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환갑 넘으신 부모님 부부사이가 좋아질 수는 없을까요?

마리 조회수 : 2,961
작성일 : 2012-12-29 01:57:52
저는 서른이 넘은 미혼의 딸입니다. 
늦게 공부를 하는 입장이라 방학때만 집에 와있는데요.. 

부모님이 참.. 해가가면 갈수록 너무 사이가 안좋으신것 같아요.
두분이 싸우거나 그런건 아닌데.
두분이 같이 하는 취미나.. 같이 보내는 시간이 전혀 없고. 
완전 따로따로 지내십니다. 
장보거나 간단한 동내산책 이런 것도 절대 같이 하시는 법이 없어요.. 

아빠는 은퇴하고 집에서 쉬시는데.(60대 중반)
주로 친구분들이랑 등산가시거나 가끔 일보시는거 있고. 
그냥 그렇게 심심하게 지내시고요 

엄마는 워낙 친구들과 사교모임이 많아서 (60)
직장인도 아닌데 아홉시면 출근해서 여섯시 넘어서 퇴근할정도로 무조건 밖으로 나가십니다. 
밥도 절대 같이 드시지 않고요
아침에 아빠 밥 차려드리고 
점심은 아빠가 알아서 드시고 
저녁은 엄마가 와서 차려드리긴하는데
엄마는 친구들과 이미 다 드시고 오거나 
다이어트때문에 드시지 않아요. 

그냥 같이 살긴하는데 이건 뭐 거의 따로 사는 느낌이죠. 

엊그제는 엄마가 제가 오랜만에 집에 왔다고 고기도 굽고 반찬을 많이 차려주셨어요
그랬더니 아빠가 딸이와야 이런거 얻어먹는다고 하시면서 
서운하다는 내색을 하셨죠
엄마는 그거 듣고 그냥 듣는둥 마는둥 하고.

물론 아빠도 짜증나는 성격이기도 하고 
회사다닐때 생각하시면서 집안에서 대접받을려고 하는것도 좀 별로이긴한데요.

몇십년간 여유있게 쓸만큼 돈도 잘 벌어오셨고
일을 너무 열심히해서 가족과 함께 보내는 시간이 너무 적긴했지만
술먹고 허튼일을 하거나 바람핀것도 아니고요.. 
외할머니도 저희집에서 돌아가실때까지 모시는 착한 사위이기도 했거든요.. 

그래서 엄마한테 엄마는 아빠가 그렇게 싫은지 좀 돌려서 물어보기도 했거든요
그러면 아빠가 싫은건 아닌거 같아요. 아빠가 얼마나 좋은사람인지 일장연설하시거든요.. 

제가 보기엔 저희 부모님 두분이 너무 친하지가 않은것 같아요..  
82쿡 언니들이 말하는 그런 부부의 동지애''같은게 없고. 
그냥 따로따로 힘들게 본인의 일만 열심히하면서 살아오다가
갑자기 아빠가 은퇴하고 나니 갑작스럽게도 진짜로 몇십년만에 같이 살게된거죠.. 
그래서 이렇게 어색함과 서먹함.. 서운함 등이 폭발하고 있는것 같아요.. 

저랑 제동생은 뭐 그냥 가시 방석에 앉아있는 느낌이에요 
저는 빨리 학교로 돌아가고 싶은 마음.
동생은 집에 늦게 오고 싶은 마음.. 
큰소리는 나지 않긴한데.. 살얼음판 겄는 느낌

두분이 좀 친해질? 방법은 없을까요? 
제가 딸로서 노력해볼 일은 없을까요? 


IP : 117.53.xxx.164
9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갑자기
    '12.12.29 2:05 AM (99.226.xxx.5)

    안되요. 현재 생활이 두 분에게 편하신거예요.
    두 분 인생이니까요.
    종교활동을 같이 하는 분들이 그나마 조금 낫긴 한대, 한국분들 좀 일반적이죠. 그런 현상들이.
    투닥 투닥 말싸움도 하고...그런게 그나마 생기있달까요....

  • 2. 어쩌면
    '12.12.29 2:09 AM (125.177.xxx.54)

    아버지께서 젊었을때 많이 서운하게 하신게 아닐까요? 남편이 필요할때.. 특히 아이들 어릴때 일이 바쁘다는 핑계로 나몰라라 했다던가..
    시집 문제에 방패막이 되어 주지 않았다던가...
    바람피지 않았다고 남편의 본분을 다 한건 아니거든요. 원글님은 자식이니 상세한 내막을 모를 수 있어요.
    아버지께서 무한 노력 하셔야 하는데.. 어머니가 풀리기가 쉽지 않겠죠..
    그만큼 지내는 것을 다행으로 여기세요.
    저도 나이들면 남편한테 그럴 것 같거든요.
    우리 딸이 크면 원글 님처럼 속상해 하겠네요...ㅜ

  • 3. ....
    '12.12.29 2:44 AM (58.124.xxx.112)

    많은 노년부부가 그래요. 어머니는 젊은시절 돈때문에 남편(돈벌어오는 사람)한테 억지로 맞춰 살아야했고 그러면서 차곡차곡 쌓아두신 거죠. 그리고 나이들어서 남편이 자기를 필요로 할 때가 왔을 때 일종의 보복을 하는 거구요. 뭐 그렇다고 쳐도 솔직히 님 어머니는 너무하신 것 같네요... 장모를 집에서 모시는 거 아무 사위나 할수있는 행동은 아닌데...

  • 4. ...
    '12.12.29 2:55 AM (122.42.xxx.90)

    아무리 남편이 서운하게 한 점이 있다해도 장모님 돌아가실 때까지 모셨으면 일반적으로 저러지 못하죠.
    남녀가 바뀌어 시어머님 돌아가실 때까지 모셨는데 남편이 섭섭하게 많았다고 저런 식으로 나와봐요 게시판에 욕 지분 모두 흡수하죠. 하긴 여긴 그래도 모시는 건 어차피 아내가 다 했지 남편이 한 게 뭐 있냐고 말 나오겠지만요.

  • 5. ..
    '12.12.29 3:36 AM (61.79.xxx.163)

    저희 부모님은 더 심했습니다. 딸 3에 아들 하나인데요. 진짜 같이 지낼땐 얼마나 싸우시던지요.
    딸들 다 시집가고, 막둥이 군대갈때 그나마 집에 하나 남아있는 자식, 군대갈 걱정보다 덩그라니 남겨질 60대 부모님이 과연 어떻게 지낼까? 그 걱정부터 했으니까요.
    저희 아버진 좀 짠돌이 기질이 있으시고 (자식한테는 안그런데 엄마한테만 ㅠㅠ) 집에 있는 걸 좋아하시고,
    반면 저희 엄마는 진짜 아침되면 딱 나가셔서 저녁 늦게나 오시고 그러셨거든요.
    아무래도 혼자 남겨질 아빠 걱정에 오죽하면 '강아지를 입양해서 키우게 하실까?' 생각했었어요.
    저희집이 오래전부터 강아지를 키워왔고, 제가 시집오면서 집에 있는 강아지들을 모조리 데리고 왔거든요.
    그런데...딱 두분이 남겨지니까요... 생각보다 너무 잘 지내십니다. ㅎㅎㅎ
    주말에는 같이 등산도 가신다고 하셔서 깜짝 놀랬다는...

    성격도, 취미도 다르신데.. 두분이 남겨지시니까 또 그게 아닌것 같더라구요.
    지금은 그냥 서로를 남보듯 지내는 것에 익숙해지셔서 그러실꺼여요.
    딱히 불만도 없으시고 그러면 차츰 시간이 갈수록 잘 지내실지도 몰라요.
    어색하겠지만 가족끼리 외식이라도 같이 나가는 시간을 종종 만드시고,
    부모님이 함께 하실수 있는 일을 만들어보세요.

  • 6. 그러나
    '12.12.29 8:59 AM (58.240.xxx.250)

    불행히도 우리나라 많은 부부들의 노년의 모습이 저렇더군요.
    원글님 말씀대로 동지애는 있으나 애정은 없는 거지요.

    외국은 애정없는 결혼을 죽음과 같다 생각해 이혼을 당연한 수순이라 생각하지만...

    우리나라는 이혼에 대한 편견이 여전한 탓도 있고, 또 사랑이 결혼생활의 필요충분조건이라 생각하지 않는 구석이 많은 탓도 있어요.

    그게 한편으론 슬픈 일이다 싶기도 하지만, 달리 생각해 보면 외국보다 어찌 보면 더 쿨한 부부생활일 수도 있다는 생각이 들기도 해요.

    사랑? ~하면 뭐하겠노 소고기 사묵겠지...이런 식이랄까요?ㅎㅎ

    제 사촌 언니는 누가 봐도 형부가 인텔리에 정말 호인이세요.
    그런데 은퇴한 그 형부가 등산을 혼자 다니신다 하더군요.
    같이 가 주면 갈 때마다 십만원씩 주겠다 해도 언니는 돈도 싫다, 그냥 같이 가기 싫대요.

    그 부부 겉으론 아무 문제 없어 보이거든요.

    갈 때 도시락은 정성껏 싸 주지만, 그 언니도 운동 좋아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남편과 동행이 불편하고 싫은 겁니다.
    익숙하지 않은 겁니다.

    예전엔 정말 그 언니가 이해가 안 됐거든요?
    그런데 지금 제가 그 언니 나이가 돼 보니, 온전하게 충분히 이해가 갑니다.

    인력으로 어쩔 수 없는 문제예요.
    너무 속끓이지 마시길...

  • 7. 어떡해..
    '12.12.29 12:46 PM (125.177.xxx.190)

    제가 그렇게 살거 같아요..
    사실 40중반인 지금 사는 모습도 비슷하구요.ㅠㅠ
    그게 많이 쌓여서 그래요. 남편이 나를 위해주지 않는 세월이 길다보니 있던 정도 떨어져서..
    남편이 좀 잘하려하면 그게 오히려 이상하고 예전 나빴던 기억 떠오르고 그러네요.

  • 8. 그만하면 무난한거죠뭐
    '12.12.29 12:59 PM (125.152.xxx.138)

    황혼이혼도 넘쳐나고
    애증으로 사는 분들도 많아요
    저희부모님은 번갈며 서로 욕하고 분기별로 이혼하겠다는데
    그러면서도 이혼은 안하고 정말 상황 짜증나요

    한쪽이 살갑게 대하고 하면 갈라질수도 있지만 거의 안그러시죠

    저도 시부모님이 노인학교도 따로 다니시고 헤서 처음엔 이상하게 생각했는데
    지금은 제법 이상적인 방법이라고 생각해요

  • 9. ...
    '12.12.29 2:57 PM (222.109.xxx.40)

    싸우지 않고 그런대로 두분이서 잘 생활하고 계시네요.
    지금이라도 아버지가 어머니와 같이 영화 감상이나 쇼핑등
    외출할 기회를 만들어 보시라고 하세요.
    원글님이 가족 여행 계획 해서 식구 모두 여행 다녀 보세요.
    몇번 하다가 자식들은 빠지면 두분이서 자연스레 다니시게 될거예요.
    그렇게 지내도 불편하지 않아서 그대로 지내시는 것 같아요.
    의견 대립 없고 싸우시지 않고 자식들 붙잡고 상대방 흉 보지 않으면
    괜찮은 사이인거예요. 결혼 생활 처음부터 그랬을리는 없고
    아버지가 가족을 잘 못 돌보신거지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201562 아들이 잠자다 헛소리. 몽유병인가요? 2 ?? 2012/12/29 3,426
201561 부산에서 번개를 한다면 11 가브리엘라 2012/12/29 1,795
201560 은마아파트, 지금 사면 어떨까요? 105 ... 2012/12/29 21,646
201559 부정선거..이제 슬슬 희망이 보입니다...힘냅시다!! 51 ... 2012/12/29 11,725
201558 4-5세 아이 엄청 따뜻한 방한복 어디서 파나요? 3 ... 2012/12/29 1,164
201557 내딸 서영이 서영이가 참 뻔뻔하고 싫네요 34 서영이 2012/12/29 14,574
201556 토지같은 대하드라마 멋진 거 있을까요? 3 책 말고 2012/12/29 1,094
201555 전원책 변호사의 문재인이 강남에서 생각보다 선전한 이유분석이네요.. 6 ... 2012/12/29 3,655
201554 미국 타임지가 보수언론인가요? 1 TIME 2012/12/29 1,577
201553 일렉트로룩스 에르고라피도 왔습니다.! 16 초보엄마 2012/12/29 3,034
201552 역사고전강의 책 있으신 분 좀 봐주세요 1 ddd 2012/12/29 757
201551 수개표 떡밥 이제 그만!!!!!!!!!!!! 22 시민만세 2012/12/29 2,290
201550 떡만2 만두 좋아하는분 없나요? 3 ... 2012/12/29 1,678
201549 민주당이 수개표에 소극적인 이유(트윗에서 펌) 12 태희맘 2012/12/29 3,815
201548 시어버터....바르기 힘들어요ㅠ 12 .... 2012/12/29 4,432
201547 이정희 측 “성호스님에게 법적대응 하겠다” 8 호박덩쿨 2012/12/29 2,974
201546 언니들,모공프라이머 어떤거 쓰세요?(+ 지금 꼭 하고싶은 말) 19 .. 2012/12/29 4,637
201545 아이허브에서 아이들 먹일 코코아 있나요? 1 성격짱 2012/12/29 2,373
201544 메뚜기 월드ㅋㅋㅋ 10 무한도전 2012/12/29 3,452
201543 임신 중 빈혈 5 화초엄니 2012/12/29 1,376
201542 급질) 미국 사이즈 PL 이... XS보다 작은 사이즈 인가요?.. 8 급해요 2012/12/29 3,003
201541 2002년 대선 전자개표 조작설 42 무명씨 2012/12/29 2,963
201540 김치가 상한 거 같아요. 어떻게 해야하나요? 7 zlzlzl.. 2012/12/29 6,933
201539 말라도 너~무 마른 3학년 남자 아이 멀 먹여야 살이 찔까요? 16 땡글이 2012/12/29 2,582
201538 케네시 콜 이란 가방이 유명한가요? 4 펄펄 2012/12/29 2,4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