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국어선생님이나 선배학부모님들께 여쭤봅니다. 단편소설이요~~

예비고엄마 조회수 : 952
작성일 : 2013-01-09 16:53:17

고등학교 입학 전에 공부할 것들, 읽을 책들 챙겨보고 있는데요.....

국어는 문학에서 왜 "단편소설"을 비중있게 다루나요?

( 뭐, 현대시, 고전소설, 고전시, 비문학 등등 다아 많지만....)

입학 전에 읽을 필독서에도 주루루룩 리스트가 올라와 있고

그래서 그렇겠지만 수능국어지문에도 많이 출제가 되구요.

근대 단편소설, 김동리, 현진건, 염상섭, 이효석 등등......

짧은 글 속에서 인간심리가 함축적으로 표현된다거나해서 학생들이 그것을 해석해낼 수 있는 능력을

갖기를 원하는 건지, 아니면  자랑스런 우리나라의 문학이니 당연히 자긍심 있게 많은 작품들을 읽고

알고 있어야 해서 그러한 건지, 아니면 그냥 수능 출제하기 좋아서? 이건 아닌것 같고.....

교육과정 속에 들어있다면 꼬옥 필요해서 있을터인데 무식한 제 머리로는 어떤 "의의"를 갖는 지 모르겠네요.

이과 엄마라 쫌 문외한이라 그런지 요 몇달 사이 제 머리 속에 계속 떠다니며 궁금했었어요.

아이한테 읽혀도 아 이래서 읽어야하는구나 알고 읽히고 저도 안 읽었던 작품들이 있으면 읽어보려구요.

답변이 많이 달리면 좋겠어요.

 

 

IP : 59.12.xxx.32
4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3.1.9 5:29 PM (1.236.xxx.45)

    우리가 근대라고 부르는 시절,일제 강점기하죠.
    이 시절은 장편보다 단편이 많습니다.
    단편은 길이는 짧지만 함축적으로 시대상과 그 시절을 살아낸 사람들의 삶을 엿볼 수 있구요.다양한 작가의 다양한 문체와 개성을 엿볼 수 있기도 하고 그래서 시험에 내기도 사실 좋구요.

    좀 더 긴 장편,대하 소설은 작가의 역량도 필요하지만 그것을 읽고 즐길 줄 아는 긴 안목을 지닌 독자도 있어야 합니다.그 시절은 아직 그 점이 무르익지 않은 시대라 봅니다.

  • 2. 국어쌤이에요
    '13.1.9 6:44 PM (175.223.xxx.131)

    장편도 교과서 수록되지만 너무 길어서 일부분만 실어요. 고2 문학 책을 보시면 아실거예요.

    그리고 우리나라 근대문학이 형성되어 발전한 시기가 일제강점기와 전쟁 후 70년대까지예요.
    그리고 문학은 역사와 불가분의 관계라
    중요한 시기가 고스란히 담긴 일제강점기와 전후 기절의 문학 비중이 커요.

  • 3. 예비고엄마
    '13.1.9 9:11 PM (59.12.xxx.32)

    예 그렇군요. 감사드립니다.

  • 4. 노고단
    '14.10.20 8:10 AM (124.50.xxx.116)

    국어선생님이나 선배학부모님들께 여쭤봅니다. 단편소설이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244917 금보라씨 눈이 정말 예쁜 거 같아요 15 2013/04/22 4,087
244916 왕상무의 위엄 ㄷㄷㄷㄷ 4 무명씨 2013/04/22 3,367
244915 핏플랍 컨버스 스니커즈 신으시는분.. 2 어렵다 2013/04/22 1,379
244914 드라이 하고 나면 롤빗에 흰머리가..ㅠ.ㅠ 슬퍼요 2013/04/22 589
244913 쑥을 얻었는데 어떻게 냉동보관하나요? 3 쑥국 2013/04/22 996
244912 학습지 연납했는데 선생님이 바뀌면,수수료는? 씽크빅 2013/04/22 507
244911 3g 유심 LTE폰에 끼워써도 되죠?(잘 아시는 분 도와주세요).. 1 22 2013/04/22 824
244910 신고안하는 교습소는 왜죠?? 3 ^^ 2013/04/22 1,541
244909 아들이 집단폭행 당한 후 재판중입니다 15 도와주세요!.. 2013/04/22 5,195
244908 이런 집은 인테리어를 따로 한건가요? 2 궁금 2013/04/22 1,779
244907 주정차위반 스팸문자도 있나요? 새들처럼 2013/04/22 659
244906 저.. 이런거 해보고 싶은데... 어떨까요? 7 상상의 나래.. 2013/04/22 1,341
244905 이 넓은 우주에서 우리의 인생은 그저 일장춘몽 1 ㅇㅇ 2013/04/22 839
244904 (방사능) 기자회견>학교급식으로 아이들에게 방사능식품을 먹.. 1 녹색 2013/04/22 608
244903 지금 본 빵터지는 오타 25 보헤미안 2013/04/22 3,666
244902 놀라운 서울의 변화 3 수도권거주자.. 2013/04/22 741
244901 결혼기념일 꽃다발을 받았는데요 7 에~~~휴 2013/04/22 1,461
244900 돈의 화신 박상민 5 아리강아지 2013/04/22 2,159
244899 1분도 현미 --정미해주는 정미소 좀 알려주세요 1 지니제니 2013/04/22 687
244898 발사믹식초 어떤게 좋은가요?코스트코에서 3 나조 2013/04/22 2,088
244897 길냥이들이 사료가 맛이없나... 1 ,,,, 2013/04/22 514
244896 돌미나리엔 거머리 없나요? 11 미나리 2013/04/22 7,196
244895 쪽파와 생미역요리법 뭐가 있나요? 2 풍년 2013/04/22 870
244894 결혼식을 다녀와서... 14 마음 2013/04/22 4,520
244893 집에서 샐러드 자주 해드시나요? 3 집밥 2013/04/22 1,2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