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자녀분 좋은대학 진학시킨 82언니들, 언제부터 공부시키면 되나요?

SJ 조회수 : 3,999
작성일 : 2013-02-18 11:07:02

 

 

오늘 일어나자마자 두개째 글남기네요 ㅎ

 

울 아기는 아직 마이 어리지만~ (이제 두돌;;;;)

그냥 갑자기 문득 궁금해서요^^

 

현재 울아기는 하루종일 타요,뿡뿡이,라바,구름빵,뽀로로,로보카폴리,아이쿠 끼고 산답니다....

만화보고 나가서 놀고 마트가서 뛰어다니고 키즈까페가서 놀고

책은 하루에 30분?? 애가 책들고오면 읽어줘요 억지로 앉혀서 읽지는 않구요...

 

다른 학습지,몬테**,프뢰*, 튼*영어, 잉글리*에* 등등

또래엄마들 마니시킨다는것도 하나도 안시키고 완전 놀리기만하니

그냥 급 불안해져서 글올립니다

 

신랑이나 저나 영유나 놀이학교 보낼생각없구요

어린이집다니다가 집가까운 일유 보낼거구요

초등학교때 방학때마다는 영어캠프같은거 보낼 의사는있어요.

제가 복지쪽 일하고있어서 같이 해외봉사나 이런활동은 많이 하려고 생각중이구요...

기러기가족은 하기 싫어서 오래는 못나가있겠구요 ㅠㅠ

 

이제 슬슬 저만의 교육철학을 정립해야지 엄마들 말에 안흔들릴것 같은데......

저랑 신랑은 큰 욕심 없거든요....

그냥 딸아이 하나 키우는거라 지방으로는 못보내고 ㅠㅠ

둘다 인서울 그래도 사람들이 이름들으면 알만한대학 보내고 자기 인생 살았으면 하는바람이에요

 

건강하고,밝고,좋은 인성을 가진 아이로만 자라다오!!  했었는데......

참 어떻게 키워야지 아이의 잠재력을 잘 이끌어내고 잘키울수있을지 요즘엔 고민이 많이되네요...

세살 이전의 육아가 그렇게 중요하다고하니, 더 걱정되요.

82왕언니들 조언부탁드려요!

 

 

 

IP : 211.255.xxx.99
12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3.2.18 11:12 AM (71.178.xxx.51)

    지금은 잘 먹고 잘 자면 됩니다

  • 2. .............
    '13.2.18 11:14 AM (211.244.xxx.42)

    공부보다 지금 나이에는 인성을 바르게 쌓는 시기인것같아요
    더불어 자존감 강한 아이로 이끌어주시면 뭘해도 잘할겁니다

  • 3. 공부도 재능
    '13.2.18 11:17 AM (180.65.xxx.29)

    운동신경처럼 아이 키우다 보면 타고난 재능이 있다 봐요
    지금 부터 초등 저학년 까지 우리애 서울대 보내야지 최고로 기대치가 높았다
    초등 고학년 부터 서서히 현실로 내려와요
    그래서 스카이대 설명회에 유치원 초등 엄마들이 제일 많고..
    솔직히 부모 머리 어디 안가요 ㅠㅠ

  • 4. ^^
    '13.2.18 11:17 AM (14.35.xxx.22)

    저도 그땐 영유 놀이학교 전혀 관심없다가.. 몇일전 큰아이 놀이학교 졸업일이었네요.. 육아는 세살이전 이후 모두 중요한듯 하네요

  • 5. .....
    '13.2.18 11:21 AM (116.37.xxx.204)

    내 아이를 잘 파악해야해요.
    죽어라 애써야 4년제 겨우 갈 아이도 있고요
    남들볼때 저래서 어쩌나 해도 스카이 갈 아이가 있어요.
    그 그릇부터 파악하고 목표를 정하고 노력해야죠.
    그것모르고 달리기만 하다가 절벽으로 내모는 엄마들이 있답니다.

    남만큼 하기가 쉽지 않다는것을 아셔야해요. 그게 쉬운 분들은 대단히 복받은거고요. 감사해야죠.

    원글님 지금 대입 치른 엄마중에 남들 아는 인서울대학을 욕심없다고 볼수 있는 비율은 5퍼센트가 채 안될겁니다. 나머지 90퍼센트 이상은 아이고 그게 얼마나 욕심인지 하고 있답니다.

    그저 행복하시길 바랍니다.

  • 6. 엄마부터
    '13.2.18 11:39 AM (219.241.xxx.20)

    언행을 남 다르게 해야 합니다.님부터 티비 멀리하고 독서를 생활화 하세요.사교육 지나치게 받으면 바보됩니다.컴퓨터나 비디오 어릴때부터 사용하는 거 좋지 않아요.맘껏 뛰놀게 하면서도 중간중간 지적 호기심 자극하시고..유태인의 육아법 공부하세요.

  • 7. aaa
    '13.2.18 11:56 AM (58.226.xxx.146)

    두 돌인데 티비 너무 많이 보네요.
    크레파스 죽죽 긋기, 밀가루 반죽 조물거리기, 신문 찢게 하기 등등 집에서 할만한거 하면서 놀게 해야
    아무것도 안하고 손 놓고 있다는 정도지,
    종일 티비 보고, 키즈카페 가서 뛰고 하는건 .. 강아지 라이프 스타일이잖아요.
    아무것도 안한다고는해도 그게 사교육 안하고 엄마가 몸으로 놀아준다는 얘기지요.
    저도 아이 완전히 놀게 하는 엄마지만, 티비랑만 놀게 하지는 않아요.
    제가 몸으로 이것저것 하면서 놀아주고 있는거지.
    요즘 아이들은 학교에서도 컴퓨터로 수업하고 해서 기기에 익숙해지기도 하긴 해야하지만,
    두 돌인데 이미 티비 프로그램 쭉 볼 정도로 티비에 익숙하게 하는건 과해요.
    그러다 외출해서 스마트폰 쥐어줘야만 밥 먹을 수있는 아이로 크겠어요.
    우리집은 창의력 놀이터 라는 책도 있고,
    블로그에도 보면 집에서 간단하게 (2-3분 걸리는) 미술놀이 - 효과 진짜 좋은것들- 도 있고.
    놀이 방법을 바꿔서 놀면서 '놀게만 한다~'라고 해주세요.

  • 8. 제이
    '13.2.18 12:14 PM (110.8.xxx.228)

    제가 아는 아이는 초등 입학 전까지 시골에서 별다른 교육없이 자라고 한글은 애가 잘 못익혀서 겨우 더듬거리는 상태에서 초등가고 초등 땐 학교 공부만
    중학교 내내 학교에서 배우는 거+ 시험전 벼락공부, 수학 제학년 과정, 영어 심화..
    고등 때 집중적으로 본격 공부..
    이번에 서울대 공대 정시로 합격했어요.

  • 9. zz
    '13.2.18 12:22 PM (112.150.xxx.139)

    목표를
    좋은 대학 보내기->행복한 아이 만들기
    로 수정하시면 됩니다.

  • 10. ...
    '13.2.18 12:32 PM (14.32.xxx.64)

    좋은대학못보낸 세돌여아엄마지만요. 티비 너무많이봐요. 우리애는 저거 하나도 몰라요.벽과 바닥에 전지붙이고 그림그리게 해주시구요. 식사준비시 도마랑 안전킬주시고 같이 식재료다듬기. 요일별로 수족관 동물원 놀이터 등 순례하기. 유아뮤지컬도 한달에 한두번 감상. 자기전엔 책읽기. 아빠퇴근후엔 몸놀이. 베란다에서 밀가루놀이 물놀이 등 엄마가 오감에맞게 프로그램짜줘야해요. 물론 엄마 힘들다못해 죽어나가고 집은 엉망이에요. 그래도 어느정도 클때까지 눈 딱 감고 하는거죠.

  • 11. 우리는
    '13.2.18 12:43 PM (211.234.xxx.9)

    부모부터 티비중독 최근엔 스마트폰 중독
    독서도 전 열심히 하지만
    그마저도 아이는 싫어하고
    너도 그렇지만 내 인생도 중요해
    돈은 하는 놈 만 대준다
    즐겁게 살아라
    네 하고싶은 일하려면 무기가 필요해
    가장 손쉬운 무기획득법은 공부 이건 순전히 네 할 탓

    그랬더니 고 3때 맹렬히 공부하더니
    원하던 곳 가더군요
    물론 소수의 경우이고 공부 강요가 능사는 아니라는거

  • 12.
    '13.2.18 12:53 PM (221.139.xxx.10)

    아이의 대학은 뉴욕의 c대 입니다.
    물론 여기서는 스카이가 갑이지만, 한마디 드리자면 저희는
    여행 많이 다녔습니다. 비용이 많이 드는 여행이라기 보다는 그냥 다녔습니다.
    동네에서도 잘 놀고 이런 경험들이 아이에게 큰 바탕이 된 듯합니다.
    맞아요..
    행복한 아이 만들기가 우선입니다.
    그 다음은 아이가 알아서 합니다.
    행복한 추억을 가진 아이들이 집중과 몰입을 잘 합니다.
    이게 답이 아닐지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220852 전세금이 올랐는데 혹시 조금 조정이 가능할까요? 3 궁금이 2013/02/18 1,318
220851 골드키위에 실망.. 2 아오 2013/02/18 1,553
220850 잇몸재생 임플런트 얼마해요? 8 ㄴㄴ 2013/02/18 2,119
220849 혹시 황토볼 들어있는 찜질매트? 써보신분 계세요? 3 ,,, 2013/02/18 1,285
220848 경희대 환경공학과 비전이있나요? 4 애나 2013/02/18 4,125
220847 국제 중학교 국제중 2013/02/18 947
220846 부산여행명소 추천해주세요 일요일 2013/02/18 924
220845 조웅, 박근혜-김정일 폭로 근거 제시 못했다. 1 이계덕기자 2013/02/18 2,735
220844 가족카드 사용하면 연말정산시 3 소득공제 2013/02/18 6,689
220843 "부동산 살리자"… 다시 부상하는 DTI 완화.. 4 ... 2013/02/18 1,756
220842 영문장 구조 질문요~ 8 영어 2013/02/18 835
220841 아주 이상한꿈이에요. 1 그언젠가 2013/02/18 1,152
220840 정말 요즘 성균관대가 서강대를 추월 했나요? 49 ... 2013/02/18 12,287
220839 남편이랑냉전인데 3 아침가득 2013/02/18 1,568
220838 딸래미 내쫓았어요 31 내탓이오 2013/02/18 15,124
220837 급) 사골 끓일때요 7 아이사랑 2013/02/18 1,533
220836 아이 초등학교에 10만원 기부할수 있나요? 7 .... 2013/02/18 1,570
220835 해외장거리인 상황에서....두 남자 사이에서 너무나 고민중입니다.. 32 고민...... 2013/02/18 8,379
220834 일본 노벨상의 산실 - 교토대학의 비밀 10 ... 2013/02/18 2,862
220833 자동차 실내등이 자동으로 켜지기도 하나요? 6 .... 2013/02/18 2,676
220832 장아찌 간장 재활용? 7 장아찌 2013/02/18 2,634
220831 멧돼지고기 요리법 아시나요? 4 Estell.. 2013/02/18 8,554
220830 미성년자 1500이상 증여세 1 ,,, 2013/02/18 1,496
220829 스낵면 매니아님들 스낵면의 궁극의 조리법좀 알려주세요^^; 5 스낵면 2013/02/18 1,783
220828 부조금은 부모가 갖는 건가요? 28 결혼 2013/02/18 5,9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