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투쟁 세대에 대한 오해...

ㄴㅁ 조회수 : 988
작성일 : 2012-12-23 01:00:29
민주화 운동 한창이던시절..

대부분의 국민이 투쟁한건 아닌거같아요.

그냥 현실에 안주하면서 투쟁하는 사람들 빨갱이 취급하고 대통령은 왕인줄알고 그렇게 산사람이 꽤 많은거 같습니다.

국민의 대다수는 그저 민주주의의 무임승차자일뿐인거 같구요.

아마 박근혜 뽑은 대부분이 그에 속할거에요.  

IP : 124.111.xxx.92
1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51.6%
    '12.12.23 1:01 AM (14.40.xxx.61)

    지금의 여의도 광장
    그 사람 죽기 전에 그렇게 불렀었지요

    516광장이라고

  • 2. ㅇㅇ
    '12.12.23 1:06 AM (121.191.xxx.188)

    일리있는말씀이에요. 하지만 그렇다 해도. 89.9투표율은 이해가 가지 않아요. 근데 자꾸 숫자 516 625랑 연결시켜 말씀하시는 분들은 왜 그러세요?.그들이 우리한테 메세지를 보낼이유가없어보이는데..

  • 3. ㄴㅁ
    '12.12.23 1:08 AM (124.111.xxx.92)

    그쵸 굳이 메세지를 보내고 싶음 애초에 프로그램을 상부지시랑 반대로해서 엿먹이면 더 제대로 고발됐을텐데
    숫자 우연히 겹친걸로 억측들은 그만하셨음. 야당지지자들 단체로 이상한 사람들 만들지 말아주세요 ㅜ.ㅜ

  • 4. ㅡ,ㅡ
    '12.12.23 1:11 AM (182.222.xxx.174)

    물론 대부분의 국민들은 무임승차했지만...ㅜㅜ
    그래도 이건 잘못된 거다, 나한테 피해가 오기 때문에 나서서 말은 못하지만...
    이런 분위기는 있었다고 봐요.


    80년대에도
    운동권으로 적극적으로 활동한 학생들은 소수였지만
    그렇다고 해서 전두환, 노태우를 지지하는 사람은 없었고요.
    다만 용기가 없어서나서지 못하는 경우도 있고
    물론 먹고 놀고 멋부리고 이런 거에만 관심있는 부류도 있었고
    출세지향적인 실속파도 있었고
    학구파도 있었고
    다양했지만..
    아무도 독재를 지지하는 사람은 없었고 광주학살에 대해 분노하지 않는 사람은 없었거든요.

  • 5. 노태우지지??
    '12.12.23 1:15 AM (124.111.xxx.92)

    김영삼 김대중 물리치고 첫 직접선거로 대통령된 그 노태우씨 말씀입니까? 그게 울나라 국민 수준이에요.

  • 6. 노태우지지??
    '12.12.23 1:15 AM (124.111.xxx.92)

    광주학살 아직도 간첩들이 선동해서 일어난 일로 알고있는 사람 많아요. 저도 그얘기 듣고 충격받았는데 그쪽 사람들은 아직도 진심 그렇게 믿고있어요. 김대중 노무현 정권때 역사 왜곡해서 가르치고 있는거라고.

  • 7. 전 80년대에 초딩이어서
    '12.12.23 1:17 AM (61.77.xxx.113)

    182.22님 마지막 광주학살에 분노하지 않는 사람이 없었다고 하셨잖아요...
    근데 그 시절에 독재를 지지하는 사람은 없었겠지만...
    광주학살을 광주사태.광주간첩사건등등으로 둔갑해서
    광주가 흔히 수꼴이 말하는 빨갱이 소굴이었다고 믿는 사람이 태반이었다고
    그만큼 언론이 사실을 왜곡하고 진실을 알리기 어려워서 사실대로 모르는 사람이 더 많지 않나요?

    이건 뭐 테클이 아니고요 정말 궁금해서 여쭙는거에요...그시절에 초딩이어서 전혀 몰라서요...

  • 8. 000
    '12.12.23 1:31 AM (220.255.xxx.48)

    80년대 민주화 투쟁을 한 486세대가 무임승차했다고 하는 분들 시간나면 도서관 가서 그 당시 신문에 난 사진들 한번 찾아 보세요. 정말 일부만 운동하고 나머지가 무임승차했는지..
    그 당시 세대는 목숨 걸고 길거리에서 민주주의를 외친 세대입니다.
    당신들 처럼 책상머리에 앉아서 키보드 두들기며 민주주의 나불대는 세대와 근본적으로 다르다구요..

  • 9. 30년 전 대학
    '12.12.23 1:46 AM (14.40.xxx.61)

    나는 데모 참여 안해도
    데모 학생 못마땅해 하는 교수, 학생들이 우습게 여겼습니다
    데모 학생들 출석미달정도는 대부분의 교수들도 다 졸업 시켜줬구요(사법처리 아니면)

    젊은 분, 소설을 쓰려면
    교본말고 엄마 대학 시절을 물어보고 쓰라

  • 10. ......
    '12.12.23 2:46 AM (182.222.xxx.174)

    아, 모르겠어요.
    전 80년대 후반 대학을 다녔는데요..

    퍼센트로 따지면..학생운동하는 사람들은 소수였어요.
    물론 그때도 시험거부하고, 수업거부하고 그런 행동들은 했어요. 대거 참여했고요.
    하지만 앞장서서 나서고 거리 시위나가고 이런 학생들은 정말 소수였어요.

    87년 6월 몇일이었는지도 잊어버렸네요...15일과 22일이었나? 항쟁때는 많이들 나갔고요.(이때는 저는 안나가고)
    이한열열사 장례식 때...시청앞까지 저도 갔었어요.(이때는 진압 안하고 허용된 집회여서..용기내서 나갔던 것 같아요. 제가 넘 겁이 많아서..ㅜㅜ)
    도저히 가만히 있을 수 없어서 혼자 갔었던 기억나요. 엄청난 인파가 몰렸었어요...

    그래서 대부분 무임승차라는 말은 맞는 말이기도, 틀린 말이기도 한 것 같아요.
    어디까지 개입했느냐의 문제..
    하지만 대부분의 정서는..독재타도, 민주주의열망..이런 거였어요. 울분에도 차 있었고 전두환은 전대갈, 노태우는 노가리...그리고 전두환 부인은 주걱턱..이렇게 희화화하면서 늘 욕했던 것 같고요.

    광주항쟁 당시에는 저도 초딩이고 언론에서 제대로 보도해주지 않고 광주는 고립되어 있어서 대부분의 사람들은 몰랐을거예요. 무슨 폭동사건이 났나? 정도로...//은밀히 소문이 돌았죠. 굉장히 조심하면서 이야기를 해서 눈치로 뭔가가 있다는 정도..
    하지만 대학에 가면 대부분 알게 되죠. 입학하자마자 접하는 게 광주항쟁의 진실이거든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222554 대학교내에 있는 미용실에서 머리해 보신분 계세요? 1 파마하기 2013/02/22 719
222553 창원에 피부과나 성형외과 추천 부탁드려요~ ㅎ 행복한하루되.. 2013/02/22 698
222552 조웅목사 밝혀진 건 어디까지인가요? 1 일사천리 2013/02/22 816
222551 간호조무사어때요??이런저런자격증따고파요!! 7 40대딸자격.. 2013/02/22 3,141
222550 프락셀 많이 아픈가요? 4 .. 2013/02/22 4,165
222549 임신하고싶어요..도와주세요~~ 6 도와주세요 2013/02/22 1,734
222548 소다와 구연산을 혼합해 써도 되나요? 3 질문 2013/02/22 1,488
222547 남자 대학 신입생 입학식때 어떤 옷 입나요? 6 모름 2013/02/22 3,110
222546 저장해 둔 요리 블로거들 주소에요. 533 뽁찌 2013/02/22 51,375
222545 깔리아리 캡슐 네스프레소U에도 호환 되나요? 1 .. 2013/02/22 811
222544 정월대보름날 어머님이 계시는데 음식을 어떻게... 2 help~ 2013/02/22 784
222543 난생처음 이사해요.이사 팁좀 주세요. 1 123 2013/02/22 572
222542 출근길 광역버스안에서 삼각김밥 17 프라다가방녀.. 2013/02/22 3,847
222541 간만에 서울구경 6 4시간의 힐.. 2013/02/22 1,131
222540 소방관 100명, 박근혜 취임식 '의자닦기' 동원 15 세우실 2013/02/22 2,122
222539 융통성(?) 없는 아이 어찌 해야 할까요? 6 .. 2013/02/22 2,694
222538 길냥이 밥을 주고 있는데요.. 3 제가요 2013/02/22 825
222537 중국어 문의 드려요 3 ^^ 2013/02/22 663
222536 보혐 문의 입니다. ... 2013/02/22 456
222535 댁에서 가족건강위해 간단히 하시는일 한가지만 자랑해보아요 26 초보요리사 2013/02/22 2,881
222534 어린이 수영 강습, 몇세쯤 시작하는 게 좋을까요? 5 문의 2013/02/22 7,274
222533 소방관 100명, 박근혜 취임식 '의자닦기' 동원 6 흠... 2013/02/22 1,335
222532 가스비 십만 칠천원!! 뽁뽁이 효과본듯해요!!! 5 25평 확장.. 2013/02/22 2,865
222531 이수에서 목동역까지 자동차로 출퇴근 힘들까요? 4 궁금이 2013/02/22 666
222530 올해 겨울 넘길고 춥네요 1 ㄴㄴ 2013/02/22 7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