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RTV 가 대체 뭔 방송인가 싶어 찾은 쓸만한글...재미있는 방송이네..ㅎㅎㅎ

시민방송 조회수 : 1,123
작성일 : 2013-01-04 10:47:59
뉴라이트가 폭격을 퍼붓고 있는 시민방송 RTV를 알아보자 | 생각의 숲
아빠 | 조회 14 | 추천 0 | 2010.01.19. 23:46
.bbs_contents p{margin:0px;}

 

RTV. 생소한 말이다.

그런데 프레시안에서 RTV에 관한 내용을 읽고 나니 반드시 알아야만 할 방송이라는 생각이 든다.

그리고 RTV를 방어해야한다는 절박함도 든다.

삽질정권을 떠받치고 있는 뉴라이트들의 미친 짓을 종식시키기 위해서라도

정권교체를 서둘러야할 것이라는 비장한 각오를 가지게 한다. 도대체 RTV가 무엇인지 기사의 내용을 읽어보자.

-----------------------------------------

방송개혁시민연대가 느닷없이 시민방송 RTV를 공격하고 나섰다. 그런데 공격의 수위와 방법이 심상치 않다. 우선 수위가 이례적이다. 지난 14일 발표된 방개련 성명의 제목은 이렇다. "시민채널 RTV, 공산주의 선전방송인가?" 오싹하다. 내용은 더욱 섬뜩하다. "국가 안보를 위협하고 국가 정체성을 뒤흔드는" RTV에 대해 "채널 심사를 엄격히 진행하여 그 존폐 여부를 판가름해 줄 것"을 방송통신위원회에 요청하는 게 핵심이다.

방개련 성명이 나가기 무섭게 뉴라이트 계열 인터넷 매체가 공격에 합류했다. <뉴데일리>와 <독립신문>이 약속이나 한 듯 기민하게 나섰다. 이들 매체는 한 술 더 떴다. 아예 분석 기사의 제목을 "DJ 때 출생 , 노무현이 키운 RTV 어떤 곳인가?"로 달았다. 작은 제목도 예사롭지 않다. "국민 외면한 편파방송, 노무현 정부 때 지원금 싹쓸이" 등이다. 도대체 왜 이럴까?

시민방송 RTV는 시청자가 직접 제작한 프로그램 을 편성해 방영하는 국내 유일의 시청자제작(퍼블릭액세스) 전문 채널이다. 1990년대 중반, 각계 인사가 주축이 됐던 국민주방송추진위원회의 논의 성과를 토대로 지난 2002년 9월에 개국했다. 퍼블릭액세스 채널은 주류 방송에서 배제된 사회적 약자와 소수자들의 방송 접근권을 보장하기 위해 이들이 직접 만든 프로그램을 편성해 방영하는 곳이다.

2005년부터 방영되기 시작한 '이주노동자뉴스'와 '이주노동자세상'은 이주노동자들이 직접 취재, 제작, 진행을 맡은 RTV의 대표적인 프로그램이다. 세계 어느 나라에도 이주노동자들이 직접 만든 TV 프로그램이 없던 터여서, 국내외 언론의 비상한 관심을 모았다. 주류 방송에서는 쉽게 만날 수 없는 진보적이고 대안적인 국내외 독립영화를 소개하는 '영화, 날개를 달다'와 장애인 들이 스스로 만들고 진행한 '나는 장애인이다', 전국 20여개 대학 방송 전공 대학생들이 제작한 '달리는 대학, 청년을 말한다' 등도 방송의 선정성과 상업성에 식상한 시청자들의 눈길을 사로 잡았다. 특히 (제작자에 대한) 차별 금지, (제작물에 대한) 최소 심의, 선착순 방영'을 원칙으로 일반 시민들의 프로그램을 모아 방영한 '무한자유지대'는 우리 방송사에 일찍이 없던 시도였다.

이런 가운데 방개련과 보수 매체가 갑자기 'RTV 죽이기'에 나섰다. 무슨 까닭일까? 사실 RTV는 현 정부 들어 이미 반쯤 죽어 있는 상태다. 지난 2008년까지 방송법에 근거해 지원되던 정부로부터의 지원금이 2009년부터 전면 중단됐다. 공익채널 정책 시행 첫 해인 2005년부터 매년 지정됐던 공익채널 선정에서도 석연치 않은 이유로 배제됐다. 모든 지역의 케이블 TV가 의무전송해야 하는 공익채널에서 탈락되면서 시청자를 만날 수 있는 여지도 많이 좁아졌다. RTV는 우리나라 PP (채널사용방송사업자) 가운데 유례가 드문 비영리 공익법인 이다. 공익성을 중시하는 까닭에 개국 이후 상업광고를 하지 않고 다른 수익사업도 펼치지 않았다. 이런 채널에 유일한 수입원인 정부 지원금을 모두 끊었다. 시청자와 만날 수 있는 여지도 크게 좁혀 버렸다. '시민방송'이라는 이름 이 마뜩치 않고 시민사회에서 열심히 일하는 RTV 구성원들이 미워서일까. 아니면 거기서 방영되는 소외계층의 목소리 가 듣기 싫어서일까.

2중의 차단벽 탓에 극도의 어려움을 겪고 있는 RTV에 방개련과 뉴라이트 계열의 인터넷신문 등이 집중 포화를 퍼붓고 나섰다. 방개련의 성명과 <뉴데일리> 등의 보도 내용으로 추측컨대, 지난 해 11월 RTV가 방영한 ' 군대 ?'라는 프로그램이 계기를 제공한 것으로 보인다. '군대?'는 양심적 병역 거부 등을 주장해 온 강의석 씨가 직접 만들어 방영을 요청한 작품이다. 방개련은 이 프로그램에 대해 "국가 안보를 위협하고 국가 정체성을 뒤흔드는 것"이라며 "이런 반국가적, 편향적 방송 채널이 존재하는 것 자체가 공공의 이익에 반한다"고 주장했다. 심지어 방통 위를 상대로 "경영이 부실하고 공적 책임 실현 가능성이 희박한 RTV에 대해 채널 심사를 엄격히 진행해 그 존폐 여부를 확실히 판가름해 줄 것"을 촉구하기까지 했다.

문제는 이들의 주장이 객관적 사실 자체를 완전히 날조하거나 크게 왜곡하고 있다는 데 있다. 더 큰 문제는 방송 전문가 를 표방하고 있다는 방개련이 '시청자참여'(퍼블릭액세스)라는 방송의 중요한 분야에 대해 전혀 식견이 없거나 형편없이 천박한 인식을 갖고 있다는 점이드러났다는 것이다.

우선 사실에 대한 날조와 왜곡이다. 방개련은 "RTV가 참여정부 5년 동안 총 150억원의 법적 근거가 없는 지원금으로 운영됐다"고 주장했다. 우선 수치가 틀렸다. RTV가 참여정부 집권 시절 받은 지원금의 총액은 83억원이다. 법적 근거도 없이 지원 받았다는 비난도 터무니없다. 2000년에 개정된 통합방송법 제 38조는 시청자가 제작한 방송 프로그램과 방송 소외 계층의 방송 접근을 지원하는 데 방송 발전기 금을 지원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방송위원회는 이를 근거로 RTV를 지원했다. 법적 근거가 있었기 때문에 현 방통위 야당 상임위원보다 훨씬 강력한 견제 목소리를 냈던 당시 야당쪽 상임위원들의 동의 아래 기금이 집행된 것이다. 완전한 날조가 아닐 수 없다.

방개련은 또 "시청자제작프로그램에 배정된 방송발전기금의 69%를 할당 받는 등 끊임없이 특혜시비가 제기됐다"고 썼다. '69%'라는 사실은 맞다. 그러나 특혜 시비가 제기된 적도, 제기될 이유도 없었다. 까닭은 이렇다. RTV는 국내 유일의 시청자참여(퍼블릭액세스) 전문 채널이다. 편성의 80% 이상을 시청자가 제작한 프로그램들로 채운다. RTV 말고 시청자참여프로그램을 내보내는 데는 한국방송 KBS(<열린채널>)과 일부 케이블 TV 밖에 없다. 그것도 아주 제한적으로 방영하고 있다. 한국에 퍼블릭액세스 채널 여러 곳이 있는데 RTV에만 기금의 절반 이상이 몰렸다면 특혜 시비가 있을 수 있다. 2008년 한 햇 동안 방영된 시청자제작프로그램 2천5백편 가운데 1천4백편이 RTV가 내보낸 것이다. 게다가 RTV가 방송위의 기금으로 시청자 제작자에게 주는 방송채택료는 다른 데 비해 한결 적다. KBS의 방송채택료가 분당 23만원이고 케이블TV가 4만원인데 반해 RTV는 3만원이다. 기금을 잘게 나누어 보다 많은 제작자가 참여할 수 있도록 배려한 것이다. 이런 점을 계산에 넣으면 시청자제작프로그램 지원금의 80% 정도가 RTV에 지원되는 것이 맞다. 결과적으로 손해를 본 셈인 것이다. 따라서 방개련의 이 주장은 교묘하지만 터무니 없는 왜곡이다.

날조와 왜곡보다 더욱 걱정되는 것은 방개련 소속 '방송 전문가'들의 방송에 대한 무지다. 특히 시청자의 방송 참여와 퍼블릭액세스에 대해 이들이 이번에 드러낸 천박한 인식 혹은 무지는 방개련이 추진하는 이른바 '방송 개혁'에 심각한 우려를 던져준다. 퍼블릭액세스 채널의 우선적 기능 은 방송 소외 계층의 목소리를 비교적 가감 없이, 생생하게 전달하는 것이다. 주류 방송에서 소외된 이들의 목소리가 그대로 전달되어야 거대 방송이 좌우하는 여론시장의 공정성이 그런대로 확보될 수 있다는 이유 때문이다.

미국과 유럽 등 미디어 선진국을 포함한 해외의 퍼블릭액세스 채널들이 '최소한의 심의'를 원칙으로 내세우는 데는 이유가 있다. 주류 가치를 잣대로 소외 계층의 주장이 훼손되는 것을 막자는 취지다. 강의석씨가 제작한 '군대?'도 마찬가지다. 양심적 병역 거부자는 우리 사회에서 객관적으로 존재하는 소수자들이다. 이들의 주장이나 의견은 주류 방송에서 잘 내보내지 않는다. 바로 이런 주장과 의견을 가급적 거르지 않고 방영하는 곳이 퍼블릭액세스 채널이다.

물론 최소한의 심의는 거친다. 이를 위해 전문가들로 구성된 심의위원회도 가동되고 있다. 하지만 소수자들의 주장이나 의견의 핵심을 건드리는 것은 가급적 삼간다. 방개련 주장대로 강씨 작품이 문제가 있다면 강씨 주장을 반박하거나 비판하는 프로그램을 만들어 방영을 요청하면 된다. 이것이 퍼블릭액세스 채널의 운영 원리다. 만일 소수자의 의견이 지배적 가치와 충돌한다고 방영을 불허하거나 내용을 크게 수정하라고 한다면 이는 퍼블릭액세스의 기본 취지와 정면으로 어긋난다.

유럽의 한 퍼블릭액세스 채널에 재미있는 사례가 있다. 2차대전 뒤 반나치 계열 인사들이 개국한 이 채널에 나치 인사들이 앞다투어 나치즘을 찬양하는 프로그램을 만들어 방영을 요구했다. 선착순 원리이므로 아침부터 이들 나치 인사들이 이 방송사 앞에 줄을 섰고 '시청자 프로그램'을 선착순으로, 훼손하지 않은 채 방영해야 한다는 원칙에 따라 몇 개월 가까이 개국 취지에 어긋나게 이들 나치 찬양 프로그램이 방영된 것이다.

또다른 사례도 있다. 지난 2004년 한겨레신문이 자신의 뉴스 콘텐츠를 기반으로 프로그램을 만들어 데일리 뉴스 프로그램인 '한겨레 뉴스 브리핑'이라는 프로그램에 대한 방영 요청을 했고, RTV는 이를 수용했다. 이런 사실을 알게 된 조선일보가 얼마 뒤 '조선-갈아만든 이슈'라는 내용의 뉴스 프로그램에 대한 방영 요청을 해 왔다. RTV는 '차별 금지, 열린 편성'라는 편성 원칙에 따라 이 프로그램을 편성하기로 했다. 이후 상당 기간 '한겨레 뉴스 브리핑'과 '조선-갈아만든 이슈'가 맞편성되어 나란히 방송됐다.

방개련은 '군대?'의 사례를 들어 공정성과 공익성을 거론하며 편파방송을 문제 삼았다. 하지만 퍼블릭액세스 채널이 추구해야 할 진정한 공정성과 공익성을 외면한 것이다. 약자와 소수자의 얘기를 거르지 않은 채 방영하되, 다른 주장이나 의견을 담은 프로그램의 방영 요청이 있을 경우, 이를 받아들이는 것이 공정성이다. 퍼블릭액세스 채널에서 소수자와 약자 등 소외 계층에 대한 편파성은 오히려 공익성의 다른 이름이다.

이들의 주장을 그대로 내보내야 여론 시장의 독과점을 막고 공론 광장 의 균형을 이룰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런 맥락에서 "방송의 공적 책임에 반하는 것"이라거나 "퍼블릭액세스 채널을 표방하는 RTV의 존재 의미를 의심케 하는 것"이라는 방개련 등의 주장은 무지의 소치다. 아니면 퍼블릭액세스에 대한 일면적 인식 탓이거나. 방송 개혁을 진두 지휘하거나 나서서 거들기 위해서는 방송의 주요 분야에 대한 깊은 공부가 필요하다. 알량한 지식으로 오도된 비판을 펴는 것을 보면서 다시 한번 나라와 우리 방송의 장래가 걱정된다.

남는 의문이 있다. 방개련 등이 왜 이 시점에, 별로 큰 영향력이나 지명도가 없는 RTV를, 그것도 돈줄이 막혀 허덕이는 곳을, 야단스럽게 공격하고 나섰는가 하는 점이다. 강의석씨 작품 '군대?' 만을 문제 삼은 것이라 하기에는 '공산주의 선전 방송'이라는 공격의 수위가 너무 높다. 그렇다면 무엇인가? YTN과 KBS에 대한 공략은 마무리됐다. 이어 MBC도 다잡고 있다. 이제 저 아랫녁에 있는 구멍가게도 손봐야 안심 할 수 있다는 들뜬 안달인가? 기우이길 빈다.


/김영철 시민방송 RTV 상임부이사장 

 
 
 
IP : 121.154.xxx.124
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218732 글만 지웁니다.. 15 그냥 2013/02/12 2,955
    218731 윤후 팬분들 후 6살 때 영상 보세요 ㅎㅎ 7 ㅇㅇ 2013/02/12 3,727
    218730 애낳고 저같은 분 계신가요? 1 치골아파 2013/02/12 1,473
    218729 맥주 한캔 할까요? 12 안주는 김 2013/02/12 1,931
    218728 교사랑 결혼하겠다던데? 14 ㅇㅇ 2013/02/12 5,333
    218727 오프에서 별볼일 없는 사람이 온라인서 적극적이에요 17 아이러니 2013/02/12 4,103
    218726 김혜리씨 정말 미인이네요 9 우와 2013/02/12 6,997
    218725 연말정산, 전직장에서 원천징수영수증을 실제 받았던 임금보다 적게.. 3 ?? 2013/02/12 1,973
    218724 까르띠에 끼던 반지 종로5가에 팔면 얼마정도 줄까요? 5 sandy 2013/02/12 4,420
    218723 도시락김 추천해주세요 5 반찬 2013/02/12 1,446
    218722 이런 남자랑 결혼하면 고생길 훤하겠죠?ㅠㅠ 17 조예은 2013/02/12 5,594
    218721 50대후반 직장상사 석사졸업 선물 추천 좀 해주세요 1 2013/02/12 1,660
    218720 지금 엠넷에서 울랄라세션 특집하고있는데요.. 1 울랄라 2013/02/12 1,190
    218719 자녀 교육 상담 - 게임중독 12 아아아 2013/02/12 3,198
    218718 돈 주고 쓰는 가사도우미도 밥은 줍니다...며느리는 그보다 못한.. 38 홧팅!! 2013/02/12 9,782
    218717 빠진이를 먹은것 같은데요 4 후리지아향기.. 2013/02/12 1,602
    218716 필요 없을까요? 4 집전화 2013/02/12 990
    218715 집이 넓으면 층간소음이 더 심한거겠죠? 8 2013/02/12 2,311
    218714 권상우 발음 정말 못보겠네요 15 몰입안되네 2013/02/12 5,074
    218713 연예인처럼 화장하려면 어찌해야 하나요? 5 ... 2013/02/12 3,825
    218712 그럼 파운데이션 순한건 뭐가 있을까요 2 화장품 2013/02/12 1,594
    218711 심방세동으로 전극도자절제술 받아보신 분 계시나요? 3 걱정 2013/02/12 2,966
    218710 중학교 입학하는 아이 새배돈? 16 속상 2013/02/12 3,814
    218709 카카오톡, 문자 영원히 보관하는 방법 아시는 분 11 궁금이 2013/02/12 7,872
    218708 부페갔더니 음식을 산더미처럼 쌓아놓구 다 남기는 여자들. 9 부페 2013/02/12 4,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