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국회의원 연금법도 선별적 복지 하자 -_-

... 조회수 : 1,567
작성일 : 2013-01-04 08:40:59
국민들은 선택적 복지 해야 하고, 왜 자기네는 보편적 복지 합니까.
뽑아 놓은 대표가 일 잘하도록_사기진작 차원에서 연금 주는거 찬성 합니다.

다만, 능력에 따라 차등 지급 해야죠.
국회의원도 평가하지 않습니까.....우수국회의원 상위 10%, 20%, 30%...등등의 구간으로 나눠서 차등지급하며,
하위 70%는 없는 것으로 ........

있으나 마나한 인간들, 국회출석 0%에 가까운 우리의 레이디 가카 같은 분들에게는 단돈 만원도 아까워요.
IP : 166.125.xxx.105
9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3.1.4 8:45 AM (121.163.xxx.64)

    찬성요.
    국회의원 연금 절대반대는 아니고 선별적 지원에는 찬성이예요.
    능력별 재산별로 구분해서 차등 지원했으면 좋겠어요.

  • 2. 원글님을
    '13.1.4 8:48 AM (210.97.xxx.6)

    국회로 보내고 싶군요.

    능력없고 밥버러지 같은 국k의원들!!! 세금 아까와요.

  • 3. ..
    '13.1.4 8:50 AM (39.116.xxx.12)

    우리나라에 진짜 필요한건 국회의원 수 자체를 줄이고
    지자체의원들 싹 없애고..
    월급도 줄이고 줄여야하는거 아닌가요?
    첨벙첨벙 노는 놈들이 대다수인데 연금이라니...
    기가 막히네요.
    그 놈들 주둥이에 쳐들어가는 돈만해도 어마어마할것같아요.

  • 4. 다음까페
    '13.1.4 8:54 AM (211.197.xxx.113)

    굳 아이디어!
    찬성

  • 5. 완전 도둑놈들
    '13.1.4 9:55 AM (121.151.xxx.53)

    국회의원을 단 하루만 했어도 65세 이후부터 죽을때까지 매월 120만원씩 받는법을 2010년에 슬쩍 통과시켰는데
    작년 총선때 여 야 할것없이 없애겠다고 하더니 거짓말이였어요.


    기본급과 일반수당은 월 650만에
    입법활동비 313만 원, 관리업무수당 58만 원, 급식비 13만 원에
    연간 900여 만 원에 달하는 특별활동비와 646만 원의 정근수당, 775만 원의 휴가비까지 주어진답니다.

    또 가족수당비 자녀학비보조수당과 매월 35만원 차량유지비와 110만 원의 유류비에 출장비 형태로 지급되는 철도, 선박, 항공기 이용료가 있어
    1인당 연간 1억5000여 만 원을 넘나드는 억대 연봉을 받는데 그것도 모자라
    정책활동비 사무실 운영비등 다양한 항목의 지원금이 있어 상상을 초월하는 급여를 받고 있네요.

    또, 보좌진은 4급 보좌관 2명, 5급 비서관 2명, 6·7·9급 비서 각 1명 등 7명으로 구성된다. 여기에 인턴직원을 2명까지 채용할 수 있어 최대 9명의 보좌진이 국회의원의 업무를 돕는다네요.

    왜들 기를쓰고 국회의원이 되려고 하는지 알것같죠.

    http://media.daum.net/politics/others/newsview?newsid=20120601152105915

  • 6. 생각
    '13.1.4 11:07 AM (14.43.xxx.202) - 삭제된댓글

    하면 할수록 열받아요.
    정녕 지들멋대로 하는거 막을방법은 없나요?

  • 7. ..
    '13.1.4 12:51 PM (125.141.xxx.237)

    정녕 지들멋대로 하는거 막을방법은 없나요?

    // 그러려면 국회의원들이 독점한 입법권의 일부(국회의원의 처우와 관계되는 법안을 다룰 권한)를 박탈해야 하는데요, 그러기 위해서는 관련법안이 필요하고 이 관련법안을 만드는 것 역시 국회의원들이 하는 일입니다.;
    대통령도 탄핵소추해서 반품시키는 게 가능한데, 국회의원들은 일단 뽑고 나면 임기 만료 전에는 반품시킬 방법이 없어요. 왜냐하면 국회의원들이 자기들을 반품시키는 법안은 만들지 않아서 그런 거에요. 그래서 대선보다 더 중요한 게 총선인데 총선은 대선보다 상대적으로 관심도나 참여율도 낮고 후보 개개인에 대해 대선후보 수준의 현미경 검증을 하는 것도 아니지요.
    우리나라 국회의원들이 이런저런 문제가 많은 건 사실이지만, 바로 그 국회의원들 수준이 유권자들 수준이라고 봐야지요. 일 제대로 안하고 자기들 연금이나 챙기고 사고나 치고 다니고, 그런 사람들에게 권력을 위임해서 국회로 보내준 게 유권자들이잖아요. 유권자들 전체가 좀더 정치적으로 각성하든가, 혹은 국회의원이 사고치면 그 국회의원을 여의도로 보내준 유권자들에게도 공동책임을 묻는 장치라도 만들지 않는 한, 국회 수준이 어느 날 갑자기 향상될 일은 없을 겁니다.

  • 8. ...
    '13.1.4 1:06 PM (1.241.xxx.43)

    찬성!찬성!!!
    어제 아이들 급식 1520원 한다고 한거보고 정말 쌍소리가 절로 나와 한숨만 나오던데
    이 시키들은 어찌 하는 짓거리들이 이런지..
    그아이들 김치 몇조각에 콩나물도 10개? 어휴 쓰다보니 또 열받네..
    국회의원 한달 간식비가 600만원이란거 보고 깜짝 놀랐네요..전 잘못봤나 했네요..
    그리 찾아오는 사람들 먹이느라 그러겠죠?

  • 9. ...
    '13.1.4 2:23 PM (39.115.xxx.20)

    찬성입니다!!! 국회의원도 당연 선별복지 해야지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225209 프랑스에서 보내는 작은 선물 뭐가 좋을까요? 6 bongmo.. 2013/03/01 995
225208 혹시 분당 야탑동 SK뷰 아파트 사시는 분 있나요? 1 봉덕엄마 2013/03/01 2,381
225207 이탈리아 ‘인물정치’ 병폐에 방송 소유… 유권자들 또 베를루스코.. 6 샬랄라 2013/03/01 698
225206 사각턱 수술 은 정말 후유증이 있을까요???? 6 ?? 2013/03/01 2,846
225205 정치판에 강용석보다 더 똘끼 있는 사람들..?? 18 ... 2013/03/01 2,224
225204 자폐아를 세상과 소통하게 해준 아이패드 4 우리는 2013/03/01 2,395
225203 지금까지 헛산거 같아요. 3 줄리엣로미 2013/03/01 2,003
225202 일본해라니...... 2 어이상실 2013/03/01 827
225201 세입자가 말도 안하고 상가 벽 허물어서 사용하는 경우 어떻게 해.. 2 비냉물냉 2013/03/01 1,872
225200 아이러브 커피 친구 구해요~ 4 2013클로.. 2013/03/01 789
225199 정기 예금 금리 정보 (3월1일 기준) 1 .. 2013/03/01 2,611
225198 층간소음 피해자? 2 층간소음 2013/03/01 898
225197 요즘 마트 가면 10만원은 기본인가요.. 16 .. 2013/03/01 4,711
225196 30중반 분들..어떤 머리 스타일 하시나요? 3 -_- 2013/03/01 2,373
225195 쌍꺼플재수술 잘하는곳 소개좀 해주세요. 20 질문 2013/03/01 12,661
225194 이마트에서 생긴 어이없던일 9 dd 2013/03/01 4,763
225193 김남주의 황토현에 부치는 노래 2 삼일절 2013/03/01 1,283
225192 (급)남영동 맛집 추천부탁드려요 1 맛집 2013/03/01 1,135
225191 분당 수지에 사시는분들 중 회무침 맛있게 하는 곳 추천해주세요~.. 먹구싶당 2013/03/01 1,010
225190 우리밀과 수입밀가루에 관한 궁금증 9 sunnyr.. 2013/03/01 1,458
225189 바람을 뚫고 떡볶이를 먹으러 갔는데 문을 닫았어요.ㅠㅠ 22 딸아..미안.. 2013/03/01 4,109
225188 외고 입학식에 학부모 참석하나요? 5 ... 2013/03/01 1,627
225187 속이 불편하고 목이 아픈데 감기인가요 ? 1 마음 2013/03/01 700
225186 롯데면세점에 쿠론이나 브루노말리 있나요?? 2 면세점 2013/03/01 2,970
225185 서울 근교에 일요일에 전통장 서는곳 있나요? 4 드드 2013/03/01 1,3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