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아가들 보육비 국가에서 지원해주는거에요?

d 조회수 : 2,805
작성일 : 2013-01-02 20:40:02

이거 근데 부자집이나 가난한집이나

아기만 잇으면 무조건 국가에서 돈을 주는건가요?
IP : 58.233.xxx.67
14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dㅇ
    '13.1.2 8:43 PM (58.233.xxx.67)

    재산과 상관없이 다 주는건 좀 아니지 않나요............

    이건 좀 심한거 같은데

    차라리 돈만은 사람들 지원비를 가난한 사람들한테 해주면 안되는건가 보네요..........

  • 2. ㅇㅇ
    '13.1.2 8:47 PM (1.227.xxx.209)

    저출산 대책이지요. 옳은 방향이에요.

  • 3.
    '13.1.2 8:49 PM (211.234.xxx.130)

    세금 많이 내서 하나도 혜택 받는거 없으면 좀 그렇죠.
    아기보육비 혜택 못 받는 연렁대는 다른 것 혜택 보쟎아요. 등록금 인하라던가.

  • 4. 그만큼
    '13.1.2 8:50 PM (211.108.xxx.38)

    작금의 저출산 현상이 심각한 겁니다.

  • 5. mmm
    '13.1.2 8:50 PM (122.34.xxx.199)

    원래도 상위 30%빼고 지원받고 있었어요. 다만 상위 30%가. 아파트 전세금에 낡은 준중형 한대에 회사원 외벌이도 되더라고요. 되려 사업하는 사람들은 이미 수년전부터 지원받고요. 월급쟁이 유리지갑들 생각함 이게 나을듯요.

  • 6. 소박하게
    '13.1.2 8:53 PM (14.52.xxx.104)

    유렵의 어느나라인가는 국왕의 아들도 아동수당을 받는데요.
    이유는. 아이가 부모를 선택해서 태어나지 않기 때문에.
    아이에게 주는 수당이니까 아이를 기준으로 생각하시면 편할 것 같아요.

    우리나라는 스스로 먹고 살만하다고들 생각해서인지, 아니면 반대인지 모르겠지만
    보편적 복지에 대한 저항감이 큰 것 같아요.

  • 7. 오호
    '13.1.2 9:08 PM (112.171.xxx.151)

    얼마씩 나오나요?

  • 8. 아기공룡
    '13.1.2 9:14 PM (110.35.xxx.243)

    10~20만원까지 나온대요..
    작년엔 어린이집에 보내야만 헤택을 볼수있다고 해서 생후 2달된 아기도 많이 보냈었어요.
    제가잠깐 첫돌까지의 아기들을 보느라고 어린이집에 몇개월 다닌적이 있었거든요.
    그런데 그게 못할일이었어요..
    아기들은 엄마젖을 억지로 떼어놓고 매일울고, 엄마는 한두번은 전화도 해보고 하더니, 이젠 교사만 믿고 아예 저녁 7시까지 오지도 않는 엄마가 있고,, 그때가 엄마와 아기와의 상호교감이 가장 중요할때라던데.
    이젠 각가정으로 양육수당을 주니 얼마나 좋아요.
    어린이집에 보내더라도 어차피 돈은 또 들거든요. 기저귀랑 분유및 기타 부자재값이 만만치 않아요.

  • 9. aprilsnow
    '13.1.2 9:22 PM (124.5.xxx.178)

    근데요,,저희도 상위 30%라고 ..우리 큰아이 6살인데..지금까지 지원 한푼도 못받았거든요.
    세금은 많이 내는데...혜택은 전혀 못받고 솔직히 억울합니다.
    전 문재인님 정책이 맘에 들어요..보편적으로 다 해주되 부자한테 세금을 더 걷는거요.
    상위 30% 라고 해서 전혀 잘사는게 아니예요..완전 서민인데...^^;;

  • 10. 라일락나무
    '13.1.2 9:28 PM (1.236.xxx.98)

    현실을 생각하면 이게 차라리 나아요. 원에 가는 아이들은 지원을 받고 집에 있는 아이들은 지원을 안하니까 너도 나도 다 보내서 원은 자리가 없어서 정작 가야하는 아이들 못가고 곤란했고요, 원에서도 엄청 배짱부리고 그랬어요. 그래서, 차라리 이렇게 가정보육하면 기본 얼마 지원해주고 그러면 굳이 보낼 필요없는 사람들도 손해보는 느낌에 보내는 건 없어질거예요. 게다가 저희집처럼 (이제 해 바뀌어서 6살되는데) 아직 원에 안보내는 아이들은 아무 혜택 못받았는데 이건 또 역차별 혹은 소외잖아요. 가정보육도 지원하면 역차별 문제도 어느정도 해결되잖겠어요? 괜히 불필요하게 일찍부터 원에 보내는 것도 어느정도 해소되고, 엄마랑 더 오래 있어도 되는 아이들 집에 있어도 되고 두루두루 좋은 방법이라고 봐요. 그리고 사실 더 제대로 하려면 원에 지원하는 비용도 정확하게 따져봐야해요. 원에서 국가지원금 외에 다른 비용 새로 만들어서 받기도 하거든요. 아직 제도도 지원도 엉성하긴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조금씩 손보고 제대로 된 정책이 나오겠지요.. 하지만, 근복적인 건 국가 차원에서 육아에 대한 부분을 고려하기 시작했다는 것이 복지에 대한 접근의 시작이라고 봐야한다는 점에서 이건 분명 필요한 일이예요...

  • 11. ,,,,,,,,
    '13.1.2 9:32 PM (118.219.xxx.94)

    스마트폰이 있읫면 radio inn이라는 어플이 있는데 그거 깔고 에듀케이션부분보면 최진기강의가 있어요 거기서 왕자의 무상급식이란 제목의 강의가 있어요 거기서 아이는 부모를 선택할수없다라고 하면서 왕자도 보육비를 받는다고 했어요 최진기 강의를 들으시면 왜 모두 줘야하는지 이해가 빨리 되실거예요

  • 12. 저희도
    '13.1.2 10:00 PM (116.120.xxx.237)

    내내 지원 못 받았는데 완전 서민이거든요. 훨씬, 훨씬 잘 사는 사람들이 지원 다 받는데 우리보고 바보래요. 유리지갑인 걸 뭐 어쩌나요? 명의 돌려놓는 건 생각도 못했네요. 허 참.

    어찌됐건 복지는 혜택을 받고 못받고에 차등을 두는 게 아니라 세금에 차등을 두는 게 맞다고 생각해요.

  • 13. .....
    '13.1.2 10:50 PM (1.244.xxx.166)

    네 그거 필요없는 사람들은 지금도 비싼 학원시설에 생돈 내고 보내요. 그리고 제주위에 상위30프로들도 럭셔리하지않은 형편 많고요.

  • 14. 이해를 못하는 건지
    '13.1.3 11:54 AM (110.70.xxx.44)

    잘사는 사람 집 아들
    못사는 사람 아들이 있다
    둘다 같은 학교다니고 밥도 그냥 먹는다

    사람들이 왜 부자집 아들을 수업료고 밥도 공짜로 주냐?
    개들은 주지마라 그돈으로 다른애 한명 더주라 이거하고

    다 헤택주고 부자집에서 돈을 더많이 내서 모두헤택 받게 한다
    이 얘긴데 이게 보편적 헤택 보편적 복지라는 거다

    부자집 애들 군대가면 밥 주지말고 지돈으로 사먹고 군복도 지돈으로 사입고
    잠도 부대근처 호텔에서 지돈 쓰면서 자고 출퇴근하고 총도 다연발. 최신 무기구입해서 쓰게 하지...
    그래서 부자집은 왠만하면 자식 군대안보낼려고 돈쓰고 빽쓰는거다
    그리고 학교도 사립나 국내외국인헉교 또는 돈쓰면서 외국 보내ㄴ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205617 박지원 "안철수 후보 양보는 잘못" 25 이계덕/촛불.. 2013/01/10 2,909
205616 [단독] 싸이 슈퍼볼광고 이어, 오바마 대통령과 커플말춤 춘다... 2 오늘도웃는다.. 2013/01/10 1,799
205615 컴퓨터 관련...도와주세요 3 컴맹 2013/01/10 683
205614 생후 6개월 짜리 어린이집에 맡기는 전업 주부 17 .. 2013/01/10 8,047
205613 커피 그라인딩 질문이요 7 푸딩 2013/01/10 1,413
205612 <민주당 접수>민주당은 우리가 접수한다. 7 세수하자 2013/01/10 1,167
205611 7세 되는 아이.. 어린이집 or 유치원 조언부탁해요. 간절해.. 6 귀여워092.. 2013/01/10 1,422
205610 대게시즌에 즈음하여 대게에 대하여 3 묵호항 2013/01/10 7,486
205609 여러분~ 보이스키즈 보신적잇나요~? fasfsd.. 2013/01/10 944
205608 예물을 14K로 주기도 하나요? 15 미쳐가는가 2013/01/10 3,589
205607 문재인 헌정 詩 “자유로운 영혼” 천사 2013/01/10 1,713
205606 가장 강하게 반대하신 분들 몇몇이 가장 비슷하게 행동하시네요. .. 27 솔직한찌질이.. 2013/01/10 8,742
205605 주택 욕실 너무너무 추워요. 히터 사용하세요? 10 zerini.. 2013/01/10 4,555
205604 따뜻하고 이쁜 패딩 사고싶은데 봐주세요 6 .. 2013/01/10 1,728
205603 어머님과 형님이 저를 'OO엄마'라고 불러요. 20 투덜투덜 2013/01/10 3,881
205602 번호이동 한번했는데 다시또 그회사로 번호이동되나요? 4 핸펀 2013/01/10 847
205601 젖삭히는약 먹으면 가슴이 쪼그라드나요? 6 의지박약 2013/01/10 2,787
205600 보이스키즈 1 보셨나요? 2013/01/10 1,123
205599 진중권 "게임 말고 공부를 셧다운해야" 2 이계덕/촛불.. 2013/01/10 1,770
205598 이게 무슨 병이죠? 3 . 2013/01/10 1,099
205597 여행(국내든 해외든) 별로 안좋아하시는 분들 계시나요? 11 별로. 2013/01/10 2,124
205596 신생아데리고 장거리~ 5 나쁜엄마 2013/01/10 1,388
205595 친구가 한 말이 몇년동안 안잊혀지고 증오만 불타올라요.ㅠㅠ 5 치유될까? 2013/01/10 3,055
205594 교회 다니시는 분들...방언기도나 통성기도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 28 신앙의 이름.. 2013/01/10 10,935
205593 도대체 왜 그러셨어요,어머님? 23 울고 싶어요.. 2013/01/10 10,0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