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국어선생님이나 선배학부모님들께 여쭤봅니다. 단편소설이요~~

예비고엄마 조회수 : 948
작성일 : 2013-01-09 16:53:17

고등학교 입학 전에 공부할 것들, 읽을 책들 챙겨보고 있는데요.....

국어는 문학에서 왜 "단편소설"을 비중있게 다루나요?

( 뭐, 현대시, 고전소설, 고전시, 비문학 등등 다아 많지만....)

입학 전에 읽을 필독서에도 주루루룩 리스트가 올라와 있고

그래서 그렇겠지만 수능국어지문에도 많이 출제가 되구요.

근대 단편소설, 김동리, 현진건, 염상섭, 이효석 등등......

짧은 글 속에서 인간심리가 함축적으로 표현된다거나해서 학생들이 그것을 해석해낼 수 있는 능력을

갖기를 원하는 건지, 아니면  자랑스런 우리나라의 문학이니 당연히 자긍심 있게 많은 작품들을 읽고

알고 있어야 해서 그러한 건지, 아니면 그냥 수능 출제하기 좋아서? 이건 아닌것 같고.....

교육과정 속에 들어있다면 꼬옥 필요해서 있을터인데 무식한 제 머리로는 어떤 "의의"를 갖는 지 모르겠네요.

이과 엄마라 쫌 문외한이라 그런지 요 몇달 사이 제 머리 속에 계속 떠다니며 궁금했었어요.

아이한테 읽혀도 아 이래서 읽어야하는구나 알고 읽히고 저도 안 읽었던 작품들이 있으면 읽어보려구요.

답변이 많이 달리면 좋겠어요.

 

 

IP : 59.12.xxx.32
4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3.1.9 5:29 PM (1.236.xxx.45)

    우리가 근대라고 부르는 시절,일제 강점기하죠.
    이 시절은 장편보다 단편이 많습니다.
    단편은 길이는 짧지만 함축적으로 시대상과 그 시절을 살아낸 사람들의 삶을 엿볼 수 있구요.다양한 작가의 다양한 문체와 개성을 엿볼 수 있기도 하고 그래서 시험에 내기도 사실 좋구요.

    좀 더 긴 장편,대하 소설은 작가의 역량도 필요하지만 그것을 읽고 즐길 줄 아는 긴 안목을 지닌 독자도 있어야 합니다.그 시절은 아직 그 점이 무르익지 않은 시대라 봅니다.

  • 2. 국어쌤이에요
    '13.1.9 6:44 PM (175.223.xxx.131)

    장편도 교과서 수록되지만 너무 길어서 일부분만 실어요. 고2 문학 책을 보시면 아실거예요.

    그리고 우리나라 근대문학이 형성되어 발전한 시기가 일제강점기와 전쟁 후 70년대까지예요.
    그리고 문학은 역사와 불가분의 관계라
    중요한 시기가 고스란히 담긴 일제강점기와 전후 기절의 문학 비중이 커요.

  • 3. 예비고엄마
    '13.1.9 9:11 PM (59.12.xxx.32)

    예 그렇군요. 감사드립니다.

  • 4. 노고단
    '14.10.20 8:10 AM (124.50.xxx.116)

    국어선생님이나 선배학부모님들께 여쭤봅니다. 단편소설이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238736 중국 출장간다는데 어찌해야할지 . . 2013/04/07 991
238735 조용필님 팬클럽 운동회에 왔었네요 ㅠㅠㅠ 미돌돌 2013/04/07 1,816
238734 요즘 고학년 여자애들 뒷담화 잘 하나요? 2 .. 2013/04/07 895
238733 음대나 무용 발레등등 전공하면 대부분 어떤직업으로 빠지나요 5 예술 2013/04/07 4,144
238732 왜 한 사람에게 집중하지 못하고 다른 이성에게 관심을 가질까요.. 7 유리 2013/04/07 2,314
238731 김종서 씨 곡 좋은거 넘 많네요 4 mm 2013/04/07 1,497
238730 사마귀 때문에 율무를 먹이려 하는데요 3 ㅠㅠ 2013/04/07 3,860
238729 발레랑 종아리 물어보신분~ ^^ 12 자랑 2013/04/06 15,021
238728 친구가 폰분실했다고 술먹고 전화했네요 4 ,,, 2013/04/06 1,980
238727 기왕에 북이 핵을 갖고 있다면 9 .. 2013/04/06 1,287
238726 이 언니 왜이럴까요? 52 ㅅㅅ 2013/04/06 16,250
238725 원추리 신경써서 조리해야 하는 거군요 4 아이미미 2013/04/06 2,015
238724 코스코에 크록스 들어왔나요? 4 ㅅᆞㅅ 2013/04/06 1,393
238723 상하기직전 먹거리주는 시엄마 13 16년차 2013/04/06 3,345
238722 그것이 알고싶다 보세요. 10대 조건 사기단 포주들 나오네요 ㅠ.. 17 ,,, 2013/04/06 5,160
238721 오늘 국수가게에서.. 44 .. 2013/04/06 14,650
238720 사기를 못당한 이야기 4 2013/04/06 2,080
238719 파스타 접시는 왜 그렇게 생긴 걸까요? 7 ??? 2013/04/06 2,876
238718 야밤인데 우리 자랑 하나씩 해요.. 166 자유 2013/04/06 11,844
238717 파란색 줄무늬(가로)자켓에는 어떤색깔이? 줄무늬 2013/04/06 612
238716 빗댄다는 말을 어떻게 설명해야 하나요? 3 초롱어멈 2013/04/06 614
238715 스미싱으로 대출까지…안드로이드폰이 더 위험 1 .. 2013/04/06 965
238714 검은 원피스에 자켓 2 옷못입는여자.. 2013/04/06 1,936
238713 택배물량 어마어마하네요 4 대단지 아파.. 2013/04/06 2,006
238712 일식 샐러드 소스 어떻게 만들어야 될까요? 3 소스 궁금 2013/04/06 2,7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