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전 가사도우미나 베비시터도 전문직 이라구 생각해요

... 조회수 : 1,957
작성일 : 2013-01-22 10:53:35
그건 제가 일해보니 그렇더라고요 물론 많은 도우미 혹은 시터분들이 대충 시간때우기 식으로 일하는 사람은 많지만 전부다 그렇다구 생각하지는 않거든요 가사도우미의경우 저는 시간대비 좀더 효율적으로 일할려고 집집마다 동선을 다르게 정해놓구 해요 그래야 더 지혜롭게 일할수 있고 집안도 깨끗하게 유지가 되더라구요 베비시터도 제아이를 키워봤지만 제가 케어해주는 아기월령수에 맞춰서 나름대로 플랜을만들어서 많이 놀아주면서 봐주고 있구요 그래서 이렇게 일하는ㅇ것에 나름대로 자부심도 느끼고 또 많은 어머님들과 원만한 관계유지도 되구 그러는데 저희부모님은 왜그러실까요?이런일들을 아주 부끄럽게 생각하시구 누가 알까봐 굉장히 조심하세요 꼭 그런표현을 쓰실때마다 전 너무 상처받구요 제나이 올해38세고 부모님은 50대 중반이신데 이일이 그렇게 남들이 보기에 챙피한 일인가요?정말로그렇다면은 진지하게 고민해보고 다른직업을 알아볼려고요
IP : 182.215.xxx.69
13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3.1.22 10:54 AM (211.177.xxx.70)

    산후도후미를 쓴적이 있었는데..정말 손도 어찌나 빠르고 애를 너무너무 잘 봐주더라구요...정말 전문가 타이틀 붙이고 싶었어요....

  • 2. ---
    '13.1.22 10:57 AM (59.10.xxx.139)

    자기 직업에 자부심을 갖고 열심히 일하는거 좋아요
    하지만 전문직은 아니에요

  • 3.
    '13.1.22 10:59 AM (223.33.xxx.107)

    전문직은 아니죠
    더 잘하는 사람은 있겠지만 누구나 할 수는 있는 일이거든요

    부모님이 쉬쉬하시는거는 옛날부터 집안일은 허드렛일이라는
    그런 고정관념이 있어서죠.
    남한테 피해주고 나쁜일도 아닌데 내가 자부심만 느끼고 열심히하면 되는거잖아요. 너무 부모님말에 연연해하지 마세요~

  • 4. 복단이
    '13.1.22 11:06 AM (112.163.xxx.151)

    전문직은 아니예요. 그렇게 따지면 전문직 아닌 게 세상에 있기나 하나요.
    원글님이 말씀하시는 취지는 숙련직이라는 단어가 부합하는 것 같아요.

    그리고 님 말씀대로 가사도우미나 시터가 남한테 부끄러운 직업은 아니라고 생각해요.
    오히려 대단하다고 생각되지...

  • 5. 달인
    '13.1.22 11:08 AM (39.7.xxx.175)

    자기일에 자부심 가지는건 찬성해요
    하지만 전문직은 아니네요
    널리 통용되는 전문직은 그런뜻이 아니잖아요

    생활의 달인에 나오는 사람이 다 전문직이라면 다시 직업분류해 되나요?

    자기일을 사랑하고 효율적으로 하다보면 그분야에서 성공하겠지요 그게 사는 낙아니겠어요?

  • 6. 전문적인 일이죠
    '13.1.22 11:11 AM (211.224.xxx.193)

    하지만 전문직이라하면은 특별한 몇몇 직업들을 애기하는 거니 전문직이라하면 안돼죠. 전문적인일이라는표현이 맞아요

  • 7. ,,,
    '13.1.22 11:12 AM (119.71.xxx.179)

    굳이 전문직이라는 호칭에 집착을 하는게 이상해요.

  • 8. ㅇㅇ
    '13.1.22 11:12 AM (218.38.xxx.231)

    전문직은 학위 자격증 인턴쉽이라도 있어야...
    고도의 훈련직이 더 어울릴 것 같아요

  • 9. 기술직
    '13.1.22 11:16 AM (1.244.xxx.166)

    막일이 아니죠.
    잘하는 사람 소개받고싶고
    못하는 사람은 도태되죠.
    아무나 다할수있는 그런직업아니다 하고 싶으신거죠.

  • 10. 선입견
    '13.1.22 11:16 AM (203.231.xxx.70)

    파출부.. 이런 선입견이 잡혀있어서 그러실거같아요. 남의 일 도와주는게 옛날에는 식모나 하녀처럼.. 좀 천시됐었잖아요. 근데 저 아는 언니가 맞벌이라 일주일에 두번 가사도우미 불러서 청소랑 빨래만 맡긴다는데 그 아주머니 일하러 오실 때 샤넬백들고 오신데요 ㅎㅎㅎㅎ
    남편이 삼성 부장인데 낮에 심심하니까 알바하는거라고 그랬다던데.. 본인이 부끄럽게 생각안하면 괜찮은 거 같아요~

  • 11. 노동 집약직
    '13.1.22 11:22 AM (72.213.xxx.130)

    전문직과 전문기술직은 다릅니다. 전문기술직도 자격증이 있어야 해요.

  • 12. 섬섬옥족
    '13.1.22 11:32 AM (222.108.xxx.252)

    원글님은 전문직과 다름없이 차별화된 노하우도 있고, 계획성도 있다고 느끼면서 일하시는 거지
    82에서 전문직이라는 인정을 받고 싶어 글 올리신 건 아닌듯하네요.
    부모님께서 쉬쉬하고 싶어하는 것도 그냥 그대로 인정하세요. 세대차이고, 개념차이니까요.
    남보다 더 정성들여 일하고 일한 댓가를 물질과, 고용한 분들의 고마움으로 받고 계시다면
    그리고 잘하는 일이라면 그냥 계속하세요.
    님같은 분이 일을 맡아 주실때 상대방이 느끼는 만족과 기쁨이 얼마나 크겠어요.
    무슨일이든 신명나게 쓱쓱 잘해내시는 분들은 달인이라고 하죠.
    전문직이니 뭐니는 중요하지 않죠. 살림과 육아의 달인 멋지네요.

  • 13. 속상하시겠어요
    '13.1.22 11:59 AM (116.37.xxx.135)

    내가 성심을 다해서 하는 일을 깍아내리면 정말 기분나쁘고 싫죠
    그래도 그것 때문에 직업을 바꿀 필요는 없다고 생각해요
    대신 원글님도 부모님한테 당당하게 비하하지 말라고 말할 수 있어야 할 거 같아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213436 얼마전부터 머리가 후끈후끈 합니다. 무슨병? 2013/02/01 429
213435 경문고 등록금문의. 4 자사고등록금.. 2013/02/01 3,114
213434 초등 명작 어떤게 좋은지 추천 부탁드립니다. 1 ! 2013/02/01 530
213433 이번 설날에 제가 전 다섯가지 만들어가기로 했어요!어떤걸!어떻게.. 9 ㅎㅎ 2013/02/01 1,742
213432 근 2-3년 내 출산하신분 조언 부탁드려요. 8 고민 2013/02/01 889
213431 아웅산 수 치는 박근혜씨를 만나러 온 건가요? 11 ,,,, 2013/02/01 1,915
213430 연말정산 해보니 기부금 참 많이 냈네요. 20 기부 2013/02/01 2,856
213429 클러치(미니백) 브랜드 좀 추천해 주세요~ 4 건강이 최고.. 2013/02/01 2,167
213428 콩가루로 할 수 있는 음식있나요? 5 시월애22 2013/02/01 1,144
213427 혹시 관절다치셨던 분 계셔요? 4 아이가 다쳤.. 2013/02/01 439
213426 점심으로 간단히... 잘 먹었다 할 수 있는 메뉴가 무엇일까요?.. 6 내일 또 내.. 2013/02/01 1,403
213425 갈팔질팡... 지금 뭐해야 할지 모르겠어요. 1 긴안목으로 2013/02/01 719
213424 자녀 키우면 좋나요? 14 dualit.. 2013/02/01 1,605
213423 국정원女 아이디 구글링 "민주당 없어져야 한다&quo.. 뉴스클리핑 2013/02/01 629
213422 고구마는 생물인가요 아닌가요? 2 궁금 2013/02/01 546
213421 독학사 준비해 보신분 계시면 조언좀 주세요! 2 독학사준비녀.. 2013/02/01 876
213420 차키 3 ^^* 2013/02/01 513
213419 이런날은 만화책 잔뜩 쌓아놓고 5 2013/02/01 737
213418 “4대강 16개 보 없애면 조류 농도 최대 57% 감소“ 4 세우실 2013/02/01 675
213417 김영철 빵빵 터지는 성대모사 2 마니 2013/02/01 1,053
213416 저장된 순서 바꾸기.. 3 한글문서 2013/02/01 410
213415 노트2 64만원어떤가요? 2 스노피 2013/02/01 1,038
213414 임현정의 사랑은 봄비처럼 이별은 겨울비처럼 어떠세요? 3 비오늘 날 2013/02/01 1,156
213413 소아환자 기저귀, 진찰시 보여드리는 거요 4 오늘 방문 2013/02/01 493
213412 신부꾸밈비 이정도면 어떤가요? 26 생각중 2013/02/01 23,2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