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만두소에 넣는 숙주나 당면은 데쳐서?

김치만두 조회수 : 2,079
작성일 : 2012-12-23 14:04:48


만두는 빚어만 봤지 소를 직접 만드는 것은 처음입니다. 
재료는 두부 두 모 ,김치, 숙주, 당면 이렇게 넣을 건데요
두부는 눌러서 물 빼놨고 당면은 찬물에 오래 불려서 건져놨고 김치는 살짝 씻어 물기 짤거고 숙주도 씻어 뒀어요.
여기서 당면과 숙주는 데쳐서 넣어야 하는 건가요?
숙주가 너무 생생하게 살아 있는 걸 보니 데쳐서 넣는게 맞을거 같기는 한데...
숙주 외의 다른 재료는 꼭 익혀 넣지 않아도 되겠죠? 


IP : 125.187.xxx.175
6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올리비아
    '12.12.23 2:12 PM (114.201.xxx.114)

    저는 숙주 데쳐서했어요 숙주에서도 물기가 많이 나오니까요 당면은 불리셨으니 삶진않아도 될거같구요 저는 표고버섯있음 그것두 넣고했네요 맛있게 만들어드세용 ~

  • 2. ㅇㅇ
    '12.12.23 2:14 PM (211.237.xxx.204)

    당연히 데쳐야지요. 안데치면 빚기도 힘듭니다.
    데쳐서 물기 꼭 짜내세요..

  • 3. 만두소
    '12.12.23 2:45 PM (112.184.xxx.53)

    모든 재료는 최대한 물기없이 만들어야 좋아요~

  • 4. 소심이
    '12.12.23 2:55 PM (112.149.xxx.182)

    숙주 살짝 데쳐 쫑쫑썰어 꼭 짜구여, 당면도 데치는데 너무 오래 데치면 불어버리고 덜데치면 질겨서 자르지를 못해요. 적당히 삶는게 중요하구여. 재료중 대파가 빠졌어요 대파가 많이 들어가야 맛있던데요. 계란, 참기름두여~

  • 5. 크래커
    '12.12.23 3:15 PM (126.114.xxx.138)

    숙주 살짝 데쳐서 물 꼭 짜고요 쫑쫑 썰어요.
    당면은 불려서 사용하는데, 당면을 넣으면 만두소의 물기를 흡수해준다고 하니 너무 삶아 팅팅 불은상태에서 하지 마시고 적당히 데치거나 뜨건물에 불려서 사용하세요

    그리고, 일본에서는 오이스터 소스나 간장도 살짝 넣어서 밑간을 하던데, 해보니 맛있어요.
    아!!!!!!!!!!!!!부추 안넣으시나요?

  • 6. ...
    '12.12.23 4:01 PM (1.235.xxx.141)

    전 숙주, 당면 다 데쳐서 사용해요 고기도 익혀서 속 만들어놓고 간 봐가면서 만들어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200383 같은 디자인이면 소가죽/양가죽 가방 어떤게 낫나요? 4 가죽 2012/12/26 5,769
200382 언제나 80점 1 항상 80 2012/12/26 925
200381 원형 의자 그냥 가져가실 분! 1 즐겨요워터 2012/12/26 1,305
200380 양념이 많아도 너무 많이 묻어있는 묵은지 6 ..... 2012/12/26 1,354
200379 아는 사람과 땅을 공동명의로 샀는데 저희 탓을 하는데... 5 누구 탓이 .. 2012/12/26 1,982
200378 아이디어 선물 어디서 사면 좋을까요? 6 ... 2012/12/26 856
200377 대전사는 분들 도와주세요 ^^ 2 대전주민이 .. 2012/12/26 845
200376 홈쇼핑에 파는 벌집 모양 카 매트 좋은가요? 5 ..... 2012/12/26 1,340
200375 옷사이즈가 어떤지 물은질문에 답변이 4 이게 뭔소리.. 2012/12/26 1,059
200374 1월 중순 LA 날씨 어떨런지요? 플라이마미플.. 2012/12/26 5,106
200373 김장 김치가 짜도 너무 짜요. 14 흑흑 2012/12/26 14,427
200372 크리스마스 선물~ 팔랑엄마 2012/12/26 400
200371 이사 조언 부탁드려요 절실해요..ㅜㅜ 4 분당 2012/12/26 772
200370 방과후 영어 어떤가요? 궁금 2012/12/26 902
200369 민주당은 우클릭이 필요하죠 7 ... 2012/12/26 769
200368 국민대와 과기대, 산업대 16 정시지원 2012/12/26 4,366
200367 정의롭게 살려고 노력하지 마세요. 12 화화 2012/12/26 2,625
200366 동네에 인품이 뛰어나게 훌륭한분이 조중동만 봐요 이건뭐죠? 10 ... 2012/12/26 1,767
200365 학원과 학원사이에 출출할때 먹을 간식으로 어떤종류 싸주세요.?.. 2 아이 간식 2012/12/26 1,174
200364 아 제발 난방좀ㅠㅠ 15 Ashley.. 2012/12/26 4,912
200363 윗집 개가 하루종일 울어요 ㅠㅠ 2 2012/12/26 1,348
200362 4월 재보선 의석수가 자그마치 15석!82쿡 정신줄 놓지 맙시다.. 10 이명닭 2012/12/26 1,978
200361 영어 잘하려면 어찌해야 할까요? 1 영어 2012/12/26 783
200360 부모님 칠순때 형제들 똑같이 부담했나요? 17 궁금 2012/12/26 5,875
200359 방학동안 피아노학원 한달동안 쉬어도 괜찮을까요?? 3 해바라기 2012/12/26 2,5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