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역삼투압 정수기물은 쓰레기네요

충격 조회수 : 2,772
작성일 : 2013-01-19 15:23:11

수돗물보다 못한 증류수나 다름없는 건강에 안 좋은 물이네요.

 

http://www.youtube.com/watch?v=MpTGonQM_jk

IP : 118.40.xxx.40
6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요약
    '13.1.19 3:31 PM (118.40.xxx.40)

    http://cafe.naver.com/gpwls104/50263

  • 2. ..
    '13.1.19 4:04 PM (121.139.xxx.94)

    하지만 염소처리한 수돗물도 위험하긴 마찬가지.
    소독약 먹는거나 다름없습니다.
    병입 생수는 나은가 하면, 거기도 자체검사하는지라 믿을 게 못됩니다. 그나마 있던 검사기준도 대폭 완화되었어요.
    동네에서 약수 떠다드세요. 환경당국이 더이상 지하수오염과 고갈에 앞장서지 않도록.
    도시민의 지하수 의존도를 높여서 중요성을 부각시켜줘야죠.

  • 3. 웅진
    '13.1.19 4:12 PM (221.156.xxx.176)

    울엄마 당뇨심한데
    요즘 어지러움증 호소하고 있어요
    이것때문인것 같아요
    웅진 역삼투압 5년째인데
    헬쓰다니면서 물엄청싸가세요, 물맛좋다구요

  • 4. 아이고
    '13.1.19 4:19 PM (58.230.xxx.116)

    도대체 무슨 물 마셔요??????

  • 5. 웅진
    '13.1.19 6:34 PM (119.67.xxx.75)

    걷어치우고 브리타 쓰는데 혹시나 역삼투압인가요..?
    웅진은 저수조에 물이 갇혀있어서 싫더라구요.

  • 6. 브리타등
    '13.1.20 11:13 AM (220.85.xxx.236)

    저수조가 없이 직수로 짧은 시간에 여과되는 방식은 역삼투압 방식 아니에요.. 걱정마셈~~
    역삼투압은 100의 물 중 90은 버리고 10만 저수조에 고이게 만들어지기 때문에,
    건강에도 문제가 많지만, 시간도 많이 걸리고 물 낭비로서도 문제가 크대요.
    가격이 비싼 역삼투압 방식을 팔아먹어야 이윤이 많이 남으니 제조업체서는 선호하는거죠.
    이제는 중공사막 방식인지 잘 살피고 골라야할듯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224910 저...작년부터 드디어 참다 참다 관리실에다 19 수양 2013/02/28 13,152
224909 고등학교도 어머니회(?) 가입해야 좋은가요? 4 어렵다~ 2013/02/28 2,487
224908 현재 개발중인 인공자궁.jpg 9 코코여자 2013/02/28 2,710
224907 외고 or 국제고 여쭤볼께요 3 중1 2013/02/28 1,929
224906 토란요리 2 토란요리초보.. 2013/02/28 1,022
224905 카톡 친구가 안떠요 2 카톡질문 2013/02/28 11,077
224904 지금 냉장고에 며칠 분 정도 음식 재료 있나요? 7 시레기찌개 2013/02/28 1,312
224903 10개월 아기 어린이집.. 5 아가야 2013/02/28 1,838
224902 내일. 뭐하면 좋을까요? 3 .... 2013/02/28 952
224901 은지원 아내라네요... 5 음나 2013/02/28 52,924
224900 컵스카우트 단복 남아용을 여자아이에게 물려 입힐수 있을까요? 2 궁금 2013/02/28 1,638
224899 임플라논 시술하면 살찌나요? 2 wd 2013/02/28 5,071
224898 요즘 불경기 맞나요? 46 줄리엣로미 2013/02/28 15,598
224897 17개월 아기 발달이 좀 걱정되서요ㅜ 12 봐주세요 2013/02/28 13,975
224896 헤어스탈바꾼후… 1 아~~!! 2013/02/28 1,155
224895 뚱뚱한사람은 뭘입어도 뚱뚱하겠죠..! 14 돌잔치 2013/02/28 3,993
224894 인생이 빛나는 정리의 마법 저자분 이쁘게 생기셨어요 5 와~ 2013/02/28 2,849
224893 ‘작은 청와대’는 사라지고… ‘안보 공백’만 부각 0Ariel.. 2013/02/28 563
224892 부산에 젊은 사람이 다닐만한 절 있을까요 4 냠냐미 2013/02/28 986
224891 축하한다는말이 어려운 남편 2 서러워 2013/02/28 1,143
224890 왜 뜨거운 밥이 식은 밥보다 포만감이 더 클까용? 4 밥에 관한 .. 2013/02/28 1,793
224889 주택담보 대출 받을시 고정금리에 대해? 1 담보대출 2013/02/28 658
224888 제주행 저가항공 기내에 병에 든 토마토 소스, 오이피클 반입 가.. 3 ... 2013/02/28 2,268
224887 방산시장 내일 영업할까요? 4 내일 약속했.. 2013/02/28 1,065
224886 남편 자형의 형님~ 1 부의 2013/02/28 9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