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1차발효(두배발효)후에 꺼냈는데...너무 질어요..ㅠㅠㅠㅠㅠㅠ

빵반죽 조회수 : 1,589
작성일 : 2013-01-30 20:42:36

제빵기로 1차발효 후에 제빵기 뚜껑을 열고 꺼내려는데

벌써 뚜껑을 열자마자 푹!~~~ 하고 꺼지네요.....>???

엎어서 반죽을 판에 덜어놓는데..벌써 너무 진것이 느껴지는거예요  ㅠㅠ

 

손으로 가스를 빼는 시늉(벌써 꺼낼때 푹 꺼지면서 가스는 빠지는 사태가..)이라도 하려고 손을 댔는데

완전 질어서...들러붙고 난리도 아니네요..ㅠㅠ

 

밀가루를 더 묻혀주고 해도..도저히 안되어요..

성형을 해야하는데....질어도 너무 질어서....

이럴경우....어떻게 하면 될까요?

 

그리고 일차발효(두배발효)후에 다시 막 주물러서 반죽을 한후에 다시 한번 두배부풀게 발효를 해도

될까요?

아무래도 공기중에 좀 노출시켜서 질은 기를 좀 없애주고 다시 발효를 해야하나?? 어째야 하나??

모르겠어요..ㅠㅠ

 

정말 발효.....오랜만에 용기를 내서 다시 해보려는데.....또 이런 사태가....

 

저 반죽 어떻게 할까요???

 

 

IP : 1.231.xxx.83
4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저같은 경우는
    '13.1.30 8:44 PM (210.97.xxx.14)

    반죽 성형할때 밑에 까는 밀가루를 되도록 좀 많이 깔고 성형했어요.

    그런데 질어도 너무 질은 경우에는 그냥 망쳤거니.. 하고 대충 만들어 먹고 다음번엔 좀 더 조심했죠^^;

  • 2. 통통이네
    '13.1.30 8:57 PM (1.229.xxx.86)

    제빵기는 전문반죽기보다 되게해야해요.
    반죽기는 진것같지만 많이 치대면 매끈해지며 뽀송해지지만
    제빵기는 힘이.약해서 이렇게 잘안되요.
    손반죽도 반죽기랑 비슷해요.
    손반죽 시험삼아 30분 해보시면 이해하실듯

    저도 제빵기쓰다 반죽기.넘어왔는데
    제빵기레시피대로(블로그레시피벤치마킹하여 제가 일일이 물량을 조절)
    하다가 완전 뻑뻑하고 되서 지금 제대로된 완성본이 하나도 없네요
    제빵기시절엔 반죽기.완전부러웠는데 반죽기써보니 제빵기고유의 장점이 느껴지네요

    그리고 이미 질은 반죽은 밀가루.더넣어서 대충 섞고 이차발효해도 되긴한데
    밀가루냄새가.나더라구요. 그냥 말리면 겉만 마르니 안좋고 반죽꺼내서 덧밀가루 조금 섞어가며
    손으로 십분정도 치대면
    진.감이 좀 없어지긴한데 힘이드는게.단점.

  • 3. ===
    '13.1.30 9:27 PM (70.68.xxx.255)

    1차 발효후 뚜껑여니 푹~ 꺼졌다는 말은.... 과발효란 말과 같아요.
    바로 성형하고 70%정도 부피가 커졌을때 평균 온도보다 높은 온도로 구우세요.

    과발효 하면 글루텐이 끈기가 없어서(끊어져서) 더 질게 느껴져요.

  • 4. 과발효..
    '13.1.30 9:58 PM (124.54.xxx.164)

    맞아요..
    담엔 이스트를 줄이든지 시간을 짧게 하든지 해야될꺼 같아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214056 천으로된 여행가방 추천해주세요 2 가방 2013/01/31 2,229
214055 1월 31일 [손석희의 시선집중] “말과 말“ 2 세우실 2013/01/31 915
214054 좌훈방 민재양 2013/01/31 793
214053 긍정적인 성격 부럽더라구요 1 성격 2013/01/31 995
214052 가방 몇개 있으세요? 6 ** 2013/01/31 2,481
214051 더블사이즈 온수매트 10만원대 샀는데 조용하고 성능 좋으네요. .. 2 dhst.. 2013/01/31 1,312
214050 반수? 재수? 8 어떻할까요?.. 2013/01/31 2,043
214049 새벽에 키우던 강아지가 무지개 다리를 건넜어요... 24 널보게될줄 2013/01/31 3,927
214048 지금 삼생이 드라마 보시는분? 5 cass 2013/01/31 1,346
214047 제주도고등어 구입 어디서 하세요? 5 선샤인 2013/01/31 927
214046 우리에겐 많은것이 필요치 않더라 3 살다보니 2013/01/31 1,053
214045 댁의 남편은 어떠십니까? 4 호잇 2013/01/31 1,247
214044 어린이집 2월 2013/01/31 309
214043 찹쌀떡 안달고 맛있는곳 추천 좀.. 8 조아 2013/01/31 2,031
214042 1월 31일 미디어오늘 [아침신문 솎아보기] 세우실 2013/01/31 327
214041 거래처선물굴비랑고기중 2 선물 2013/01/31 395
214040 흰색 패딩은 한겨울에 입기는 어떨까요? 2 ... 2013/01/31 1,924
214039 윈도우9에 추적방지, inprivate브라우징등,, 이거 남자애.. 윈도우9 2013/01/31 1,223
214038 궁금해요...페팅이 뭔지요?? 7 ?? 2013/01/31 10,670
214037 블로그, 카페 활동 열심히 하는 건 좋지만 이건 쫌... 1 초상권이있소.. 2013/01/31 1,347
214036 사야할 게 왜이리 많을까요 4 배존 2013/01/31 1,598
214035 적금, 펀드 2013/01/31 598
214034 고양이 한쪽 눈동자가 약간 뿌옇게 보여요 1 냥이 2013/01/31 765
214033 가구 추천 부탁드려요 6 ㅠㅠ 2013/01/31 1,287
214032 애들 이름으로 청약저축 들때 ᆞᆞ 2013/01/31 6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