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Banner

영어공부는 너무 이른 때도 없지만 왕도도 없습니다.

singlist 조회수 : 2,125
작성일 : 2013-01-19 09:16:02

아래 영작에 관한 팁이라 해서 글 올렸던 사람인데요,

요새 유아 영어 교육에 대한 격론이 한참 진행 중이군요.

빨리 하는 게 좋다, 늦게 해도 상관없다..

제 2 cents를 던져 넣어보자면..

왜 빨리 영어 공부 시킬 수 있는데 하지 않냐입니다.

영어는 언어이기 때문에 배우는 데로 흡수가 되는 거라 어린 나이 때부터 하는 게 좋다고 생각됩니다.

다만 영어 때문에 한국어도 버벅대는 바보로 만들지는 말아야죠.

어차피 어린 나이에 열심히 영어 공부시킨다고 해도 2-30대 대학생이나 professional이 되었을 때 접하는 방대한 양의 전문적인 지식을 흡수할 수 있는 것도 아닌데 괜히 한국어를 희생해가면서 공부시켜봐야 콘텐츠 없이 발음만 느끼한 바보로 만들기 쉽상입니다. 한국어 잘하는 아이가 영어도 잘합니다.

영어공부도 '적당히' 시켜야죠.

그리고 하기 싫은 애 억지로 붙잡아 시키는 짓도 하지 말아야죠.

우리애가 영어에 재미를 못 느낀다 싶으면 안 시키는 게 상책입니다. 모두가 영어를 잘해야 한다는 건 억지스러운 전체주의적인 사고입니다. 그리고 한국어

대신 영어를 잘 못하는 만큼 다룬 분야에서 전문성을 가질 수 있게 도와주세요.

아무리 우리나라가 영미권에 사상적으로나 경제적으로 많이 의존하고 있다 해도 못한다고 못 먹고 살 정도는 아닙니다. 성공의 기회도 많고요. 영어에 대한 집착은 그 자체로서 하나의 집착입니다. 영어잘하는 사람이 더 아는 게 많다는 건 미디어가 만들어낸 일종의 착시 현상이기도 하죠.

하지만 아무리 영어 잘 해봐야 콘텐츠 좋은 사람 못 이깁니다.

물론 둘다 잘하면 금상첨화겠죠. 이런 사람들이 대체로 성공합니다. 그런데 그렇게 애 키우려면 애 잡습니다. 하나만 잘하게 하는 건 어떻게 해보겠는데, 둘다 잘하게 하면 애 빗나갈 겁니다, 아마.

본인이 원해서, 필요하다 느껴서, 영어든 기술이든 더 공부하고 싶게끔 만들어야죠.

그러기 위해선 차라리 돈 부어 영어 가르치는 것보다 아이가 그런 열정을 가질 수 있도록 인성을 키워주고, 부지런할 수 있는 기율있는 교육을 시켜야죠.

공부에는 왕도가 없습니다.

왕도는 자신이 만들어가는 거죠.

고등학교 영어선생님의 길 또한 자신의 길입니다. 그게 적용되는 사람이 있고 안 되는 사람이 있을 겁니다.

그런데 공부 잘하는 사람의 공통 특징은 자신만의 공부법을 연구하고 개발하고 끊임없이 수정해 나간다는 겁니다. 전략적으로 사는 거죠.

아이가 스스로 전략을 짜서 영어를 공부할 수 있게 해주고 엄마 아빠는 옆에서 당근과 채찍을 가끔 활용하는 정도가 가장 좋지 않을는지요.

영어도 너무 과하게 어린 나이부터 애한테 맞지 않게 시키면 역효과만 납니다. 영어는 조금 하는데 한국어도 버벅대는 아이는 영어도 사실 깊게 이해하지 못할 뿐더러 콘텐츠도 흡수할 능력이 모자라서 이도저도 아닌 아이가 될 수 있다는 게 제 생각입니다.

공부 방식이야 이래도 좋고 저래도 좋지 않나요. 자기한테 맞기만 하고 꾸준히 할 수만 있으면..

IP : 115.137.xxx.88
7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3.1.19 9:40 AM (119.202.xxx.99)

    영어 중딩부터 해도 잘할 수 있다. - 맞는말
    근데 그 사람이 유아때부터 했으면 훨씬 더~~~잘 했을거다. 그리고 힘 덜 들이고 쉽게 했을거다. - 맞는말

  • 2. 공부라는게
    '13.1.19 10:06 AM (211.234.xxx.128)

    어느정도 지식이 차올라있으면 그때부턴 가속도가 붙는거라서 초3이후에 급속히 빨리 습득되는건 맞는것 같아요.그이전엔 즐겁게 배워야 하는데 울나라 그게 안되니 문제인거고 돈이 많이 들어 문제인거지 빨리 시작하는 자체가 안좋은건 아닌듯..모국어습득에 영향을 미치는건 논외로 하고요...

  • 3. 미루82
    '13.1.19 10:26 AM (112.153.xxx.97)

    적용되는 사람이 있고, 안돼는 사람이 있다. 동감입니다. 아이들이 다 내 바램처럼 움직여 주는건 아니니까요 .

  • 4. 맞아요
    '13.1.19 10:26 AM (110.1.xxx.228)

    빨리 시작하는게 문제가 아닌거 같아요,,문제는 빨리 시작하는데 어.떻.게 시작하고 같이 나아가느냐가 문제인거 같아요,,억지로 끌고 가느냐,,재미있게 함께 가느냐,,

  • 5. ..
    '13.1.19 10:44 AM (110.14.xxx.164)

    그러게요
    똑같이 가르쳐도 받아들이는 아이에 따라 많이 다른거 보면 답이 없어요
    근데 저도 15년간 가르친 우리 아이 보면..
    조금씩 유치원 무렵부터 익숙하게 해줄 필요는 있어요
    초등만 되도 아이가 쑥스러워서 표현력도 줄고 ...
    본격적인 공부는 초등 고학년에 시작하더라고요

  • 6. 정말 답은 없는것 같습니다
    '13.1.19 10:59 AM (58.231.xxx.80)

    저희 시어머니가 그러더라구요 tv에 나왔는데
    산골에 할머니랑 단둘 사는 여자아이가 라디오만 듣고 영어 다 알아 듣고 유창하게 말도하더라고
    너희들도 학원 보내지 말고 미국 라디오 방송틀어 주라고
    산골에 사는 여자아이가 라디오만으로 영어 성공했다고 니들도 라디오만 들으면
    성공한다고 강조해서 좀 답답했어요

  • 7. singlist
    '13.1.19 12:58 PM (116.127.xxx.114)

    크레이그리스트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좋은 사이트네요.

    네 밑에 분 말씀하신대로 피나게 공부하지 않으면 영어 아무리 일찍 깨우친다 해도 소용없습니다. 겉멋만 들고 자만하게 되죠.

    애기 때 배웠든 나이 먹어서 배웠든 머리 싸매고 공부해야 영어도 잘합니다.

    미국애들도 중고등학교 대 공부열심히 안 한 애들 글쓰는 거 보거나 어휘력 보면 정말 웃음도 안 나옵니다.

    결국 아이들의 initiative가 중요하죠. 시킨다고 다 되는 거 아닙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232744 소갈비찜...레시피.맞나요? 양념이 너무.적지 않나요? 2 히트레시피 2013/03/21 1,058
232743 홍콩에서 산 버버리누빔자켓을 사이즈수선하려고 해요 8 그렇고그런 2013/03/21 2,297
232742 기흉에대해 알고싶네요 6 걱정 2013/03/21 2,722
232741 가찌아 퓨어(커피 머신) 샀는데요.. 좀 봐주세요 5 가찌아 2013/03/21 1,847
232740 결혼을 앞둔 가난한 남녀의 해결책 21 내생각 2013/03/21 5,868
232739 아기띠 사용좀 여쭈어보려구요 6 첫애라 2013/03/21 1,819
232738 아침에 한시간 일찍 일어나기가 정말 힘들어요. 흑. 2 아. 2013/03/21 1,282
232737 장윤주의 노래 들어보셨나요?? 2 꿍스 2013/03/21 1,281
232736 정규직과 비정규직겸업 스노피 2013/03/21 686
232735 밤 부자... 1 초로기 2013/03/21 1,045
232734 대구 경산쪽 출장메이크업하시는분 1 초보엄마 2013/03/21 1,364
232733 이가 시린 원인이 뭘까요;; 치과에서는 치과 문제는 아니라는데... 5 --- 2013/03/21 5,125
232732 양육수당 지급방식 변경 확정된건 아니죠? ? 2013/03/21 1,190
232731 법원 “MBC, 최현정·김완태 등 원직복직시켜라” 1 세우실 2013/03/21 1,741
232730 음파칫솔 처음 써봤는데 이상해요~~ ㅎㅎ 9 으힉 2013/03/21 2,176
232729 김학의 법무부 차관 사의 표명 9 우리는 2013/03/21 3,043
232728 아이들 티비시청시간 어떻게 하세요? 티비 2013/03/21 981
232727 보육교사 주부도 취득 할 수 있나요? 5 베스트쿠커 2013/03/21 1,684
232726 데톨 주방세제 냄새 정말 멘붕이네요 5 ........ 2013/03/21 2,736
232725 와이프 미스테리스란 영화 기억하시는분요? 동시상영 2013/03/21 706
232724 토마토가 몸에 좋은건 알겠는데... 8 과채 2013/03/21 4,404
232723 인사청문 제도 개선…“신상털기 그만“ VS “사전검증 강화“ 5 세우실 2013/03/21 752
232722 다음주 힐링캠프 주인공이 설씨라니.. 60 /// 2013/03/21 14,715
232721 의견여쭘 ㅡ 선생님행동 1 질문 2013/03/21 804
232720 약쑥과 일반쑥 차이가 있나요? 차이라떼 2013/03/21 1,3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