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저희 부부 돈관리법..어떤가요? 개선여지 있나요?

커피한잔 조회수 : 1,379
작성일 : 2012-12-27 13:19:52

저희 부부는 맞벌이구요..애는 아직 없어요..결혼한지 1년됐고요..

 

지금 돈관리하는 방법은 그냥 하다보니 이렇게 자연스럽게 굳어진거에요

제 월급이랑 남편월급은 연봉으로 따지면 같은데..단지 저는 성과급 나오는 달이 일년에 4번이라서..월급이 좀 들쭉날쭉하고 남편은 고정적이에요

 

일단 제 월급의 50%는 제명의로 저금하고요

남편 월급 50%는 남편명의로 저금하고요

결혼전부터 하던 저금이라서 그냥 쭉 하게되었네요

만기가 지났는데 그냥 서로 한사람한테 몰거나 하지않고 계속 각자 재예치 중이고요 ㅎㅎ

 

그리고 남편 월급 나머지 반 중 본인 용돈과 핸드폰비 등을 내고 나머지를 생활비조로 저한테 주는데

그 금액은 매월 유동적이에요

많을때는 남편월급의 30% 정도,,적을땐 0%였던 적도 있어요..남편이 뭔가 큰 거 사느라..

대신 출장비가 많이 들어왔다거나 하는 정기적이지 않은 소득이 생기면 저한테 다 보내줘요(물론 확인은 안해보고 그냥 믿음) 그리고 그돈은 그냥 거의 그대로 저금...

 

제 월급의 50%와 남편이 생활비조로 준 돈으로 생활비+제 용돈+각 집안에 드리기도 하고+ 비상금조, 여행자금 마련 등으로 저금도 조금씩 하고

그렇게 1년간 살았네요

 

처음엔 결혼하면 제가 완전히 남편월급통장 현금 흐름을 쫙 꿰고 관리를 하려고 했는데!!! 그러진 못하고 있어요

일단 남편 인증서가 저한테 있긴 하지만..남편 거를 딱 한번 들어가보고 그후론 그냥 주는대로 받아요

제가 좀더 관리를 철저히 해야 할까요?

그래야 돈이 더 물샐틈 없게 되려나요?

 

남편이 용돈을 허투루 쓰는 스타일은 아니에요..감정적 소비는 없는 스타일...

저는 약간 감정이 업되거나 할 경우 소심하지만 만원 이만원 저를 위해 쓰기도 하고

너무 불쌍하거나 할 경우 불우이웃돕기성금도 턱 질러버리는 스타일.. 

돈관리에는 남편이 사실 더 적임자일 수도 있지만

또 남편은,,안쓰고 모으기 하나는 잘하는데 예금 금리 비교나 관리비 할인 카드 이런거 이용할 줄은 몰라요..

 

조언 좀 주세용..^^
IP : 211.181.xxx.31
2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2.12.27 2:02 PM (115.178.xxx.253)

    결과만 놓고보면 남편이나 원글님 모두 저축이 50% 이상이고 과외로 생긴 돈은 모두 저축하시니 나쁘진
    않습니다.
    그렇지만 이제 전체소득을 놓고 계획성있게 쓰셔야 합니다.

    우선 주택마련, 자녀양육, 노후준비 이런 식으로 큰 목적을 두고 각각 어떻게 대응할지
    계획을 세워야 합니다. 특히 노후준비는 기간이 매우 중요하니까 하루라도 (복리효과)
    빨리 시작해야 합니다.

    10년통장 이라는 책을 읽어보세요. (저 이책관 관련없어요. 저도 독자)
    보통 재테크에 관심이 없는데 관심을 두셔야 합니다. 저처럼 너무 늦지 마시고..

  • 2. 커피한잔
    '12.12.27 2:11 PM (211.181.xxx.31)

    아..댓글 감사합니다..무대뽀로 저축만 하고있는데 목적에 대응방안을 마련해야하는군요...감사합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222724 새내기 된 딸래미 걱정ㅜㅜ 8 .. 2013/02/22 2,393
222723 모유수유 언제까지 하셨어요? 14 엄마 2013/02/22 2,178
222722 용산파크자이오피스텔 어떤가요. 7 삼각지 2013/02/22 3,573
222721 직원에게 10%이율준다는데 사실인가요? 보험회사 2013/02/22 881
222720 한진重-금속노조, 농성해제 협상 타결(3보) 2 참맛 2013/02/22 574
222719 오분도미 백미쾌속으로 밥해도 될까요?? 3 2013/02/22 1,365
222718 최신 it 아이템 하나씩만 풀어놔주세요 (패션) 9 풀어놔주세요.. 2013/02/22 2,768
222717 우리나라에 조가 넘는 재산가진 사람 얼마나될까요?? 3 .. 2013/02/22 2,027
222716 주위에 동남아 이민 가신 분들 계시나요? 7 이민 2013/02/22 5,169
222715 생리하는 기간만 되면 지옥을 경험하네요 12 궁금이 2013/02/22 3,775
222714 일일드라마 힘내요 미스터김!! 2 김비서드라마.. 2013/02/22 1,696
222713 수학 과외 6년간 하면서 느낀 점들 315 익명 2013/02/22 83,801
222712 베이킹 고수님들, 치즈수플레 케익을 구웠는데 질문 있어요. 8 Zz 2013/02/22 1,347
222711 (가곡)그집앞 3 까나리 2013/02/22 1,168
222710 지금 프라다폰 사면 많이 구릴까요? 10 에잇 2013/02/22 1,740
222709 노인 기초연금 미친거 아닌가요? 13 맹~ 2013/02/22 5,344
222708 봉골레 스파게티 원래 매콤한가요 6 파스타 2013/02/22 1,503
222707 진짜 별거아닌거 같은데 마음이 따뜻해졌어요 6 2013/02/22 2,342
222706 멸치랑 다시마로 육수 우려내고 나서 그거 그냥 다 버리시나요??.. 9 ... 2013/02/22 6,328
222705 카페라떼 맛있는 다방추천해주세요 27 라떼매니아 2013/02/22 3,006
222704 불광역 예스마레 어떤가요? 주말에 가족 식사하려 하는데 4 예스마레 2013/02/22 1,494
222703 반려견 키우시는 분들 봐주세요~ 19 봄이엄마 2013/02/22 2,518
222702 밑에 스타벅스 글 보고 저도 문의요^^ 3 문의 2013/02/22 1,736
222701 남자친구의 잦은 이직- 뭐라고 해줘야할까요? 15 고민중 2013/02/22 7,521
222700 bitch란 말이 우리나라말로 치면 '년'이란 뜻인가요? 9 .. 2013/02/22 16,3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