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유학을 생각 중인데 조언을 듣고 싶습니다

에임하이 조회수 : 2,924
작성일 : 2013-01-19 00:26:11

저는 30 대 후반에 공기업을 다니고 있습니다

휴직을 하고 미국 박사유학을 갈 까 생각중인데요

유학을 가는 이유는 지금 안하면 후회할 것 같아서가 제일 크고요(석사졸업하고 미국명문대에 장학생으로 선발되었는데 이걸포기했었거든요). 전문성과 영어능력 향상도 이유가 되겠죠.

박사를 따고 오면 복직할 생각이고요. 박사취득기간은 4~5년 생각하고있습니다.

휴직하는동안 급여와 승진에서는 손해를 보게 되는데 이것은 크게 신경쓰이지는 않습니다.

돌이 지난 아이가 하나있고, 와이프는 자영업을 하고 있습니다

와이프는 고민중인데요. 현재  맞벌이 연봉이 꽤 되는데 이걸 포기하는 것이 신경이 쓰이는 것 같습니다

와이프도 다녀와서 다시 일을 할 수 있습니다

유학을 가는 것이 올바른 선택일까요?

유학을 떠나게 된다면 혼자서 가는 것과 가족과 함께 가는 것 중 어느것이 좋을까요?

IP : 222.118.xxx.163
11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111
    '13.1.19 12:39 AM (59.10.xxx.139)

    아이가 한살이면 한국에 두고가는건 말도 안되구요
    데려가서 아내는 4~5년간 뭐 하실껀가요

  • 2. 에임하이
    '13.1.19 12:40 AM (222.118.xxx.163)

    ...님 에너지 분야입니다. 승진이나 조직 내 위상에 많은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것 같습니다

  • 3. ..
    '13.1.19 12:41 AM (180.70.xxx.193)

    박사는 전공에 따라 짧게는 3년, 길게는 7년도 걸리는데요.
    기혼자들은 대부분 함께 나오세요. 그만큼 과정이 힘들기도 하고 가정이 있는 경우 그 긴 세월을 내내 기러기 하는 것도 힘들구요.
    하시는 일에서 박사학위 취득이 정말 도움이 된다면 상관없지만 영어실력 향상과는 별 상관관계가 없습니다.
    박사과정에서 쓰는 영어는 주로 리서치쪽이라 생활영어는 본인이 끊임없이 회화에 부딪히는 노력이 없으면 그다지 늘지 않아요. 즉 문어는 늘지 모르지만 구어는..일상생활은 가능하지만 능수능란하게 잘 하는 회화는 많이 어렵습니다. 저는 그래서 방송 미녀들의 수다에 나와서 유창하게 한국어를 구사했던 분들이 존경스러웠습니다. 특히 남자일수록, 나이가 많을수록, 가정이 있을수록 힘들어요. 가보시면 아시겠지만 가정이 있으신 분들은 가정이 있으신 유학생들끼리 함께 지내는 경우가 많습니다. 서로 도움도 주고받고 말동무도 되고 무엇보다 아내들과 자식들도 커뮤니티 형성이 되고..만약 전공이 이공계열이시면 정말 영어 실력 향상은 쉽지 않습니다. 반면 인문사회계열이면 늘지만 초반엔 그만큼 혹독하게 힘듭니다.

    박사는 학문 연구에 뜻이 있으신 분들이 하시는게 제일 맞습니다. 그리고 제 생각이지만 가셔야 한다면 가족이 함께 하시는게 가장 좋습니다. 미혼에 비해 생활비는 엄청 필요하실 겁니다. 학교에서 주는 것만으로는 가정있는 기혼자는 다 충당하기 솔직히 어렵습니다. 그리고 유학을 가신다면 가장 큰 수혜자는 오히려 어린 나이에 영어를 배우는 자녀들이 될 가능성이 제일 크고요. 박사를 하시는 목적과 가족 동행 여부를 중점적으로 고려하시는게 좋을듯 싶습니다.

  • 4. ..
    '13.1.19 12:55 AM (180.70.xxx.193)

    하이브레인이라고 있는데 그 사이트 가셔서 한 번 둘러보시는 것도 좋을것 같네요.
    보니까 저랑은 전공도 판이해서 그 부분에 대해선 뭐라고 더 드릴 말씀도 없고..

    그리고 자녀있는 분들의 경우, 대부분 배우자의 영어는 많이 늘지 않습니다. 영어 실력 향상을 위한 활동이 많이 없고 있다고 해도 지속하기가 어려우니까요. 비용이나 시간이나 상황이나..그래서 관공서, 병원, 애들 유치원이나 학교 등에서 볼 일이 있을 경우엔 박사과정에 있는 당사자가 직접 움직여야 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늘 평온하면 좋겠지만 가족 중 누구 하나 아프거나(병원 가는게 사실 제일 골치 아픕니다. 우리나라같지 않아서..) 사건사고 터지거나 유치원이나 학교에서 상담을 요청할 경우엔 님이 직접 움직이셔야 할겁니다. 지역에 따라 편차는 있지만 가족끼리 오시는 경우엔 한국에서보다 가족끼리 시간을 보내는 빈도가 높아지니까 그 면에서 만족하시는 분들은 많이 봤습니다.

  • 5. ;;;
    '13.1.19 1:25 AM (86.129.xxx.51)

    점 두개님 말씀 다 맞는 말씀이에요.

  • 6. 공기업이
    '13.1.19 1:40 AM (110.11.xxx.2)

    밖에서 보는 것과는 다른 면이 많은가봐요...
    저 아는 분도 공기업->해외박사->복귀->다시이민 가셨습니다.
    누구나 첫 직장에는 만족을 못해요. 혹시 첫 직장이 아니신가요?
    회사는 어딜 가던 다 위로 갈수록 스트레스와 회의감이 넘쳐나기 마련입니다.

    딱히 박사를 따서 회사에서 딱히 덕을 보실만하지도 않구요. 그리고 박사 따고 오셔도 40넘으시는데..
    나이가 있으시면 어디 교수자리 가기도 쉽지 않습니다.
    30대 박사가 넘치는데 머하러 나이많은40대 박사를 교수로 뽑겠어요.
    그리고 다녀오셔도 또 복직해서 같은회사 다니실거라면 머하러 그 긴 시간과 노력과 돈을 쏟아부어요...

    박사를 하셔도 하면서 위에 답글쓰신 분처럼 고민이 넘쳐날꺼예요.....

  • 7. 박사유학생배우자
    '13.1.19 2:25 AM (79.194.xxx.233)

    하지 마세요. 박사는 노노. 독신이시라면 모를까 아이랑 와이프 데려가서 박사를 따 오시겠다는 건;ㅠㅠ 현지취업 및 이민이 목표라 하셔도 그저 한국과 현 직장에대해 감사하시고 후회만 하되 정말 떠나지는 마시길.

    저도 유학생이었고 현재 남편도 유학 중이고 한 살 된 아기를 외국서 키우고 있어서 원글님에게 닥칠 고난이 어떤 것인 지 알기에 ㅠㅠ 적극 말리고 싶네요. 돈이 문제이기도 하지만 저 위에 어느 분이 쓰신 것처럼 매일 외국어로 투쟁(?)하며 자신의 바닥을 들여다보는 일이 한 번 사는 인생에 있어 절대 좋은 경험이 아닙니다.

  • 8. 하지마세요
    '13.1.19 2:51 AM (124.53.xxx.78)

    얼마전 미국서 박사 받은 사람인데요,
    나이 많고 부양할 가족도 있는 사람이 할만한 일은 아닌 것 같아요
    제 가족이라면 하지 말라고 이야기하겠습니다.

  • 9. 노노노
    '13.1.19 3:53 AM (193.83.xxx.35)

    직업에 꼭 필요하지 않으면 하지마세요. 가족의 희생이 너무 크네요.

  • 10. ..
    '13.1.19 9:57 AM (1.230.xxx.248)

    저 공기업 직원인데 박사과정 4,5년 동안 휴직 안될텐데요. 휴직이 가능한지 먼저 알아보고 고민하세요

  • 11. 원글
    '13.1.19 12:16 PM (222.118.xxx.163)

    따뜻하고 진심어린 댓글이 하루동안 많이 달렸네요 감사드립니다.
    특히 경험이 있으신 분들의 얘기를 들으니 더 와 닿네요.
    결정에 참고하도록 하겠습니다.

    위에..님 우리 회사는 4,5년간 박사과정 휴직 가능합니다. 다녀오신 분들도 좀 있으시고, 지금 나가계신분도 있습니다.

    저는 회사에서 연구원으로 일을 하고 있는데, 대학과 정부관련기관과도 교류가 많은 편이고, 대내외에서 인정을 받는 편입니다. 다녀오면 이쪽 분야에 입지는 확실히 굳힐 것 같습니다. 투자규모나 전망에 비해 이쪽 분야 실력있는 전문가는 부족하다고 생각됩니다

    미국에 다녀오신 박사님과 교수님들은 저한테 미국유학을 휴직하고 다녀오는 것을 추천하셨습니다. 그분들은 잘하고 오셨기 때문에 그렇게 말씀하셨겠죠.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211752 부천 웅진플레이도시 다녀오신 분 계세요? 3 ... 2013/01/25 968
211751 대구에서 쌍꺼풀재수술 정말 잘하는데 있나요? 성형인 2013/01/25 1,499
211750 일산이나서울에 요리배울수 있는곳 소개해주세요. 2 머털맘 2013/01/25 774
211749 지금 서울저축은행에 예금해도 될까요? 4 예금 2013/01/25 765
211748 직구관련 관세 질문드립니다. 2 ... 2013/01/25 741
211747 독일에 절대로 없는 것... 57 독일댁 2013/01/25 16,145
211746 전문대냐? 어정쩡한 4년제냐? 29 ... 2013/01/25 7,804
211745 아는 엄마 집에 가서 아이가 가구에 낙서를 했네요.. 어쩌죠.... 15 민폐 2013/01/25 3,437
211744 12년만난 남자친구와 헤어졌는데, 도저히 못 잊겠어요..(수정).. 22 답답 2013/01/25 9,822
211743 저혼자 망할 순 없어욧!! 여러분 이시간에 뭐하세요? 40 준준 2013/01/25 12,447
211742 잠이 오지 않네요 10 아기엄마 2013/01/25 1,693
211741 정선희가 동물농장 특별출연에 갑자기 든 의문 8 엔젤레스 2013/01/25 5,564
211740 제주도 맛집 리스트 참고하셔요 30 화이 2013/01/25 51,106
211739 친정엄마가 싫어요 나쁜딸이지요? 5 빙빙 2013/01/25 4,354
211738 질문) 차일드세이브 가입 어떻게 해야 하나요? 4 나무사랑11.. 2013/01/25 462
211737 이런 질문 참 무식하지만 3 속물 2013/01/25 1,003
211736 국제결혼하려는데 외국에 살 자신이 없을때 어떻할까요? 5 sap 2013/01/25 2,858
211735 아웃도어 브랜드 라푸*가 원래 짧은 스타일인가요? 아웃도어 2013/01/25 675
211734 서초구 청원경찰 돌연사…‘징벌 원인’ 의혹 3 -16.5℃.. 2013/01/25 1,047
211733 썬라이더 화장품 들러보신적 있나요 2 bo7 2013/01/25 1,105
211732 남친 도시락 싸주려는데 메뉴 어떤가요^^;; 12 놀와 2013/01/25 2,551
211731 월 100만원씩 어떻게 적금할까요...? 처음 월급받아요 22 100 2013/01/25 13,375
211730 책장 세줄짜리랑 두줄짜리중.. 2013/01/25 636
211729 컨테이너로 쪽방촌 입주 대기자를 위한 임시숙소를 밀든 서울시 5 ... 2013/01/25 1,063
211728 영어 표현 좀 가르쳐주세요 ㅠㅠ 7 .... 2013/01/25 9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