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국어선생님이나 선배학부모님들께 여쭤봅니다. 단편소설이요~~

예비고엄마 조회수 : 941
작성일 : 2013-01-09 16:53:17

고등학교 입학 전에 공부할 것들, 읽을 책들 챙겨보고 있는데요.....

국어는 문학에서 왜 "단편소설"을 비중있게 다루나요?

( 뭐, 현대시, 고전소설, 고전시, 비문학 등등 다아 많지만....)

입학 전에 읽을 필독서에도 주루루룩 리스트가 올라와 있고

그래서 그렇겠지만 수능국어지문에도 많이 출제가 되구요.

근대 단편소설, 김동리, 현진건, 염상섭, 이효석 등등......

짧은 글 속에서 인간심리가 함축적으로 표현된다거나해서 학생들이 그것을 해석해낼 수 있는 능력을

갖기를 원하는 건지, 아니면  자랑스런 우리나라의 문학이니 당연히 자긍심 있게 많은 작품들을 읽고

알고 있어야 해서 그러한 건지, 아니면 그냥 수능 출제하기 좋아서? 이건 아닌것 같고.....

교육과정 속에 들어있다면 꼬옥 필요해서 있을터인데 무식한 제 머리로는 어떤 "의의"를 갖는 지 모르겠네요.

이과 엄마라 쫌 문외한이라 그런지 요 몇달 사이 제 머리 속에 계속 떠다니며 궁금했었어요.

아이한테 읽혀도 아 이래서 읽어야하는구나 알고 읽히고 저도 안 읽었던 작품들이 있으면 읽어보려구요.

답변이 많이 달리면 좋겠어요.

 

 

IP : 59.12.xxx.32
4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3.1.9 5:29 PM (1.236.xxx.45)

    우리가 근대라고 부르는 시절,일제 강점기하죠.
    이 시절은 장편보다 단편이 많습니다.
    단편은 길이는 짧지만 함축적으로 시대상과 그 시절을 살아낸 사람들의 삶을 엿볼 수 있구요.다양한 작가의 다양한 문체와 개성을 엿볼 수 있기도 하고 그래서 시험에 내기도 사실 좋구요.

    좀 더 긴 장편,대하 소설은 작가의 역량도 필요하지만 그것을 읽고 즐길 줄 아는 긴 안목을 지닌 독자도 있어야 합니다.그 시절은 아직 그 점이 무르익지 않은 시대라 봅니다.

  • 2. 국어쌤이에요
    '13.1.9 6:44 PM (175.223.xxx.131)

    장편도 교과서 수록되지만 너무 길어서 일부분만 실어요. 고2 문학 책을 보시면 아실거예요.

    그리고 우리나라 근대문학이 형성되어 발전한 시기가 일제강점기와 전쟁 후 70년대까지예요.
    그리고 문학은 역사와 불가분의 관계라
    중요한 시기가 고스란히 담긴 일제강점기와 전후 기절의 문학 비중이 커요.

  • 3. 예비고엄마
    '13.1.9 9:11 PM (59.12.xxx.32)

    예 그렇군요. 감사드립니다.

  • 4. 노고단
    '14.10.20 8:10 AM (124.50.xxx.116)

    국어선생님이나 선배학부모님들께 여쭤봅니다. 단편소설이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228776 연말정산 200만원 토해내게 생겼어요. 13 .. 2013/03/11 5,984
228775 5세 아이가 어린이집에서 지낸 일을 얘기하는데.. 선생님 말과 .. 4 도움절실.... 2013/03/11 2,236
228774 요즘 은행에 일억에서 일억오천 넣어두면 한달 이자가 얼마나 되나.. 택이처 2013/03/11 6,302
228773 선배맘님들 도와주세요 1 아기열 2013/03/11 486
228772 현관문 밑에 고리가 없어서 불편해요 6 이사 2013/03/11 1,166
228771 마눌님 진상짓 말렸어요;; 12 된장국해죠 2013/03/11 5,342
228770 동생한테 차 빌려줄때 보험 문제.. 4 빨강까망 2013/03/11 859
228769 핸드폰 부재중통화 관련 질문입니다. 2 ... 2013/03/11 927
228768 조윤선 여성장관,군가산점제 적극 논의해야 2 조 장관 잘.. 2013/03/11 963
228767 구두사야 하는데 왜이렇게 귀찮은 걸까요 어휴 2013/03/11 548
228766 문이 쾅 닫혀요. 2 그거 이름이.. 2013/03/11 1,471
228765 박 대통령, “기득권 싸움으로 정치 실종” 4 세우실 2013/03/11 768
228764 칠순 넘은 노모 화재보험 3 딸입니다 2013/03/11 623
228763 하루종일 모티터앞에서 일하시는분들 눈 안아프세요? 3 스노피 2013/03/11 943
228762 친정돈 6천만원 5 대출 2013/03/11 3,149
228761 브로컬리대볶음 5 개나리 2013/03/11 1,538
228760 가정용 프린터기 추천해주세요. 18 코코아 2013/03/11 2,434
228759 혹시 집에서 무코타 크리닉.. 같은 재료 쓰시는 분 계세요? 3 무코타 2013/03/11 3,377
228758 6살 아이의 거짓말-조언 절실..도움 구합니다. 10 당황스럽지만.. 2013/03/11 2,367
228757 실비에 암특약 넣어서 들었다가 해약시 5 궁금이 2013/03/11 1,287
228756 이사땜에 집보러 다니는데 의외로 깨끗한 집이 별로 없네요. 14 ㄹㄷㅁ 2013/03/11 5,916
228755 마트 갔다가 부츠가 찢겼는데.. 3 ... 2013/03/11 1,244
228754 원주 돼지문화원 다녀오신 분 계신가요? 2 궁금이 2013/03/11 1,177
228753 형님댁과 상의할 때 어떻게 하시나요... 10 ... 2013/03/11 1,567
228752 저 혼자서 디지털 도어락 설치했어요 16 ... 2013/03/11 12,3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