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확정일자만으로는 불안한 건가요? 전세권 설정을 하는 게 나았을까요?

세입자 조회수 : 1,412
작성일 : 2013-01-12 14:52:21
저희 전세는 융자도 없고 집주인도 공무원이라 하고 해서 그냥 확정일자만 받은 상태인데요...
아래 게시글을 보니 (계약금10% 주어야 하는지...) 댓글 대부분이 전세권 설정을 하시는 분위기라...
문득 궁금해져서요. 
전세권 설정의 잇점이 집주인이 보증금 지급을 미룰 경우 막바로 경매에 넘길 수 있다는 정도로 알고 있는데 
확정일자로도 소송걸어서 가능하지 않은가요?
IP : 182.212.xxx.10
3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3.1.12 3:01 PM (123.199.xxx.86)

    확정일자만 받아도 충분히 대응이 되는 상황이 있고..그래도 안심을 못해서 전세권 설정하는 경우가 있기도 합니다..(법적으로는 확정일자만 받아 놓아도 법적대응은 같다고 하지만 실지로는 절대 다릅니다..)
    일단...확정일자만 받아도 되는 경우는...주인의 신용이 문제가 되겠구요..
    다세대나 다가구의 세입자고..그 건물에 주인이 같이 살고 있고..주인의 은행융자 금액이 적을 경우는..확정일자만 받아 놓아도 상관이 없습니다..
    하지만..건물이 아파트나 단독 빌라일 경우....주인이 그 건물을 담보로 소액이라도 채무를 지고 있다면...전세설정을 해야 합니다..왜냐면...요즘은...매매금이나 전세금의 차이가 그닥 나지 않기에....만약의 사태에....대응 할 수 있는...법적인...장치를 해주는 것이 전세설정권이기 때문이예요...아시겠지만 전세권자가 임의경매를 할 수 있느냐...못하느냐의 차이이지요..

  • 2. 안하셔도 될듯.
    '13.1.12 3:06 PM (1.236.xxx.223)

    저도 전세권 설정해봤는데, 그건 살다가 전세금 못받고 나와서 할 수없이 법적조치로 그렇게 한 것이고..
    뭐 해도 되기야 하지만, 님같은 경우는 융자도 없고 집주인 신분도 멀쩡하고..굳이 할 필요 없을 것 같아요.
    저는 집주인이 돈을 안줘서 설정한 것이라 나중에 그 비용까지 다 받았어요. (못 받은 전세금에 대한 이자가 200만원 넘어서..그거 달라는 말에 설정비용 13만원 가량은 집주인이 당연히 주더군요.)
    그리고 집주인이 보증금 지급 미룬다고 어떻게 금방 경매로 넘기나요? 물론 그러기도 하기야 하겠지만, 그건 너무 원수지는 사이로 가는 것이고..
    전세 살다가 내가 낸 전세금이 집값과 비슷해져서 위험하다 싶으면 그때 설정하셔도 늦지 않아요.
    제 경험으로는 지금 걱정은 기우라고 생각...

  • 3. 세입자
    '13.1.12 6:00 PM (182.212.xxx.10)

    좋은 말씀들 감사합니다ᆢ 저도 괜찮을 것 같아 가만 있었는데 다들 전세권 설정하시는 것 같아 순간 놀래서ᆢ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224028 초콩 만들어보려는데 숨쉬는 밀폐용기에 하면될까요? ,,, 2013/02/26 464
224027 중1 남자 아이 피아노 개인레슨이 나을까요? 1 웃자 2013/02/26 690
224026 푸른거탑버전 힐링체조 록팡이 2013/02/26 549
224025 전세집에 벽걸이 tv 달때 주인 허락 받아야 하나요? 30 ㅜㅠ 2013/02/26 15,966
224024 399.90불 하는 의류를 구입하였을 때 관세 부가세 계산 좀 .. 3 궁금이 2013/02/26 3,068
224023 ktx 할인받는 방법아시나요?? 4 ktx 2013/02/26 2,112
224022 다음에서 보니 문재인 의원님 6 ., 2013/02/26 1,643
224021 파전과 어울릴만한 식단 뭐가 있을까요 8 2013/02/26 1,197
224020 이거 어찌계산해야하나요? 3 바보 2013/02/26 757
224019 우리은행 인터넷뱅킹이안되요 3 찌르찌르 2013/02/26 1,118
224018 관광지,유적지, 휴양지가 어떻게 다른가요? 2 유적지? 2013/02/26 406
224017 5월 보스턴 여행 - 어딜 가면 좋을까요 5 돌직구 2013/02/26 799
224016 면세점 선불티켓 이용용품 추천해주세요 1 천개의바람 2013/02/26 342
224015 선물로 대추고를 한 단지 받았어요. 5 대추고 2013/02/26 1,599
224014 창원에 임플란트 잘하는 치과 어디있나요? 8 호호호호아 2013/02/26 5,216
224013 갤3할부원금이 3 뽐뿌초보 2013/02/26 1,048
224012 방풍비닐 붙이신분들 떼셨나요? 2 청소녀 2013/02/26 1,574
224011 (댓글좀)lg 인피니아 47인치 어느 제품이 좋은가요? 3 엘지 2013/02/26 588
224010 아이허브 2 시냇가 2013/02/26 697
224009 주택사시는 음식물쓰레기봉투 사용하시는 분들 계시나요? 3 2년동안 2013/02/26 1,199
224008 아파트 월세 계약 전에 이사가야 할 경우에 어떻게 하는 지 혹시.. 1 ,, 2013/02/26 823
224007 홍대 서대문구 피부과 추천해 주세요. 쓰라 2013/02/26 1,542
224006 김밥에 어떤 국을 내야 할까요?(남편) 14 dd 2013/02/26 5,287
224005 그겨울바람이분다 보고 마음이 1 ㅁㅁ 2013/02/26 1,736
224004 네살 아들, 집에서 할만한 요리놀이 없을까요? 13 초보맘 2013/02/26 1,2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