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나이드신 경상도분들께 질문 좀 드립니다. (음식관련)

Jo 조회수 : 3,392
작성일 : 2013-01-30 11:02:35
임신을 하니까 어린 시절 먹어보았던 음식들만 생각이 나고 너무 먹고 싶은데 요리법을 찾을 수가 없어요.
설명을 드리면 좀 알수있을까요?
제가 초등학교 시절 명절에 제사지낸후에 먹던 음식이에요..
국인데,콩나물,무,갈은 깨가 들어있었어요.
근데 그 깨와 무가 얼마나 고소했던지요.
무는 네모나게 자른게 아니고 콩나물같이 길쭉길쭉하게 들어있었어요
인터넷에 나오는 무콩나물국하고는 맛이 틀려요..조리법도 다른 것 같구요..
무를 볶고 국을 끓인 것인지 그 깨 맛과 어우러져 맛있었다는 기억만 있어요
이게 제사때 필요한 국이어서 남은 음식을 먹었던 것인지는 모르겠어요
중학교이후로는 할머니도 돌아가시고 더이상 가지않아서 그 이후로 먹어본적이 없어요
무엇인지 어떻게 만드는지 아시는 분 계실까요?
IP : 1.243.xxx.156
21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겨울
    '13.1.30 11:05 AM (210.105.xxx.212)

    그거요 무하고 콩나물하고 같이 넣어서 뽁아서 물 약간넣고 국간장넣고(약간) 간은소금으로 하고 뚜껑닫고

    은은한불로 끊입니다,,어느정도 끊고나면 참기름 넣고 깨를 빻아서 넣슴니다 여기에 제사때 그리 해먹대요

    경남 봉하마을근처

  • 2. ..
    '13.1.30 11:05 AM (1.225.xxx.2)

    그거 제사 지내고 난 다음에 젯상에 올리는 무나물하고 콩나물하고 다 섞어서 멸치 다싯물 더 붓고 끓인거에요.

  • 3. ..
    '13.1.30 11:06 AM (1.225.xxx.2)

    제사 음식이라 마늘은 안 들어가요.

  • 4. ...
    '13.1.30 11:06 AM (211.179.xxx.245)

    짠지국은 아니죠?
    울엄마는 깨는 안갈아 넣어시던데 ㅎ

  • 5. 추억
    '13.1.30 11:07 AM (218.158.xxx.209)

    아주 어렸을때 먹었던 기억만 있어요.들깨가루 많이 들어가서 약간 걸쭉하게 해서 저희집은 고사리 오뎅도 넣어 먹었던 추억이 있네요.그동안 잊고 있었는데...저도 만드는 방법을 알면 한번 해보고 싶네요.음식이란게..생각을 해보니 그 맛도 생각이 나면서 살던 집도 떠오르게 되는군요..

  • 6. 저 알아요
    '13.1.30 11:08 AM (182.209.xxx.42)

    무시나물 이라고 친정엄마 단골음식이에요
    저희집에서는 소금도 약간 국간장도 약간 -너무 많으면 색이 거매져요
    조리시 유의할 점은 절대 휘어으면 안된다는 거예요^^

  • 7. Jo
    '13.1.30 11:08 AM (1.243.xxx.156)

    진작에 물어볼걸 그랬네요^^
    볶을 때 그냥 기름에 볶나요?참기름은 넣어야 되나요?
    생콩나물을 볶아야 된다는 거지요?

  • 8. ..
    '13.1.30 11:10 AM (124.54.xxx.164)

    경상도 어르신은 아닌데 경상도 살고 있네요...
    무를 채썰어 냄비에 참기름 넣고 들들 볶으세요..
    소금 약간 넣으면 간도 배고 좋아요...
    살짝 밀쳐놓고 옆에 콩나물도 참기름 넣어 볶아요...
    자리가 비좁으면 한쪽에 콩나물 얌전히 놓으시고 물은 재료 높이 정도로 넣고 끓여요..
    참기름 넣고 잘 볶아야 뽀얀 국물 나오고요..기름 안뜨고...
    나중에 간 하시고요...
    깨소금은 마지막에 넣으시고요...
    따로 국그릇에도 올렸던 거 같아요...
    토박이가 아니라 본대로만 전해드리네요..

  • 9. 저도
    '13.1.30 11:14 AM (58.226.xxx.111)

    경상도인데요..
    무를 참기름에 볶는게 아니구요

    콩나물하고 무 채썰어서 국으로 끓이는거에요..
    물은 국치고는 적게 잡구요..
    그래서 그위에 참깨 갈은걸 올리는거죠..

    젯상에 올릴때..
    다른 나물처럼 건더기만 건져서 그 위에 참깨를 뿌리시던데요
    저희엄마보니까

  • 10. 겨울
    '13.1.30 11:16 AM (210.105.xxx.212)

    참기름 들어감니다

  • 11. ...
    '13.1.30 11:18 AM (119.197.xxx.71)

    먹고싶네요. 저는 추울때 거기에 청양고추랑 굴 좀 넣어 얼큰하게 만들어서 국밥으로 해먹거든요.

    저희집도 경상도인데요.
    무를 채썰어서 참기름이나 기름 조금 넣고 오래 볶아요. 그래야 달거든요. 무에서 물이 나와 자박해지면
    거기에 다시육수 붓고 끓으면 콩나물 넣고 끓여요,
    조선간장이랑 소금으로 간하고 먹기전에 깨소금 뿌리고요.
    기름은 기호에 따라 쓰시면되요. 저희집은 엄마가 참기름만 넣으면 느끼하다고 식용유랑 섞어쓰셨어요.
    넣어봐야 한두스픈이니 큰 차이는 없어요.

  • 12. .....
    '13.1.30 11:18 AM (116.37.xxx.204)

    볶는집도 있고 안볶는 집도 있어요.
    국물이 뿌옇다면 볶은거고요
    맑으면 안볶은겁니다.
    지금도 제사때 합니다.

  • 13.
    '13.1.30 11:23 AM (180.230.xxx.83)

    저희집도 볶지않고 물 자작하게 부어서 익히는데 그리고 제사지내후 밥비빌때 같이 비벼먹어요~~

  • 14. ㅎㅎ
    '13.1.30 11:23 AM (119.17.xxx.14)

    윗분들 설명처럼 하신후, 국물 자작할때 들깨가루 한 스푼 넣어서 약간 조리면 됩니다.
    그리고, 무나물 콩나물을 각각 만든걸, 한 그릇에 돌려담아 놓으면, 국물이 흥건히 생겨요.

  • 15. .....ᆞ
    '13.1.30 11:23 AM (116.37.xxx.204)

    볶으면 구수한 맛이고 안볶으면 시원한 맛입니다.

  • 16. ocean7
    '13.1.30 11:27 AM (50.135.xxx.33)

    제사때 젯상에 올리는 "탕국"이라고해요
    참기름이 들어가고요 볶다가 물을 자박하니넣고 긇여요
    조선강장으로 살짝 간을 하고요

  • 17. ㅡㅡ
    '13.1.30 11:36 AM (210.105.xxx.212)

    경상도에는 제사때 그리 함니다

  • 18. ocean7
    '13.1.30 11:38 AM (50.135.xxx.33)

    아 ㅋㅋ
    그러네요 ㅋㅋ
    하도 오래되서ㅋ
    그냥 제사식 나물같네요

    맞아요 탕국은 무를 나박하게 썰고 소고기도 들어가고

  • 19. 콩나물
    '13.1.30 12:00 PM (99.226.xxx.5)

    채썬무 그리고 냉이나물을 콩가루에 함께 버무립니다. 멸치랑 다시마로 맛낸 국물에 버무린 나물을 넣고 끓여 줍니다
    간른 국간장으로 합니다. 죽음의 맛이죠. 냉이는 봄에만.

  • 20. 라맨
    '13.1.30 12:12 PM (125.140.xxx.57)

    제사때 하는 음식 맞습니다.

    1. 무 채를 썰되 너무 가늘지 않게 썹니다.(무의 파란 부분이 많을수록 단 맛이 나지요^^)
    2. 콩나물을 무와 나란히 냄비에 놓습니다.
    3. 소금을 원하는 양만큼 넣고 아주 뭉긋하게 오래 끓여야 맛있습니다.
    무채를 너무 가늘지 않게 썰어야 하는 이유입니다.(깨져서 젓가락으로 안 건져질 수가 있어요)

    물을 재료의 양에 비해 너무 많이 넣지 않는 것이 중요합니다.

    여기 82에서 다룬 콩나물 국 맛있게 끓이기에서
    콩나물의 양이 많아야 맛있다는 이유와 같습니다.
    즉, 재료의 양과 거의 같은 양의 물을 넣어야 맛있습니다.

  • 21. 나물
    '13.1.30 12:13 PM (118.37.xxx.171)

    제사 때 쓰는 나물이에요 엄마가 준비하셔서 잘은 모르는데 암튼 무가 달아야 맛있다는...무 잘 사셔야해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215032 방사능은 시간이 지나면 나아지나요? 11 ㅇㅇ 2013/02/02 1,358
215031 올리브오일이 너무 많아요. 어찌할까요 18 오일 2013/02/02 2,721
215030 다음 아이디를 해킹 당했네요 ana 2013/02/02 493
215029 이대 앞에 맛난거 아사면 좀 알려주세오! 2 저기 2013/02/02 749
215028 성은 류 중간자는 정 으로 괜찮은 이름좀 지어주세요 11 사과짱 2013/02/02 971
215027 성장프로그램관련 병원문의드립니다 1 키성장 2013/02/02 367
215026 딸아이와 단짝 친구의 대화나 노는 내용이 좀 신경쓰이는데요 1 평범한건가요.. 2013/02/02 790
215025 제빵기 잘 쓰고 계신가요? 20 제빵기 2013/02/02 15,266
215024 부천 범박동 현대아파트 5 아파트 2013/02/02 1,784
215023 미치겠어요. 신랑이 소간,허파,천엽...가져왔는데 손질방법 몰라.. 9 괴롭다 2013/02/02 30,428
215022 대법원, 국가정보원의 활동내역은 정보공개대상 1 뉴스클리핑 2013/02/02 431
215021 ‘국가 흉사?’ 익산 석불좌상 땀 흘려 2 제일정확해 2013/02/02 1,401
215020 무선청소기 골라주세요~ 청소가 싫어.. 2013/02/02 480
215019 볼때마다 내 공부 가지고 놀리는 8살 많은 언니 3 면전에.. 2013/02/02 1,384
215018 명함주문 이렇게 하려면 어떻게 주문해야 할까요? 19 ... 2013/02/02 1,316
215017 사촌이 땅사면 배아프다는 속담-원뜻은 그게 아니래요 13 파란청자 2013/02/02 4,322
215016 직장내 따돌림도 심각하군요 [글로벌의 경우] 2 호박덩쿨 2013/02/02 1,197
215015 박준금씨가 하고 나오는 립스틱 색이요 2013/02/02 3,122
215014 도배하고 들어가시는분들은...잔금이 융통이 되서 그러신건가요?.. 10 이사 2013/02/02 2,691
215013 그래도 얘전에 비하면 버스 많이 나아지지 않았어요? 7 ... 2013/02/02 867
215012 트위터 해킹 당해…개인정보 25만명 누출가능성 뉴스클리핑 2013/02/02 680
215011 7급 공무원 재밌네요 7 나야나 2013/02/02 1,723
215010 [캠페인]안쓰는 어린이집 가방, 지구촌 친구에게 책가방을! 1 희망 2013/02/02 675
215009 김성령 너무 예쁘네요. 더이상은 성형 하지 마시길... 17 김성령 2013/02/02 9,804
215008 오늘 날이 너무 좋아요~ 다들 뭐하세요? 5 ㅇㅇ 2013/02/02 1,1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