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내신 나쁘면 수능 잘봐도 수시 떨어지나요?

조회수 : 3,760
작성일 : 2013-01-11 23:22:23
수시는 내신이 좋아야한다던데 내신 나쁘면 수능 잘봐도

떨어지는건지 궁금하네요 수능 치룬 선배엄마분들 좋은말씀 부탁드려요
IP : 218.38.xxx.203
9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3.1.11 11:27 PM (112.121.xxx.214)

    아직 수능은 안 치뤘고요..
    애를 외고 보낼려고...내신과 수능에 대해 여기 저기 알아본 바로는...
    서울대는 말고, 연고대~서성한급에서 내신4등급 까지는 괜찮데요...내신 점수 차이가 별로 없대요..
    그 밑 대학이나 그 밑 내신부터는 점수가 확확 벌어진다는데요..

  • 2. 각 대학들
    '13.1.11 11:33 PM (218.39.xxx.6)

    입시설명회 동영상으로 보던 글로 보던 보세요
    전형이 여러가지인데
    수능 100%도 있고 내신필요없이 창의력으로 뽑는것도있고 수능80%있고 50%도 있고 여러가지 있어요
    적성검사해서 뽑기도 하고

  • 3. ...........
    '13.1.11 11:39 PM (1.177.xxx.33)

    질문내용이 좀 아햏ㅎ햏 해요.
    일단 수시는 내시로 갑니다.
    내시가 나쁘면 붙지 않아요.
    마지막에 수능쳐서 그등급이 나오면 최저등급 맞추는게 있어요
    그수준까진 쳐야죠.그래야 붙는거죠.
    전제조건과 최종조건을 혼용해서 생각하심 안되요
    안그럼 수능성적 안보고 하는 수시에 지원을 하던가요.
    이것도 여러가지 전형이 달라요.

  • 4. ...........
    '13.1.11 11:39 PM (1.177.xxx.33)

    내시가 아니라 내신..ㅎㅎ

  • 5. ...
    '13.1.11 11:46 PM (71.163.xxx.128)

    댓글들이 정확하지 않습니다.
    수시가 두가지 있어요.
    입사제((성적우수자와 특기자)와 수시 일반(논술전형)
    입사제는 당연히 내신이 중요하구요
    수시 일반은 우선선발과 일반 선발이 있는데
    우선선발(50-70%)의 경우는 내신 안 봅니다.

    그리고 정시의 경우
    내신 4-5등급이라도 천점 만점에서 일점 정도 차이 밖에 안 나는 것 맞습니다.
    그렇지만 외고 지망하신다니 문과인데
    실재로 등락은 소수점 둘째자리에서 결정됩니다.
    무시할 수 없다는 것은 나중에 원서 쓰시면 알게 됩니다.

  • 6. 윗님말씀처럼
    '13.1.11 11:57 PM (220.85.xxx.55)

    대학마다 다르고 전형마다 다르고 학생이 상위권인지 중위권인지 하위권인지에 따라 또 다릅니다.
    예를 들어 서울대 가려면 아직도 내신이 많이 중요하구요,
    연고대 목표로 한다면 특목고에서 내신 3~4등급 정도만 되어도 수시 합격이 불가능하지는 않았어요.
    (물론 내신 위주의 전형이라면 연고대도 당연히 내신이 최우선으로 중요하구요.)

    학생이 중위권이라면 내신은 매우 중요합니다.
    중위권 대학 대부분이 내신 반영율이 매우 높구요,
    상위권 대학은 내신을 30%정도 반영한다 해도 1~4등급 사이의 급간 점수 차이가 크지 않지만
    중위권 대학은 등급간 점수 차이가 매우 커서 실질 반영율이 상위권 대학에 비해 매우 높습니다.
    단순히 내신 몇 % 반영하는 전형인가만 보시면 안 되고
    학교 홈페이지에서 기본 점수는 몇 점인지, 등급간 점수 차는 몇 점인지 확인하시고
    우리 아이가 논술이나 다른 요소로 극복 가능한 점수인지를 따져 보셔야 합니다.

    두 해 연속으로 큰 애는 상위권 대학, 작은애는 하위권 대학 보냈는데
    공부 잘하는 애 입시 전략은 사실 엄마가 신경쓸 것도 없어요.
    입시 설명회 한두 번만 가보면 우리 애한테 어떤 전형이 가능할지 뻔히 보입니다.

    문제는 중하위권 대학을 노리는 애들인데,
    수시 전형 방법도 너무 다양하고 정시 지원하는 경우에도 수능 반영 과목, 비율이 다 달라
    엄마랑 식구들이 반 입시 전문가가 되어야 할 판이더군요.
    아이가 공부 잘 하면 그냥 공부 뒷바라지만 해주시고
    중위권이다 싶으면 미리 입시 설명회 가보시고 공부도 좀 해놓으셔야 할 것 같아요..

  • 7. ᆞᆞ
    '13.1.12 12:09 AM (218.38.xxx.203)

    윗님 아주 자세히 써주셨네요 뭘 봐야하는지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서울 공부잘하는애들 많은동네라 일반고 가도 내신 챙기기 쉽지 않아서ㅈ걱정이 많이 되서요
    답변주신 분들 감사드립니다

  • 8. 220님
    '13.1.12 2:31 AM (14.52.xxx.59)

    말이 거의 맞아요
    내년부터 서울대가 내신 안 보는게 달라진거구요
    내신이 수시 위주라는건 일단은 말이 안됩니다
    내신으로 가는 수시는 정말 극상위 애들 경우,이 경운 1,3 넘으면 별 소용도 없다고 할 정도입니다
    입사관 중에서도 학생생활 우수자 같은 생기부 전형이 여기 해당하는데 이건 전교 1-2명 해당사항 있어요

    그리고 중경외시 밑의 학교들은 수시 정시에서 내신 급간 점수감점이 높습니다
    특목고에서 이 밑의 대학을 잘 못가고 강제 재수 들어가는 이유는 특목고 내신으론 싸움이 안되서 그런것도 있어요

    반대로 수시 논술 전형에선 일단 최저등급이 중요하고 우선선발은 내신 안봐요,일반선발 들어가면 급간 감점이 높습니다
    정시도 우선선발은 보통 70% 정도를 미리 뽑는데 이건 내신이 0% 들어가요
    일반선발로 넘어가면 반영비율에 따라 내신이 반영됩니다
    이것도 마찬가지로 상위권 대학은 아주 미미하게 반영하고,하위권은 더 높게 반영합니다

    이 말은 뭐냐하면 내신 수능 논술중 어느 하나는 확실해야 하는거,그리고 최저없는 논술전형은 어차피 수능 안 들어가고,논술은 변별력 없으니 내신을 주로 본다는겁니다

  • 9. strega
    '13.1.12 1:15 PM (112.169.xxx.130)

    우선 입시에 수시와 정시가 있음을 인식하시고 수시는 내신이 절대적입니다. 수능은 최저등급이라고 정해진

    컷만 맞춰주면 됩니다. 의외로 최저등급을 못 맞추는 학생이 많아서 중위권 대학의 경우 미선발 인원이 정시

    로 넘어가기도 한답니다. 정시는 절대적으로 수능이 우선이지만 학교별로 내신의 비중이 높은 학교들이 있습

    니다. 정시 지원의 경우 어차피 비슷한 수능 점수대의 학생들이 지원하는 것이기 때문에 내신도 아주 무시할

    수 없게 되는 것이지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223555 오늘 힐링캠프에 김성령씨 나오나보네요~ 2 야왕좋아~ .. 2013/02/25 1,979
223554 콧물이 계속 멈추질 않아요. 3 ,,,,, 2013/02/25 1,073
223553 100분에 98안에 들거라고 믿지만 가슴이 허해요. 6 ... 2013/02/25 2,204
223552 지금 이율 높은 은행이 어디인가요? 6 지금 2013/02/25 2,063
223551 스마트폰 싸게 사려면? 3 갤3사고파 2013/02/25 1,166
223550 베이비시터 관련 제보부탁드립니다 2 공덕노루 2013/02/25 978
223549 브랜드아울렛 굿! 뽕미미 2013/02/25 825
223548 이사비용 줄이는 방법 아시는분 도와주세요 8 봄입니다 2013/02/25 1,921
223547 유아 원목식탁의자에 허리안전벨트가 없는데 어떻게 보완하면 안전할.. 1 답글감사합니.. 2013/02/25 983
223546 금리저렴한 부동산대출 2 은행대출 2013/02/25 568
223545 백내장 수술~ 의사에 따라서 결과가 차이가 많이 나나요? 2 궁금이 2013/02/25 1,469
223544 이 벌레 이름 좀 알려주세요(혐오스럽지않아요!!) 4 하얀 먼지 2013/02/25 1,329
223543 브래지어가 목어깨 근육통과도 관련이 있을까요? 2 직업병 2013/02/25 1,420
223542 미국여자들에게 핑크란 핫한 색상인가요? 4 /// 2013/02/25 1,513
223541 라끌렛 그릴 돌판 or 철판 ? 선택 좀 해주세요^^;; 9 라끌렛그릴 2013/02/25 4,691
223540 수내동에 곱창볶음집 어디 없을까요? 매콤쫄깃 2013/02/25 631
223539 불통인사 윤창중 '대통령 입'에 기습 인선, 끝까지 불통 대통령.. 0Ariel.. 2013/02/25 592
223538 풍년압력솥 14 복딩맘 2013/02/25 3,075
223537 유아용 엄마표 영어하려는데, 책은? DVD는? 어디서 구하면 될.. 7 초보맘 2013/02/25 1,430
223536 애들이 팔베개를 해줘야 잠을 자는데.. 고칠방법이 몰까요? 3 팔베개 2013/02/25 781
223535 홍콩사는 아이들 선물? 3 여행 2013/02/25 816
223534 꿈에서 아이를 화장시켰어요. 3 겨울 꿈 2013/02/25 1,541
223533 지름신 물리치는 저만의 방법 7 ... 2013/02/25 3,510
223532 파리바게뜨 식빵 뭐 맛있나요 8 냠냠 2013/02/25 2,062
223531 가계부에 영수증도 붙여서 보관하세요?? 5 궁금 2013/02/25 2,0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