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아이를 낳을까 말까 고민을 많이하네요

외국사람들도 조회수 : 948
작성일 : 2012-12-27 07:11:18
구글에서 'regret not having a child' 넣고 검색하니 진짜 많은 게시판이 나오던데 외국엔 애 없이 사는 삶이 좀 정착되서 그런지 오십-육십세 된 사람들도 담담하게 정직하게 그리고 진지하게 그리고 길게! 경험을 잘 올려주는것 같아요. '낳으세요' '낳지 마세요' 이런 이분법적인게 아니라 그냥 자신의 경험을 서술해준다고나 할까요?

암튼 어떤 게시판 글 읽다가 내용을 조리있게 잘 쓰신것 같아 원본+의역 올릴께요. (개인적으로 내용에 다 동의하는건 아니지만 그것과는 별개로..)

Hello everyone, I am a female, 39 years old, and "on the fence", so to speak, but strongly leaning towards the NO KIDS option. Thank you for posting your stories. I am so grateful for finding this thread and for the honesty with which you are writing.
안녕하세요 여러분. 저는 소위 가임기의 마지노선에 있는 39세 여성입니다만 아이를 가지지 않기로 거의 기울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의견 정말 감사드립니다. 또한 다양한 의견 정직하게 써 주신 이 포슷을 알게 되서 고맙습니다.

I have to decide soon if I will have kids or not and mostly I'm sure I don't want any (although I like most of other people's kids very much) but often my friends who do have kids (or my boyfriend, who wants kids) try to tell me how wonderful it is. I agree that it's a taboo to admit to regretting having them and that parenting is romanticised. Thank God for the Internet and the courage of parents to admit that it wasn't all they expected. I will not let other people tell me what's right for me.
저는 곧 아이를 가질건지 아닌지 결정해야하지만 거의 원하지 않는쪽으로 확신이 서네요. (물론 전 다른 사람들의 아이들을 무척이나 좋아합니다) 하지만 아이가 있는 친구들 (혹은 아이를 원하고 있는 제 남자친구) 은 제게 아이가 있다는게 얼마나 좋은건지 자꾸 말해주려 합니다. 저는 아이 낳은 것을 후회한다고 인정하는건 하나의 금기라는것과 부모가 되는것이 낭만적으로 부풀려졌다는것에 동의합니다. 인터넷 덕분에 그리고 용기있는 부모님들 덕분에 아이를 낳아 기른다는건 항상 기대치에 맞아드는게 아니라는것도 알게되었구요. 그래서 전 다른 사람들로 하여금 무엇이 나에게 옳은건지 결정하게 만드는 우를 범하지 않으려고 합니다.

I also think it's a delusion to have kids as though to not be alone in old age. If you have a friendly personality and are open and optimistic, you will always have friends (friends are the family YOU can choose). If you are lonely and depressed now you will be just as lonely and depressed (maybe more) if you have kids.
그리고 나이가 들어 외롭지 않으려고 아이를 가지는건 일종의 자기 기만 (혹은 망상)이라고 생각합니다. 자신의 성격이 친절하고 열려있으며 긍정적이라면 언제든지 친구들을 사귈수 있을꺼예요 (친구라는건 자신이 선택할 수 있는 가족이니까요). 하지만 자신이 현재 외롭고 우울하다면 아이를 가진후 똑같이 (어쩜 더) 외롭고 우울해 질꺼라는거죠.

Having kids to become "whole" is a bad idea. Try to become whole by yourself first, build up your self-esteem, become more optimistic and you will be happy no matter what, with or without kids. Last but not least, I would like to repeat what someone said here on the board, that having regrets is a choice, as is being happy. You have got all the power already inside you, use it and be happy.
'허전함을 채우기 위해' 애를 갖는다는건 좋지않은 생각이예요. 먼저 스스로가 꽉 찬 사람이 될 수 있게 노력하는게 어떨까요. 즉 자존감을 쌓고 좀 더 긍정적인 사람이 된다면 어떤 경우든, 애의 여부에 상관없이 행복해 질겁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이 게시판에 누가 쓰신 말을 한번 더 반복하고 싶은데요, '후회를 한다는 것'은 그저 하나의 선택일 뿐입니다. '행복하다는 것' 처럼요. 우린 그럴수 있는 파워를 이미 우리 내부에 갖고 있으니 그걸 사용해서 행복해지시길.
IP : 178.208.xxx.112
2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2.12.27 11:54 AM (203.249.xxx.21)

    헉///
    솔까말 82 댓글보다...수준이 좀 높은 듯 해요^^;;;;;;;;;;;;;;;;

  • 2. --
    '12.12.27 2:41 PM (121.164.xxx.116)

    후회도 선택이라...
    생각할만한 글 잘 읽었어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200742 혹시 구더기젓갈 방송 보신 분 계세요? 1 착한 젓갈 2012/12/27 1,233
200741 연하와.. 썸씽있는 여성들.. 14 ........ 2012/12/27 11,525
200740 신용정보조회? ........ 2012/12/27 376
200739 박원순시장이 과연 재선이 될까요? 36 ... 2012/12/27 4,076
200738 세탁기가 자꾸 얼어요 5 찡찡이 2012/12/27 1,550
200737 꼬미 방학때 보여주려고 로보카폴리 뮤지컬 예매햇네용ㅎㅎ 꽃밭 2012/12/27 588
200736 저희 부부 돈관리법..어떤가요? 개선여지 있나요? 2 커피한잔 2012/12/27 1,353
200735 녹색정책과..... 1 나도모르게 2012/12/27 325
200734 오늘,배치표 보니깐,중앙대경영=지방한의대.한의대 많이떨어졌네요... ,, 2012/12/27 2,464
200733 문재인님 트윗 올라왔어요. 17 노란색기타 2012/12/27 4,520
200732 샌트륨실버와 프로폴리스만 어디서 구입할까요? 8 지금필요한건.. 2012/12/27 1,818
200731 분당 쪽에 멀버리 핸드백 파는 곳이 어디에요? 1 오십 아줌마.. 2012/12/27 1,263
200730 샤워기에서 온수를 적정 온도로 맞추기 힘들어요 1 답답한 샤워.. 2012/12/27 834
200729 왜 이렇게 친노친노 하는건가요? 36 궁금 2012/12/27 2,258
200728 마이너스 통장, 현금서비스, 대출.. 중 어떤게 좋을까요? 9 500만원 2012/12/27 2,026
200727 연속극 가족의 탄생에서 식당 쥔이 갑자기 패션회사 사장이 된 까.. 2 ... 2012/12/27 941
200726 공유, "박정희 멋진 남자" 7년 전 발언 18 ㄷㄷㄷ 2012/12/27 6,385
200725 국채 6조씩 5년이면 30조고 1 ... 2012/12/27 797
200724 해남유선관... 11 치유가필요해.. 2012/12/27 3,635
200723 볼보의 위엄 ㄷㄷㄷㄷㄷㄷㄷㄷㄷㄷㄷㄷ 2 테스트 2012/12/27 2,464
200722 물러진 김치도 요리하면 괜찮을까요? 4 하늘 2012/12/27 869
200721 6살 아들아이때문에 돌아버려요.. 7 .. 2012/12/27 1,568
200720 예금 금리 어디가 높은가요? 8 납작공주 2012/12/27 2,315
200719 오리고기 기름제거는방법 3 유정 2012/12/27 2,972
200718 노무현대통령과 그가족을 폐족으로 모는 사회 29 새시대 2012/12/27 3,7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