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만두소에 넣는 숙주나 당면은 데쳐서?

김치만두 조회수 : 2,158
작성일 : 2012-12-23 14:04:48


만두는 빚어만 봤지 소를 직접 만드는 것은 처음입니다. 
재료는 두부 두 모 ,김치, 숙주, 당면 이렇게 넣을 건데요
두부는 눌러서 물 빼놨고 당면은 찬물에 오래 불려서 건져놨고 김치는 살짝 씻어 물기 짤거고 숙주도 씻어 뒀어요.
여기서 당면과 숙주는 데쳐서 넣어야 하는 건가요?
숙주가 너무 생생하게 살아 있는 걸 보니 데쳐서 넣는게 맞을거 같기는 한데...
숙주 외의 다른 재료는 꼭 익혀 넣지 않아도 되겠죠? 


IP : 125.187.xxx.175
6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올리비아
    '12.12.23 2:12 PM (114.201.xxx.114)

    저는 숙주 데쳐서했어요 숙주에서도 물기가 많이 나오니까요 당면은 불리셨으니 삶진않아도 될거같구요 저는 표고버섯있음 그것두 넣고했네요 맛있게 만들어드세용 ~

  • 2. ㅇㅇ
    '12.12.23 2:14 PM (211.237.xxx.204)

    당연히 데쳐야지요. 안데치면 빚기도 힘듭니다.
    데쳐서 물기 꼭 짜내세요..

  • 3. 만두소
    '12.12.23 2:45 PM (112.184.xxx.53)

    모든 재료는 최대한 물기없이 만들어야 좋아요~

  • 4. 소심이
    '12.12.23 2:55 PM (112.149.xxx.182)

    숙주 살짝 데쳐 쫑쫑썰어 꼭 짜구여, 당면도 데치는데 너무 오래 데치면 불어버리고 덜데치면 질겨서 자르지를 못해요. 적당히 삶는게 중요하구여. 재료중 대파가 빠졌어요 대파가 많이 들어가야 맛있던데요. 계란, 참기름두여~

  • 5. 크래커
    '12.12.23 3:15 PM (126.114.xxx.138)

    숙주 살짝 데쳐서 물 꼭 짜고요 쫑쫑 썰어요.
    당면은 불려서 사용하는데, 당면을 넣으면 만두소의 물기를 흡수해준다고 하니 너무 삶아 팅팅 불은상태에서 하지 마시고 적당히 데치거나 뜨건물에 불려서 사용하세요

    그리고, 일본에서는 오이스터 소스나 간장도 살짝 넣어서 밑간을 하던데, 해보니 맛있어요.
    아!!!!!!!!!!!!!부추 안넣으시나요?

  • 6. ...
    '12.12.23 4:01 PM (1.235.xxx.141)

    전 숙주, 당면 다 데쳐서 사용해요 고기도 익혀서 속 만들어놓고 간 봐가면서 만들어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216520 돼지같은 남편 때문에 너무 힘들어요. 3 ㅇㅇ 2013/02/06 3,359
216519 지갑 없어서 지하철 근무자에게 말했더니 그냥 타라고 하셨어요 5 나라 덕 봤.. 2013/02/06 2,351
216518 몬테소리 유치원, 7세 활동적 남아 입학 어떤가요? 4 유치원 2013/02/06 2,227
216517 국정원 직원보다 열심히 여론조작한 일반인? 1 뉴스클리핑 2013/02/06 621
216516 82님들 진짜 한우 맛있는 고기 파는 싸이트 추천해주세요~ 17 컴앞대기 2013/02/06 2,282
216515 커텐바란스만 똑같은 걸로 다시 살 수 있을까요? ... 2013/02/06 726
216514 갤노트2 ,아이폰5 둘 중에 뭐가 좋을까요? 10 .. 2013/02/06 1,714
216513 텀블러? 보온병? 커피 용기 추천 부탁드려요 5 커피 2013/02/06 1,461
216512 野, 李대통령 인터뷰에 '발끈'…"자화자찬에 할 말 잃.. 2 오늘도웃는다.. 2013/02/06 924
216511 또 지각이네요 1 ... 2013/02/06 785
216510 마늘즙 추천좀해주세요 1 건강 2013/02/06 799
216509 60대 초반..지인께 선물. 홍삼정과? 홍삼절편? 도움주세요. 2 선물. 2013/02/06 979
216508 디지털대학원 어떨까요? 1 열공 2013/02/06 900
216507 중1과학문제 부탁드립니다. 2 알아야 하는.. 2013/02/06 750
216506 2월 6일 경향신문, 한겨레, 한국일보 만평 세우실 2013/02/06 531
216505 공주보, 4대강 구조물 무너져 내려 3 뉴스클리핑 2013/02/06 1,134
216504 피아노 중고가 더 좋다는 말 정말일까요? 14 피아노 2013/02/06 3,357
216503 노무현재단 李대통령 인터뷰, 교묘한 거짓말 8 나쁜 xx 2013/02/06 1,282
216502 요실금 수술후 5 ,,, 2013/02/06 2,207
216501 여성호르몬 증가 생리통감소 1 ㄴㄴ 2013/02/06 1,536
216500 속좁음 7 zz 2013/02/06 1,708
216499 아이즐거운 카드, 복지로 신청 후 문자메시지 받은 다음에 농협 .. 4 아이즐 2013/02/06 1,714
216498 3인가족 전기세 6490원. 수도 4840원 나왔어요. 8 구르는 돌 2013/02/06 2,707
216497 아이 생일에 꾼 꿈 도와주세요 1 잘되길바래 2013/02/06 964
216496 대학..보내야겟죠? 11 코스모스 2013/02/06 3,3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