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자기발전을 위한 책을 읽을때...

조회수 : 1,331
작성일 : 2012-12-24 17:52:53

2013년에는 책을 많이 읽어볼까하구요. 새해 계획을 세우는 중인데요.

책도 자~알 읽어야 하는거겠죠? 디립다 소설책만 읽어대는건 아니겠죠?

 

책 잘 고르는 방법좀 알려주세요. 너무 멍하니 하루 하루 보내는것 같아서요.

자기발전을 위한 독서방법이라고 해야할까? 알려주세요.

IP : 211.114.xxx.137
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딴지라다오
    '12.12.24 6:03 PM (122.34.xxx.59)

    그것은 알기 싫다 에서
    8회 안아푼데 청춘이다 들어보세요.
    그런 자기개발 서적들이 다 ㅅ기라는 건 여러군데서ㅜ말이 나온거고
    전세계에서 미국과 우리나라만 그런책이 있다고합니다.
    미국도 대량해고를 하면서, 해고자들에게 희망을주려고 그런책들 찍어냈다는게 정설이에요.
    그런책들을 읽으면, 지금 내가 돈없고 힘든건 내가 게을러서고 순전히내탓이고
    뭔가노력하면달라질거란 말도안되는희망을 갖게하죠.
    한마디로 사기라고 심리학교수님등등 여러 분이 말씀하시는거 많이 들어봤어요.

  • 2. 일본
    '12.12.24 6:08 PM (61.21.xxx.254)

    일본이 엄청 많은데요..?
    한국서 처음 유행하는 서적 중 반 이상이 일본 거 베낀 거였어요.
    일본인들이 워낙 쫌스러워서 심리학에 기반을 둔 자기계발 서적 진짜 많거든요. 문고본으로 많이 나와요
    그리고 워낙 고령화 사회라서 40대 50대 계발 서적이 호황을 이룬 건 꽤 됐구요.
    한국에선 몇년전부터 마흔에 관한 서적이 나오기 시작하죠.. 이젠 힐링이 사회 키워드가 됐구요.
    (그 전에 한국은 자기 계발이라기보다는 ''재테크''에 관한 책이 주류였죠)

    미국이랑 우리나라만 있다는 분석은 어디에 근거한 건가요?
    갠적으로 관심이 많아서 그런데 알려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3. 대만도
    '12.12.24 6:19 PM (112.104.xxx.196) - 삭제된댓글

    그런 책들 엄청 많아요.

  • 4. 대만도
    '12.12.24 6:21 PM (112.104.xxx.196) - 삭제된댓글

    원글님 글에 대한 제 의견은 고전 명작이란 책부터 시작해보세요.예요.
    나이들고 읽어보니 그런책들이 인간에 대해 잘 파악하고 있는 거 같아요.
    재미도 있고요.

  • 5. 저도 고전 추천
    '12.12.24 6:38 PM (61.21.xxx.254)

    ''자기발전을 위한''이라는 제목이 참 애매한데요. 연령이나 성별, 현재 처한 상황에 따라 당장 읽어야 할 책이 조금 달라진다고 생각하기 땀에..현재 딱히 힐링 받아야 될 일이 없으시다면 윗님 말씀대로 고전이나 인문학에 관한 책을 천천히 읽어 보세요. 역사 철학 등등요...
    힘든 시기에 심리학 치유서, 자기계발서 등등 많이 읽어봤지만 그때만 위로가 되고 장기적으로는 별로였어요.
    게다가 요즘엔 좋은 말들은 다 인터넷에서 회자되고 있으니 듣고 힘낼 수 있는 말들은 그때그때 적어놓으시면 도될 거 같아요. (자기만의 파이팅 어록) 힐링하며 미래 대비하자는 책은 연령대에 맞춰서 한 권 정도 좋은 거 읽어 보면 될 것 같구요.. 나머지는 아무래도 스토리가 있는 깊이 있는 책을 읽어 가는 것이 생각하는 힘도 기를 수 있고 좋은 것 같습니다. 82에도 리스트 있고 검색해 보면 쓸만한 리스트 나올 거예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201629 바자회 시작된건가요?ㅇ_ㅇ; 4 ,,, 2012/12/30 1,369
201628 홍대 근처 미대입시 하숙하는아이들 많은가요? 32 kimjy 2012/12/30 3,703
201627 mbc정직원 대상탔네요.. 52 2012/12/30 14,788
201626 한글교육 엄마표로 하기에 좋은 방법 노하우 부탁드려요 9 어멈 2012/12/30 1,639
201625 지금 가요대전 카라;; 2 우짤꼬 2012/12/30 2,278
201624 혹시요....유혈 시위가 온다면 거리에 나갈분 있나요 34 진홍주 2012/12/30 6,169
201623 안철수만 당했나? 59 ..... 2012/12/30 7,526
201622 수개표 바락바락 반대하는 글 보면, 그래 하지 말아야겠다, 설득.. 7 부질없는 설.. 2012/12/30 1,147
201621 아고라에 민주당이 나서지 않는 이유 ㅜㅜ 2012/12/30 1,215
201620 장시간 공부하기 편한 의자 추천해주세요. 3 . . . 2012/12/30 3,304
201619 박 당선인 100% 대한민국 첫 시험대 노동계 끌어앉기 2 호박덩쿨 2012/12/30 1,310
201618 예민하고 안자던 아이가 초경 후 잠충이가 되었어요 ㅡ.ㅡ 21 ***** 2012/12/30 4,119
201617 휘슬러 솔라 압력솥 제일 큰 사이즈 질문드려요 1 초대형 2012/12/30 1,510
201616 태민이와 김원준이 같이 섰는데 김원준 외모가 갑이네요. 7 김원준 2012/12/30 4,709
201615 글로벌초일류 기업 삼성은 탈세도 초일류 7 우리는 2012/12/30 1,310
201614 대선 부정투표 관련 미주 유권자 성명서에 대한 두가지 반론 24 무명씨 2012/12/30 2,252
201613 어그 신어보니 신세계, 몸의 체온이 더 올라가는 듯해요.. 3 어그 2012/12/29 3,965
201612 심증은 있는데 물증이 없다? 7 .... 2012/12/29 1,827
201611 이거 수학을 잘 몰라서 누가 설명을 해주세욤. 5 가을아이맘 2012/12/29 1,187
201610 핸드폰화면에 동기화표시떠있고 작동이 안되요 1 핸드폰 2012/12/29 1,062
201609 곽노현 교육감을 도와야하지 않을까요? 22 2번찍은오십.. 2012/12/29 3,380
201608 홍대에서 이자까야 가격 저렴한 곳 알려주세요~ ^.^ 2012/12/29 931
201607 박시후땜에 역전의 여왕 시작했는데요 2 시후앓이 2012/12/29 1,807
201606 이 밤을 보내며 생각나는 한 여성 2 *** 2012/12/29 2,033
201605 폴라로이드 밑에 자동으로 이름 새겨주는거... 카르마 2012/12/29 1,0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