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영어 때문에

와, 조회수 : 682
작성일 : 2013-01-19 11:35:11

오늘도 이런 많은 이야기들이 오가는 군요. 그냥 지나갈까 하다가 금요일 밤에 시간도 좀 생기고 해서 한마디 덧붙이기로 해요. 영어를 일찍 시키지 않아도 된다, 아니다 늦게 시켜도 괜찮은 애들은 소수일 뿐이다, 뭐 그런 논쟁인 것 같은데, 영어를 일찍 시키지 말라고 적극 권하는 입장 편에서 한마디 덧붙이자 면요, 영어를 일찍 시작하면 얻는 것은, 잘되면 남보다 나은 영어실력, 그나마 잘 될 지 별로 얻는 것도 없을지는 개인 차이이겠지만요, 잃는 것도 확실히 있다는 걸 지적하고자 합니다. 일단 너무 조기에 시작할 경우엔 언어발달이 방해를 받겠지요. 한 가지 언어, 즉 모국어를 확실히 익힐 시간을 주지 않은 상태에서 새로운 언어를 인위적으로 강요한다면 언어발달 전체가 지연되거나 방해받을 확률이 높지요, 모국어를 잘하는 게 왜 중요하냐면 언어는 생각이니까요, 분석적, 비평적, 창의적 사고를 잘하기 위해서는 한 가지 언어를 잘 습득하는 게 대단히 중요하지요.

 

하지만 그보다도 더 중요한 건, 무엇보다 아이의 가치관 형성에 영향을 끼친다는 점 생각해 보셨나요? 인생은 경쟁이고 세상은 먹고 먹히는 곳이다, 어릴 때부터 정신 바짝 차리고 끝없이 달려야 하고, 내가 가진 것이 많아도 남이 덜 가지지 않으면 나는 행복할 수 없다, 즉 나의 행복은 남의 불행에 달려 있다는, 그야말로 아주 불행한 가치관을 심어 줄 수 있습니다. 아이가 영어를 잘하고 못하고의 문제가 아니라 스스로 행복하다고 느낄 수 있는 능력을 가질지 못 가질지를 결정할 수도 있다는 겁니다.

 

제 경우가 남들에게 일반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고 생각하지 않고, 그럴 필요도 없다고 생각하지만, 저는 초등학교 마지막 겨울방학 때 알파벳 배우고 중학교 때 영어공부 시작했는데, 영어 및 언어공부가 적성에 맞는 편이라 수학 및 이과과목 잘 못했는데도 무난하게 스카이대 영문과 진학했고 대학졸업직후 유학해서 미국 인문대 학과에서 박사학위 취득 후 미국에서 취직하고 영어로 밥벌이하는 직업에서 성공적으로 편안하게 종사하고 있습니다. 물론 조기에 시작하지 않아 살짝 억양 있는 영어를 쓰고 있지만 아무도 문제 삼지 않고, 오히려 그런 걸 (한국인이 한국인 액센트 섞인 영어 쓰는 걸) 자연스럽고 당연하다고 생각하는 분위기에서 잘 지내고 직업적으로 성취감을 느끼고 있습니다. 주위의 한국 분들을 보면 가끔 안타깝게 느껴지는 부분은 스스로 행복하다고 느끼지 못하는 분들이 많다는 점입니다. 많은 것을 가졌으면서도 남들이 부러워하거나 남들이 자신보다 불행한 것 같지 않으면 본인이 행복하다고 느끼지 못하는 분들이 많은데 원인이 뭘까 생각해보면 오랜 세월 교육을 통해 형성한 가치관의 문제인 것 같습니다. 단순히 영어를 일찍 시작하고 늦게 시작하고의 문제가 아니라 사교육의 한 단계 한 단계 일관된 선택의 순간을 거치면서 형성되는 특유의 세계관 같은 게 있다는 겁니다.

 

한마디 덧붙이겠다고 하고는 백 마디 썼네요. 암튼 개인의 선택은 자유지만 저는 부모된 입장에서 조기 사교육 시작은 반대라는 조용한 외침을 해보는 겁니다. 물론 여기는 미국, 한국에 계신 부모님들의 부대끼는 심정을 전부다 헤아릴 수는 없지만요.

IP : 74.78.xxx.59
2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3.1.19 12:33 PM (175.115.xxx.106)

    개인의 선택은 자유라 하고 부모들의 부대끼는 심정 전부 헤아리지 못한다고 하면서 이 논쟁을 다시 시작하는 이유는??

  • 2. 저는
    '13.1.19 1:54 PM (112.202.xxx.64)

    영어 조기 교육이 모국어 형성에 지대한 악영향을 미친다고 생각하진 않습니다.
    오히려 모국어 형성에 지대한 악영향을 미칠 만큼
    일상적이고 빈번한 것이라면 반대로 영어 교육은 효과가 큰 것이겠죠.

    원글님 논조로 조기 영어를 반대하시는 분들은
    한국의 영어 유치원 시스템(조기 영어 교육 현실)을 잘 모르는 사람들의 기우라고 생각합니다.

    일단 아이들끼리 영어로 대화하는게 한계가 있기에
    - 프리 토킹이 원어민 만큼 가능한 유치원생이 얼마나 되겠습니까.-
    더러 아이들끼리는 선생님 없을때 한국말 많이 사용합니다.
    그리고 원어민 선생님으로만 구성된게 아니라 아이들 지도를 위해 한국인 보조 선생님이 있습니다.
    그림 그리기 시간도 있고, 음악 시간도 있고, 더러 이런 저런 활동을 하기에
    온시간이 영어 주입식 교육으로만 이루어지진 않습니다.

    방과후 집에와서는 한국말을 사용하고 주말엔 집에서 온전히 보냅니다.
    영어에만 올인하는게 아니라 방과후 대부분 한글 공부나 수학, 악기, 운동 등을 레슨합니다.

    오히려 고비용에 비해 아이가 얻어올 영어적 효과 부분에서 문제를 제기하는게 옳은 것 같습니다.
    유치원 몇시간으로 고비용을 투자한 후 아이가 영어의 친밀감과 조금 자연스러운 발음 이외에
    영어의 지대한 발전을 얻긴 힘이 드니까요.
    물론 더러 영유 아이들 중 언어적 재능이 뛰어난 아이들은
    초등 저학년 수준의 영어를 구사하기도 합니다만.

    영어 교육이 모국어와 가치관 부분에 영향을 미치는 시각으로 접근하려면
    아이가 모국어가 차단 당하는 현실- 가령 어려 이민간 아이나 유학 간 아이들-에 놓여 있는
    아이들이 해당된다고 생각합니다. 영어는 잘하겠지만 모국어의 기반은 약할테니까요.

    작금의 한국 현실은 너도 나도 무리하게 영어에 조기 투자하는데 반해
    그 교육적 효과가 의문시 되고 어린 나이부터 놀이보다 너무나 많은 학습에 놓여진다는 것입니다.
    그것이 참 답답한거죠.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232008 이성을 보는 '눈'만 괴이하게 점점 높아져 가는 ... 2013/03/20 691
232007 요즘 팟케스트 뭐 들으세요? 17 solmam.. 2013/03/20 2,359
232006 집에 냄비가 다 올스뎅? ㅇ인데 불닿는 부분이 타고 그을려요 어.. 9 ㅈ집에 2013/03/20 1,968
232005 여자 많고 뒷담화 많은 직장에서는 어떻게 행동해야 될까요? 직장인고민 2013/03/20 1,989
232004 [퍼온글] 피겨의 신 5 무명씨 2013/03/20 2,312
232003 외환은행 뉴스에나오는데 예금 놔둬도 될까요? 1 은행 2013/03/20 1,845
232002 좋은 글 마이홈에 스크랩하는 방법좀 알려주세요. 1 거북이~ 2013/03/20 806
232001 애완견 매매하는 영업점이 없는 영국이 부러워요. 8 .. 2013/03/20 1,509
232000 약쑥 끓이고 남은 물로 세정해도 될까요? .. 2013/03/20 572
231999 포스텍 교수의 연봉은 어느 정도인가요? 1 000 2013/03/20 2,882
231998 연아 좋아하는 분만 클릭 4 ... 2013/03/20 1,937
231997 엄마사랑못받은 나.. 아기 잘키울수있을까요? 21 초보엄마 2013/03/20 4,113
231996 현장시장실에 여러분을 모십니다 서울시 2013/03/20 607
231995 6개월 아기가 눈물을 계속 흘려요 3 리기 2013/03/20 2,015
231994 판교에서 낙성대 근처로 출퇴근 하시는 계신가요? 5 판교 2013/03/20 1,575
231993 동생이 오피스텔 계약했는데 도움 좀 주세요~ㅠㅠ 1 .. 2013/03/20 922
231992 커피 핸드드립 장비 추천 해 주세요 7 .. 2013/03/20 1,592
231991 어바웃 경유해서 결제하는 방법 가르쳐주세요. 1 네이버 2013/03/20 721
231990 태몽 안꾸신분 계세요? 4 태몽 2013/03/20 1,075
231989 제가 동거에 반대하는 이유 14 ... 2013/03/20 7,151
231988 코스트코에서 연어사면 핫도그 양파 꼭 담아오라고 ;; 3 zz 2013/03/20 2,608
231987 술 뒤늦게 배울 필요 없을까나요...? 5 dd 2013/03/20 655
231986 노래방 도우미 불러놀고 떳떳한 남편(남편한테 댓글보여줄꺼에요) 20 백만년만의외.. 2013/03/20 11,104
231985 ^^; 초1 담임선생님께서 전화주셨어요. -소소한 일상- 6 진짜 학부모.. 2013/03/20 2,633
231984 차라리, 큰 병이라도 걸렸으면... (원글 펑) 4 ddd 2013/03/20 1,1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