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Banner

어떤 여자가 맞벌이하는건 그 자신과 자신의 가정을 위해서 하는거니까 라는 논리에 대해서요...

생각해보니 조회수 : 1,950
작성일 : 2013-02-06 14:28:23

그게 맞는 말이긴 한데 좀 이상해요.

왜냐하면 명절, 제사, 음식 만들기, 행사 참여, 병간호 등 시댁과의 관계에서 적용될 때가 많은데

여자든 남자든 애든 어른이든 직장일이나 공부랑 친족 모임, 행사, 생일파티 같은게 충돌이 될때

누가 돌아가셨다든지 심하게 위중하다든지 중요한 결혼식이라든지 그런 예외적인 상황이 아니면 

저는 직장일이나 공부를 우선시하는게 맞다고 보거든요.

예를 들어 제 생일파티를 하는데 친정동생이 올 생각이었지만 직장일이 바빠서 참석하지 못했다... 또는 시간이 없어서 카드를 쓰지 못했다... 이런 경우에 섭섭해하고 그래도 오지... 하지 않는건 당연히 직장을 우선시하는게 맞지 않나 싶어서예요. 동생이 누나가 섭섭해 하니 오늘 당직을 빼야지 하는 식으로 가정생활을 우선시하다가 직장에서 불이익을 당하거나 승진에서 누락되거나 하면 가족들이 책임져 줄수 있는게 아니잖아요.

가족이니까 그 사람의 공적인 성공을 모두 바라는게 당연한거고 반대의 경우에 그 사람이 사회생활에서 어려움을 겪게 되면 그건 어떻게 해결해줄 수도 없는 거니까요. 

 

아무튼 직장일과 공부를 우선시하는게 맞다고 생각하고, 기본적으로는 풀타임으로 공부하고 일을 하는 사람들도 충분히 참석/기여 할 수 있도록 명절과 제사 문화도 바뀌어야 해요. 평일 저녁 제사를 지방에서 하면서 안 온다고 섭섭해 하고 이러면 좀 곤란하죠... 예전에야 모두 같은 동네 살고 농사짓고 하니까 저녁에 제사가 되는거지 사회구조가 바뀌었으면 모두 참석할 수 있는 날짜에, 가장 바쁜 사람이 참석하기 쉬운 장소로, 공평하게 기여할 수 있게 포트럭 방식으로 해야 하는거 아닌가 싶네요. 그 정도는 서로 배려해야 하지 않을까요?

 

무조건 그댁의 자손들도 아닌 며느리들끼리 어머 야 너 회사 다니는거 너 사정이지 이러는건 비생산적이예요. 가족끼리 상대방의 사정을 좀 봐줘야지요... 저는 외동아들네집의 외며느리라서 동서도 없고 사촌동서도 없으니 동서간 불평등한 기여 문제에 대해서 제 이해관계는 없어요. 하지만 만약 동서가 있고 저에 대해서 상대방이 어머 형님, 회사 다니시는거 형님 사정이죠 라든지 어머 형님, 몸이 아프신거/아이가 고3인거/형편이 어려워서 비용 분담을 하기 곤란한거 형님 사정이죠. 식으로 생각하면 정말 안 보고 살고 싶을거 같아요. 친구들 사이에서도 아이가 어린 친구가 있음 다 힘들어도 걔한테 맞춰서 모임하거나 일이 바쁜 친구가 있음 그 친구한테 맞추거나 못 와도 이해해주고 돈없는 친구가 있으면 걔한테는 내지 말라고 하고 그러지 않나요?? 맞벌이는 자신과 자신의 가정을 위해서 하는 거고 다른 친족들이 그 혜택을 보는게 아니니까 배려해줄 필요가 없다고 잘라 말하는건... 이렇게 말하면 욕먹겠지만 양육과 내조를 주업무로 하는 전업주부의 길을 가겠다는 결정에는 예를 들면 아이 학교에서 봉사자가 필요하면 자원봉사하면서 아이를 뒷바라지하고 시댁의 제사와 명절때 시간과 여력이 허락하는 한 풀타임으로 기여해서 남편 (또는 그 남편의 시댁 내 위상?)을 뒷바라지할 수도 있다는 의사도 조금 포함된거 아니었나요?

IP : 171.161.xxx.54
7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3.2.6 2:33 PM (14.34.xxx.23)

    이렇게 말하면 욕먹겠지만.... 그 이하 글이
    참으로 욕먹을만 하네요
    말하는 취지는 알겠는데 이런 식으로 생각하면
    공감 못 얻고 까칠한 쌈닭만 되잖아요.

    명절로 여자들끼리만 괴롭히지 말고 이 문제를 모든 가정 구성원들에게 확대해보면 좋겠어요.

  • 2. ,,,
    '13.2.6 2:35 PM (119.71.xxx.179)

    시모보다 동서가 더무서운듯 ㅎㅎ

  • 3. The
    '13.2.6 2:41 PM (59.10.xxx.139)

    전업=명절과 제사에 풀타임 노동= 남편 위상 높임?
    이건 뭐 70대 우리 시어머니보다도 더 고리타분한 발상이네요

  • 4. 그렇게 따지면
    '13.2.6 2:43 PM (175.223.xxx.99)

    맞벌이는 시댁이 어려울때나 돈이 필요한 행사 때 가정경제가 허락하는 가능한 한 최대한으로 돈을 더 많이 부담함으로 남편의 시댁 내 위상을 뒷바라지하겠다는 자발적 의사가 포함된 것인가요?
    말이 되는 소릴 하세요.

  • 5. ..
    '13.2.6 2:44 PM (112.171.xxx.151)

    가족도 갑을 관계예요
    저희는 제일 잘나가고 돈많이 쓰는 막내동서 위주로 돌아가요

  • 6. ..
    '13.2.6 2:49 PM (180.229.xxx.104)

    생일의 예는 잘못된거에요
    생일때는 친정이나 친구뿐 아니라 시댁식구들과는 일이 우선시 되죠.
    바쁘면 생일당겨서 가족끼리 식사하고 하거든요.

    하지만 명절은 다르다는거죠. 명절엔 거의다 놀아요.
    물론 예외적인경우 있고 그 경우엔 시댁도 이해하는것이 대부분이에요.
    여기서도이해가능한 범주 안이라면
    동서험담 하는 사람들 욕먹던데..이 글은 대체 왜 올리신거죠

  • 7. 푸하하
    '13.2.6 2:57 PM (121.190.xxx.130)

    무슨 전업을 남편과 애 뒷바라지 하려고 하는 거지 시댁일 도우려고 하는 건가요. 제 시누 시댁이 원글님이랑 비슷한 주의라서 아기 있고 몸 아파도 잠깐이라도 못 쉬어요. 빽하면 불러서..시누지만 그런 거 보면 제가 다 울컥하더군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244114 데팔전기그릴 어떤가요? 6 인천 2013/04/20 2,219
244113 수학여행 가방은 어떤걸 사줘야할까요? 4 초5 2013/04/20 1,697
244112 3식구..월수입 실수령 275만원에 저축 40만원..너무 한심한.. 14 바둑이사랑 2013/04/20 5,714
244111 인 어 베러 월드 / 오늘 밤 세계 명화 2 EBS 영화.. 2013/04/20 1,895
244110 보지 말아야 할 것을 봤어요. 3 나쁘다! 2013/04/20 3,117
244109 총동창회 따라갑니다. 2 고민중 2013/04/20 1,116
244108 나인..명장면 공유해봐요~^^ 13 나인폐인 2013/04/20 2,398
244107 네*레 크레마 드셔보신분 있나요...? 1 크레마 2013/04/20 1,002
244106 사는게 하나도 재미가 없네요 6 이런기분 2013/04/20 2,413
244105 전세집 만기일에 집주인이 돈 안줄 경우.. 법대로 하면 전부 다.. 5 ... 2013/04/20 3,232
244104 빗질을 많이해주면 머리결 좋아지나요? 3 브러쉬 2013/04/20 3,124
244103 LTE폰을 쓰면 꼭 LTE요금제로 해야 하나요? 8 .. 2013/04/20 2,062
244102 머리가 콕콕콕 쑤시듯 아파요..;; 3 ㅇㅇ 2013/04/20 2,005
244101 피클 만들때 소금! 3 질문이있어요.. 2013/04/20 1,408
244100 바두기 건조대에서 스파이더건조대 써보신분 어떠셨어요? 4 바두기건조대.. 2013/04/20 2,539
244099 나이 많아도 미스는 미스로 보인다는데, 17 very_k.. 2013/04/20 4,522
244098 초등아이 수두 예방접종했으면 가볍게 지나가나요 1 2013/04/20 1,560
244097 아들이 군대에서 부모초청하는걸 멀다고 안했다는데 ㅠㅠ 23 // 2013/04/20 4,323
244096 국회도서관 열람실이용해보신분~ 3 2013/04/20 4,817
244095 외모 많이따지는 남자 나중에 바람 핀다는 말 10 라항 2013/04/20 4,352
244094 역사상(?)가장 강렬한 눈빛의 일본 락커 10 오자키유타카.. 2013/04/20 2,286
244093 와이파이 안되는 mp3하나 추천해주세요. gjr 2013/04/20 1,136
244092 남자 개업의가 머리 염색한거 이상할까요? 14 ... 2013/04/20 3,215
244091 김문수의 고백. 12 음.. 2013/04/20 2,389
244090 아파트 사는분들 요즘 서명 받으러 오나요? 2 ... 2013/04/20 1,3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