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만두속 할때 돼지고기를 익혀서 넣나요?

dd 조회수 : 21,237
작성일 : 2013-02-08 23:31:08
생전 처음 합니다. 해야 하는 상황이에요.
김치 다지고 마늘 다져 넣고 두부 넣고 파 다져 넣고 고기 넣으면 되지요?
그런데 고기를 익혀서 넣는지 생고기채로 넣는지요? 생고기를 넣으면 빚고 나서 그대로 냉동실로 직행하면 괜찮은가요?
그리고 손으로 짜내기가 너무 힘든데 당면 넣으면 좀 덜 짜도 물기를 먹어주는지요?
IP : 112.153.xxx.76
1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익혀서 하면
    '13.2.8 11:36 PM (121.88.xxx.128)

    간보기 좋지만 맛이 덜한것 같아서
    생으로 넣어요.

  • 2. 만두
    '13.2.8 11:49 PM (116.37.xxx.141)

    두부는 물기를 꼭 짜야합니다
    고기는 그냥 하시는 분도 있고 익혀서 하는 분도 있고

    제가 이렇게 저렇게 해보니 익히는게 좋더라구요
    그냥하면 당장은 편한것 같지만 , 익히다가 피가 터지는 경우가 많구요.
    익혔을때 피하고 속하고 분리? 된다해야하나? 만두 속 끼리 뭉쳐버려서 부드러운 맛이 좀 떨어져요

    고기를 익히면 물기를 다 날려 버리셔야해요.
    갈은 고기여도 뭉글뭉글 뭉치지않게 잘 부스러뜨리세요.
    고기를 익히면 만두피에다 속을 넣고 만들때 속이 잘 않 뭉쳐져서 빚기가 전자의 방법보다 애로가 있지만
    만두를 익힐때 버려지는게 없고, 어차피 다 익은거니 만두피만 익으면 되니까 편해요
    식감도 훨씬 좋아요

    김치는 속을 자연스레 좀 터시고 쫑쫑 썰어주세요
    고기는 소금, 후추, 마늘에 밑간을 좀 해두셨다가 하시구요
    숙주있으면 넣으시구. 어떤분은 김치를 물에 항구는 분도 있어요. 이렇게하면 김치 맛은 나면서 만두속이 뻘겋지 않으니 좀 깔끔해요

    냉동 해두실거면 , 살짝 쪄서 (이때 완전 익히지 않아도 되요) 한김 날리고 얼리셔야 해요. 그래야 피가 갈라지거니 터지길 않아요


    그리고 처음하신다니 당면은 빼고 만드시길 권합니다.

  • 3. 물기가 님아 있으면
    '13.2.8 11:52 PM (121.88.xxx.128)

    물이 밑으로 흘러서 만두피가 쟁반에 붙기 쉬워요.
    꼭짜기 힘든 두부는 마른 팬에 볶아서 쓰신다는 분도 있더군요.

  • 4. ㅇㅇ
    '13.2.8 11:53 PM (112.153.xxx.76)

    어머나 정성스런 댓글 정말 감사합니다 !

  • 5. 틈새꽃동산
    '13.2.8 11:56 PM (49.1.xxx.56)

    7~80 년대 길거리에 그 당시 중국 음식점 만큼이나
    만둣집이 많이 있을때..하던 방식을 말해드리자면.

    일단, 야채는 칼로 나자를 합니다. 아주 입자가 3~5nn 정도의 크기로
    그리곤 보자기에 싸서 꾹 눌러 물을 짭니다.
    오래전 한약을 달여서 막대 두개로 어긋나게 휘감아 짜던 방식을
    아시면 그리하시구요.

    아니면 베보자기에 싸서 주먹힘으로 물을 짜내줍니다.

    그리고 고기...요즘은 어떤지 모르나..아마 살코기를 많이 넣지 싶은데..
    그 시절엔 돼지고기를 주로 사용했고, 그중에서도 살코기 돼지비계를 1:3정도
    비율로 사용했습니다.
    고기나 비계또한 칼로 난자를 했고요.
    그 난자한 고기와 비계에 기름을 자욱하게 부어주고 '날계란 그릇에 깨서
    풀듯이' 한쪽으로 막저었습니다.
    그러면 코같이 느껴지는 점액성 고기가 되지요.

    다음은 처음에 장만해놓은 야채를 볼에 넣고 그 점액성 가득한 기름에 버무려진
    고기를 붓고 손으로 섞어줍니다.
    게중엔 간을 해야기 왜간장조금 소금조금 아지노모도 조금 이렇게
    검지 손가락으로 간을 봐가면서 막 치대듯 섞습니다.
    이렇게 하시면 만두소는 완료입니다.

    만두피는 아시겠지만 익반죽입니다.
    뜨거운물을 부어서 반죽하는거지요.

    이러저러해서 만두키라고 부르던 작은 찜솥에 넣고 바로 쪄내서 바로 먹는것이
    그시절 ' 찐교스 ' 라고 이름했던 것이고
    걸 식혔다 기름에 튀김성 익힘을 해주면 ' 야끼만두 ' 라고 했지요.

    제가 아는것은 여기까지입니다.
    아.지금은 하도 많은 기름이 상용하기...
    그땐 돼지기름이였습니다.
    언제 한번 해먹어야 될거인데....
    것또한 만두갯수보다 얻어먹은 욕의 갯수가 더많은 시절 이야기..^^

  • 6. ㅇㅇ
    '13.2.8 11:56 PM (218.38.xxx.127)

    저는 꼭 볶아서 넣어요. 간 보기도 좋고, 수분이 없어져서도 좋고, 만두속 며칠 보관해도 안심이고,..
    무엇보다도 피만 익으면 냠냠 먹을 수 있어서 좋아요. ㅋㅋ

  • 7. 틈새꽃동산님 많은도움 되네요~~^^^
    '13.2.9 12:38 AM (110.8.xxx.44)

    이번엔 윗님 주신방법으로 해봐야겠어요~감사

  • 8. ,,,,
    '13.2.9 12:49 AM (119.71.xxx.86)

    저희 시댁에선 돼지고기 생으로 그냥 버무리시던데요. 저도 만두 정말 좋아하는데 혼자선 아직 어렵네요

  • 9. 또마띠또
    '13.2.9 12:55 AM (112.151.xxx.71)

    마늘 넣지 마시고 생강 조금 넣으세요

  • 10. 틈새꽃동산
    '13.2.9 1:01 AM (49.1.xxx.56)

    제가 위에 적은 글은 그 시절 만두 만들던
    방법입니다.

    지금의 만두와는 맛이며 레시피라고 하나...많이 다를겁니다.
    여튼 그시절 만두맛이 길가에 흔하던
    만두가게의 맛이 그리운 분들은 그리해보시기를..

  • 11. ...
    '13.2.9 2:16 AM (222.111.xxx.33)

    만두 고기를 익혀서 넣기도 하는군요.
    어제 만들었는데 다음에는 익혀서 해봐야 겠어요.

  • 12. 둘 다 해봤는데
    '13.2.9 2:40 AM (121.137.xxx.219)

    제 입엔 고기는 생으로 넣은게 더 맛있었어요 익힌 고기는 뭔가 찰기 있게 뭉쳐지질 않고 약간 포슬거리며 흩어지는 느낌이라.. 근데 익힌걸 더 좋아하시는 분들도 많지요..
    고기를 익혀서 해보니 일단 간보기 좋고 껍질만 익으면 먹어도 되니까 익었나 안 익었나 신경은 안쓰여서 좋더라구요.
    틈새 꽃동산님이 써주신 옛날식 만두 레시피 한번 따라 해 보고 싶네요..
    돼지 기름이 없으니 그 맛은 똑같이 안나겠지만 도전해 보겠어요. 감사 ㅎㅎ

  • 13. ...
    '13.2.9 6:49 AM (112.184.xxx.57)

    옛날만두 해봐야겠어요 감사해요*^^

  • 14. 저도
    '13.2.9 8:08 AM (203.226.xxx.85)

    두가지 방법으로 다해봤는데 생으로 하는것이 훨씬맛있어요..
    생은 부드러운맛이라하면 익혀서한것은 껄끄러운 맛인거 같아요...

  • 15. ...
    '13.2.9 9:44 AM (219.255.xxx.179)

    저는 꼭 익혀서 해요 이유는 간을 봐가면서 해야기때문에요. 그리고 속 만들때 후추랑 참기름 넣구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222592 집에서 키우는 알로에 껍질째 먹어도 되나요? 알로에 2013/02/26 1,705
222591 전국 초중고생 독도교육 연간 10시간 받는다 세우실 2013/02/26 301
222590 팝송 좀 찾아주세요 3 2013/02/26 414
222589 강아지.... 7 행복 2013/02/26 820
222588 금목걸이 3 두꺼비 2013/02/26 1,100
222587 아이허브 주문시 질문이요.. 6 제리맘 2013/02/26 761
222586 가끔 친정에 갈때 소소하게 추천하는 물건들을 사가는데요. 아빠가.. 5 제가 2013/02/26 1,840
222585 이마트 “3.1절 지루하다”고 했다가 된통… 샬랄라 2013/02/26 871
222584 김성령남편분은 직업이 뭔가요? 43 김성령 2013/02/26 60,603
222583 초등교과서 책 싸기 8 초등교과서 .. 2013/02/26 1,473
222582 남친 어머니가 이상해요.ㅠㅠ 106 자취생 2013/02/26 15,480
222581 청담어학원이 그리 좋은가요? 9 고민 2013/02/26 12,951
222580 받기만 하는 사람 주기만 하는 사람... 6 올케 2013/02/26 2,236
222579 친구의 고민. 기러기 아빠인 아주버님에 대한. 10 ... 2013/02/26 2,371
222578 면접교섭권 관련 문의드려요... 3 ..... 2013/02/26 1,021
222577 이 커트러리 어떤가요 4 고민중 2013/02/26 1,163
222576 KB smart 폰 적금 추천 번호좀 알려주세요.. 3 적금.. 2013/02/26 337
222575 아파트 인터폰 1 절약하자.... 2013/02/26 1,007
222574 15시간이상 놓어둔 요플레.. 먹어도 될까요 1 수제요플레 2013/02/26 526
222573 가스관 타고 애인 집턴 '스파이더맨 남친' 영장 다크하프 2013/02/26 385
222572 윤병세 장관이 낙마했으면 좋겠다. 25 파리82의여.. 2013/02/26 1,690
222571 캐나다 공교육 수준은 어느 정도인가요? 5 학교선택 조.. 2013/02/26 1,743
222570 박시후 사건 만약에 여자연예인이었으면 2 .. 2013/02/26 1,396
222569 최근 예금 적금 넣으신분들 공유 부탁드려요. 4 빨간머리앤1.. 2013/02/26 1,621
222568 올케와 손윗 시누...호칭 15 고모,형님 2013/02/26 2,9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