 손 필요한 시기인데.. 저는 덕분에 불우하게 지냈구요..
    엄마 아빠에게 정서적으로 학대 당했다고 생각해요.. 저는 엄마 아빠가 결혼한지 10년 안되서.. ㅜㅜ

    휴.. 지옥같은 나날들

  • 5. 제사도 그렇지 않나요
    '13.2.20 1:50 AM (14.37.xxx.32)

    보통 제사지내는집들이 가정불화가 많던데..
    니가 하니 내가 하니.. 말많아지고..유산문제..돈문제로..가족,형제들끼리 불화가 심하고
    심지어 왕래도 없게되더군요...
    물론 그 중심에는 부모들의 이기심이 한몫하죠..

  • 6.
    '13.2.20 11:26 AM (218.51.xxx.204)

    원글님말 구구절절 다 맞다 생각들어요
    저도 인격 훌륭하지 못한 할머니가 계셨고요
    친정엄마의 시집살이 결국 그 스트레스가 자식들에게 오더라고요 한참 예민하고 실수많은 유년시절 적당히 밖으로 들어내지 않고 감싸줘야 할 시기에 모든 게 친척들에게 오픈되고 부모의 에너지는 할머니와 아빠형제들에게 쓰이니 자식들에게 쓸 에너지가 고갈되는듯 하더군요
    이제는 부모님도 자식에게 미안해하신답니다
    겪어보지 않은 분들은 이해 못하실 거에요
    언젠가 엄마께서 저에게 옛날 일 하소연 하시는데 저는 엄마가 착해서 시집살이 견뎌낸 게 아니라 엄마 편하자고 시집살이 덜 하려고 자식은 뒷전이고 자식은 보이지도 않고 다 받아줘가며 산 것 아니냐 자식 생각했으면 그렇게 하면 안되는 것 아니였느냐 울면서 싸웠던 기억이 나네요
    지금은 그정도로 며느리 시집살이 시키는 부모 없겠지만 저희 때만해도 상상초월 많았을 겁니다
    약하든 강하든 고부갈등에 피해자는 인격 성격 만들어져가는 어린 아이들 즉 손자 손녀 특히 감정이 예민한 손녀들이 아닐까 생각해봅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221551 선거기간 언론사 비방트윗 올린 보수논객 고소 이계덕기자 2013/02/23 442
221550 병원가기전에 좀 여쭤볼께요.. 1 장미 2013/02/23 499
221549 뮤지컬 배우 최정원 4 ... 2013/02/23 3,216
221548 내용 펑합니다 7 예전만큼은 2013/02/23 3,516
221547 초등 수준영어 질문하나만 받아주셔요^^ 2 초등영어 2013/02/23 676
221546 과외했던 아이들 중 잘 된 아이들의 방의 공통점. 4 비비빅 2013/02/23 4,628
221545 임신 8주차.. 너무 많이 먹는것 같습니다... 4 대책없는 식.. 2013/02/23 1,802
221544 룸살롱 에서 아가씨 사진을 몰래찍어 저장 6 싸이코 2013/02/23 5,652
221543 전세계약 질문.... 2 복잡 2013/02/23 582
221542 왜 여기는 논현동인데, 치과이름이 왜 시카고 치과지 ? 5 2013/02/23 2,691
221541 어린이집 떠나는데 눈물이 멈추지 않네요 ㅠㅠ 6 다봄맘 2013/02/23 2,697
221540 엄마들 애재워놓고 왜 새벽까지 깨어있는지 알것같아요. 10 이제야 2013/02/23 4,132
221539 우리 아이 앞길 막는 엄마의 착각 19 2013/02/23 1,444
221538 82쿡이 인터넷에 모든것인 분들 은근 많지 않나요? 15 2013/02/23 3,288
221537 등급높은 다이아는 수입해서 들어오나요? 6 예비신부 2013/02/23 1,325
221536 38살 이후 첫 출산 하신분들.. 아이 낳은것.. 후회 안하시나.. 15 .. 2013/02/23 9,612
221535 아이들 자주 접하시는 분들, 딱 보면 공부 잘 할 지 감이 오나.. 11 팜므파탈 2013/02/23 3,375
221534 딴여자 생겼다고 고백해서 헤어졌는데 보고싶네요 9 .... 2013/02/23 3,424
221533 저는 남자 연예인중 가수 홍경민이 참 좋던데... 18 .. 2013/02/23 6,290
221532 [단독] 오상진 아나, MBC 사표제출 “방송 복귀 오래 걸리지.. 참맛 2013/02/23 1,817
221531 저희 시어머니가 저를 포기하시게 된 계기 99 -- 2013/02/23 18,579
221530 3~40대 남자 직장인들.. 5 ... 2013/02/23 1,636
221529 랑콤 자외선차단제에서.. 1 사랑 2013/02/23 1,399
221528 "에어텔"이 뭔가요? 4 2013/02/23 2,407
221527 결혼하면 어때요? 살만하나요? 15 고민 2013/02/23 2,7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