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외국은 30중반에도 다시 공부해서 새 직업 구한다는 말.

00 조회수 : 2,762
작성일 : 2013-02-19 20:16:39

댓글에서 읽었어요..

이거...이민자들 얘기인가요 현지인들 얘기인가요.

저도 30후반에 곧 진입하는데...외국이지만 직업을 가졌으면 좋겠는데 영어권도 아니고..길이 안 보이거든요.

사실...영어권이라도 과연 무슨 직업을???? 수학 못하니 이과쪽은 절대 아니고..

지금으로선 40중반쯤 작은 까페라도 열면 딱 좋겠는데-.-;

IP : 92.75.xxx.43
8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주변에
    '13.2.19 8:22 PM (86.160.xxx.71)

    저는 서유럽 사는데 그런 이가 몇몇 있어요.
    대학을 다시 가거나 경력 쪽으로 나가고 싶으면 대학원을 다시 가서 취업을 하는거죠.
    경력이랑 이 나라에서의 학력이수 유/무가 중요하거든요.
    물론 영어는 기본.

  • 2. 저 아는
    '13.2.19 8:24 PM (211.207.xxx.62)

    교포언니 40대 후반인데 10년전까지 스탁에서 일했는데 결혼하고 애 둘 낳고 키우는 10년동안 집에만 있다가 얼마전 다시 일 시작했다 들었어요. 같은분야로요.
    이력서에 성별도, 나이도, 국적도 써서는 안되고 단지 경력사항만 쓰면 된다니 오너 쪽에서는 이 사람의 순수 경력만 보고 뽑는거죠. 저런걸 쓴다는 거 자체가 차별이라니 우리와는 차별의 개념 자체가 다른것 같아요.
    언니가 진심 부러워지면서 진짜 눈물 나더라구요. 경력 단절되니 정말 갈데가 없어요.

  • 3. --
    '13.2.19 8:24 PM (92.75.xxx.43)

    경력+학력+언어가 되면 불가능한 건 아니라는 거군요..
    여긴 영어권도 아니니 어째-.-;;

  • 4. 예...
    '13.2.19 8:27 PM (14.52.xxx.192)

    미국에서는 직장 다니다가 30대에 대학 다니는 사람들도
    흔히 보는 경우이고...
    물론 한국에서 온 30대 유학생들도 많구요...
    30대 시작하는거니깐 법, 의학. 보건위생, 약사 등의 전문직이거나
    박사학위 하는 사람들 많아요.

  • 5. 일단
    '13.2.19 8:28 PM (121.175.xxx.222)

    한 2년 빡세게 그나라 언어부터 공부하세요.

    기본적인 의사소통이 안되는데 어떻게 무슨 일을 하겠어요.

    문맹자보다 못한 처지잖아요.

    2년 정도 죽어라고 집중적으로 공부해서 중급 수준으로라도 의사소통이 되면

    직업학교를 다니건 재교육을 받는 수 밖에 없죠.

    외국에서 한국 식당을 하더라도 현지어는 기본이죠.

  • 6. ㅇㅇ
    '13.2.19 9:30 PM (39.119.xxx.206)

    차별이라니 우리와는 차별의 개념 자체가 다른것 같아요.

    한국은 나이로 차별 학력으로 차별 외모로 차별
    2222222222

  • 7. 여기 호주는
    '13.2.19 10:35 PM (60.241.xxx.111)

    40대 50대에도
    새 기술 배워서 직업 바꿉니다.

    사람 손이 모자라니
    뭐 할 수 있는 사람은
    나이나 인종 별로 안 가리고 써요.

  • 8. 약대생
    '13.2.23 3:44 AM (75.34.xxx.182)

    올해 40세 된 미국사는 약대생입니다.
    37에 약대 프리팜 시작해서 지금 약대 다니고 있습니다.

    약대 들어오기 전 커큐니티 칼리지 에서도 저같이 나이많은 학생들 많았습니다.
    특히 간호대는 정말 많구요
    약대 동기 중에 저랑 나이 비슷한 사람 3명 더 있습니다.
    이민자들 뿐만 아니라 네이티브들두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238258 nbc 종군기자가 입국했네요 3월 31일에... 1 허허 2013/04/05 2,419
238257 해양수산부 장관후보를 보니... 참. 18 ㅇㅇㅇ 2013/04/05 3,115
238256 뉴모닝 모는 분들, 엑셀 밟을 때 부드러우신가요? 1 궁금 2013/04/05 942
238255 텐대대여캠핑 해보신분들요 우천시에 어째야하나요? 2 가랑비 2013/04/05 669
238254 4살아기가 생선구이주면 생선 눈을 달라고하네요 17 벚꽃축제 2013/04/05 3,338
238253 전면 전쟁시 서울 주민 피난계획 불가능하다 호박덩쿨 2013/04/05 2,322
238252 전쟁나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59 .... 2013/04/05 15,256
238251 엄마 말을 듣지 않는 아이 8 화난 엄마 2013/04/05 1,615
238250 단종된 빌트인 가스레인지 ....교체 어떻게 해야 하나요? 2 막막 2013/04/05 3,175
238249 러시아 발레리나들 3 ㄷㄷㄷ 2013/04/05 2,846
238248 자식공부에 초연한 엄마입니다. 그런데.... 15 이를어째 2013/04/05 5,203
238247 박람회 문의 드려요!! 마더스핑거 2013/04/05 328
238246 전남친 3 . 2013/04/05 1,040
238245 박지윤 꿈운운하는 정신지체.중년 추한 늙은이 4 추잡한중늙근.. 2013/04/05 2,651
238244 2개가 되어버린 실손보험... 여쭤보고 싶습니다.. ㅠ 3 고민중.. 2013/04/05 1,255
238243 저어렸을때같이 놀던분이나 지금도 그런아기없나요? 17 좀이상한가 2013/04/05 2,598
238242 문화센터 다녀오는 피곤한 금요일.. 제발 간식은 먹는 곳에서만;.. 2 피곤한금요일.. 2013/04/05 1,335
238241 치마 or 바지 뭘 더 많이 입으세요? 3 ..... 2013/04/05 857
238240 나이를 먹는다는건 일상이 무미건조해지는건가봐요 16 4월의 물고.. 2013/04/05 3,707
238239 내가 지하철에서 제일 잘 산 것ㅎ 37 지하철1호선.. 2013/04/05 11,722
238238 그룹 상담은 어디서 받을 수 있을까요? 2 1대1말고 .. 2013/04/05 475
238237 시크릿가든 다시봐도 비극이었어야... o 2013/04/05 1,586
238236 하동, 남해, 진주 다녀왔어요. 5 꽃구경 2013/04/05 2,061
238235 버진아일랜드에 누가 돈을 숨겼을까요 3 진홍주 2013/04/05 1,569
238234 약에대해 잘아는분....식욕억제제 다이어트 한약을 먹으면 활기가.. 6 2013/04/05 2,0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