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죄송합니다. 제가 무식해서였습니다.

반성 조회수 : 1,785
작성일 : 2012-12-21 05:09:03
선거 전날 도무지 잠이 안와서 오래간만에 한국역사책을 집어들었어요.
제대로 근현대사 읽은적이 어언 백만년전인지라 그냥 박정희는 저에게 독재자라는 '이미지'만 있는 추상적인 인물이였죠. 
전 30대 초반이지만 박정희를 추종하는 사람들이 박정희덕분에 먹고 살만해졌다고 하는 말을 듣고서도 
그래 박정희의 경제개발정책은 성공했었나 보다..라는 생각만 가지고 있었어요. 

박정희 챕터를 읽고 있는 와중 박정희가 우리 경제에 얼마나 치명적인 악영향을 끼쳤는지 알고
충격을 금할수 없었습니다. (죄송합니다 ;;제가 정말 무식했었습니다.)

일단 제가 읽은 부분중, 첫번쨰로 저곡가 정책에 대해 알게 되었습니다. 

저곡가 정책은  네이버 지식백과에 따르면,

이승만 정권하에서 미 잉여농산물의 도입으로 농산물가격이 폭락한 이래 
저임금 유지를 위한 역대정권의 정책적 수단이 되어왔으며, 
특히 60년대 이후 고도성장정책에 따른 저임금에 기반한 수출공업화정책을 지탱하기 위한 
박정희정권의 주요 경제정책으로 채택되었다. 

이 정책의 효과는 
①저임금을 유지하기 위해 노동자의 주식인 곡물가격을 통제하고 노동력의 재생산비를 억제시키는 효과 
②농촌의 저소득 저생활 수준을 유지시킴으로써 농가에서 유출하는 노동력의 가치를 저하시키는 효과 
③농민소득을 상대적으로 감소시킴으로써 저임금 노동력의 주체가 되는 영세농의 창출 및 그 노동자화를 
 촉진시키는 효과 등이다. 

이 정책에 양극화가 심해지고 더 이상 설곳이 없는 농민들은 도시에 와서 도시빈민층을 형성하기 시작했더군요.
그리고 박정희는 농민들의 관심을 돌리기 위해 새마을 운동을 시작하였고요.

박정희 정권은 공화당의 표밭인 농촌의 불만을 무마시키기 위해 
쌀과 보리를 대상으로 <양곡 2중가격제>를 실시, 이전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농산물가격 정책을 실시했으나,
심한 인플레이션으로 인해 정부 수매가격이 일반 농가의 생산비·생활비 상승을 따라잡지 못할 뿐만 아니라 
그 적자폭이 해마다 커져 70년대 농가의 부채가 계속 누적되는 결과를 가져왔다.

전 박정희의 새마을 운동 덕분에 우리 농촌이 그나마 생활이 나아진줄 착각하고 살아왔었습니다.
낡은 지붕 바꾸는것에 눈이 멀어 썩어가는 농촌경제를 보지 못했습니다.
그런데 이 사실을 아는 지금 농민들은 얼마나 있을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두번째로는 재벌기업의 탄생이 바로 박정희때였었다는것을 알았습니다. (아 저는 정말 몰라도 너무 몰랐었습니다.)
박정희의 대기업키우기정책으로 인해 수 많은 중소기업들이 무너지고 중산층이 무너졌습니다.
제가 읽었던 책에 의하면, 당시 열개의 대기업 수입이 대한민국 수입의 40퍼센트를 차지하고 있다고 합니다. 

게다가 일인당 국민 소득은 18퍼센트가 넘었기에 엄청난 수치이지만
물가상승률은 200퍼센트였습니다 ;;;; 
이것은 일인당 부채율이 21배를 넘었다는 것입니다.

모든 부자재, 원자재를 수입에 의존하던 경제구조는 수출을 하면 할수록 적자폭이 늘어나는 기형적 구조를
가지게 되었습니다. 이 떄문에 미국과 일본에 엄청난 차관과 원조가 필요했고,
그떄문에 박정희는 미국의 착한 어린이가 되어야 했고 굴욕적인 한일회담을 하게 되었습니다. 

그런데 사람들의 기억속에서는 박정희는 우리나라 경제를 일으켜 세운 사람으로 인식되고 있는 이유는
단지 국민 소득과 수출의 증가를 과대포장한 언론 플레이에 놀아난것이지요. 

정말 죄송합니다. 저도 이렇게 몰랐었으면서 어떻게 박정희를 찬양하는 사람들을 설득시킬수 있었을까요.

이번 선거에 진것, 제가 무식해서였습니다. 

저는 왜 하필 저 책을 선거 전날 새벽 두시에 읽었을까요.








IP : 109.90.xxx.42
7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반성
    '12.12.21 5:14 AM (109.90.xxx.42)

    저도 지인의 집에 하룻밤 묵으면서 서재에 있던 책을 생각없이 집었던거라 제목이 기억 안나네요. 그냥 한국의역사??같이 평범한 제목이였던걸로 기억됩니다. 고조선때부터 시작됩니다.

    그런데...그 책 주인은 박근혜 지지자라는 이상한 사실..

  • 2. ....
    '12.12.21 5:25 AM (211.215.xxx.116)

    박정희의 수출 달성도 알고 보면 국민들의 땀과 노력을 저임금으로 환산 한 덕분이자요.

  • 3. 00
    '12.12.21 5:33 AM (83.84.xxx.84)

    아는 사람들이 박정희의 공 따위 개나 줘 버려라고 하는 이유죠.
    이것말고도 많아요.
    저도 학창시절에 공부 열심히 했는데 박정희가 괜찮은 사람인 줄 알았어요.
    나쁜놈들이 지네가 못한거 까발려지니까 겁나서 근대사를 한 두줄로 끝낸거죠.
    게다가 시험 범위에도 안 들어가요. 맨 뒤라서..
    이런건 안 알려주고 허구헌날 고조선 삼국시대 달달 외우게 하다니 정말 분통터집니다.
    학교교육만 제대로 됐어도 2030세대에서 박근혜 지지율 10%미만 나왔을거예요.
    인터넷 없었으면 저도 이번에 박근혜 찍었을지도 모르죠.
    그러니 저학력 저소득이 박근혜 찍는 것도 이해가 돼요.

  • 4. ㅋㅋㅋ
    '12.12.21 6:32 AM (121.145.xxx.180)

    박정희는 구테타로 정권잡고 가장 먼저 한 일이 김종필시켜 주가조작으로 한탕하고
    조막만한 주식시장 파탄 낸 겁니다.
    그 다음에 한 일이 화폐개혁이라는 짓거리고
    서민 경제를 파탄낸 겁니다.

    그러고는 미국의 압력에 두손들고 시키는대로 수출주도의 차관경제로 들어갔죠.
    굴욕 한일 협정으로 배상금 받은 거고요.

  • 5.
    '12.12.21 7:11 AM (175.223.xxx.45)

    지금이라도 아셔서 다행이에요
    이리 한명 한명 아셔서 오년뒤엔 달라져있길 바랄뿐이네요

  • 6. 반성
    '12.12.21 7:24 AM (109.90.xxx.42)

    그런데 우리나라가 당시 미국과 일본에 경제 원조를 받지 않았더라면 어떻게 되었을까라는 생각이 듭니다. 자본없이 노동력만으로 우리나라는 당시 무엇을 할수 있었을까. 수출주도형이 아니라면 어떤 방식으로 경제를 살릴수 있었을까.

    저는 잘 모르겠습니다. 하지만 박정희는 분명 우리 국민의 영혼을 놓고 일본과 거래를 했습니다.

    뭐 무조건적으로 민주적인 대통령이 경제를 살리고 그렇지 않은 대통령이 경제를 죽인다고는 생각하지 않지만,
    (하지만 현재까지는 김대중 대통령과 노무현 대통령때 900억이 넘는 흑자시대였지요.)
    나라의 위기가 닥쳤을때 어떻게 대응하느냐에 큰 차이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박정희의 가장 큰 잘못은, 그 위기를 탄압과 무력, 그리고 은폐로 해결하려 했다는것입니다.

    그래서 경제적 위기에 대한 반성없이 어떻게해서든 자신의 권력을 유지하기 위해
    근본적인 문제는 돌아보지않고 겉으로 보이는 성과에만 급급하면서 서민들에겐 희생만 강요했지요.

    그런데 제가 살아보지 않았던 이 박정희 시대의 이야기가
    지금 왜 이렇게 낯이 익은걸까요.

  • 7. 검정고무신
    '12.12.21 7:31 AM (218.52.xxx.100)

    역사는 돌고 도는 것이고 대부분의 개발도상국이나 가난한 나라들의 지도자들이
    자신의 권력과 안위유지만을 생각하는게 본능적인거 같아요
    니들은...주는 밥이나 먹고 만족하고 살고 노후는 자식들한테 기대라..
    어차피 태어날때부터 무식하고 지지리 복없는 니들 팔자지..내탓아니다...
    이렇게 생각하고 국민을 대하는거 아닐까요?

    국민들은 먹고 살기 바쁘니 소수 빼고는 진실을 알려줘도 알아들을 귀가 없고...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205504 조성민 심마담..82에 상주하나요?링크만 걸려도 내리는데? 2 al 2013/01/12 6,067
205503 ebs에서 하는 역사(전쟁), 과학..등등 다큐프로.. 3 궁금 2013/01/12 802
205502 분당 **맘 하우스 악덕업주네요 8 2013/01/12 3,346
205501 걱정 근심 많이 항상 마음이 무거워요....근심 떨치는법 있나요.. 2 걱정 2013/01/12 2,278
205500 청담동 앨리스에서 이소현은 왜..?? 5 ........ 2013/01/12 3,262
205499 비트 생리중에 써도 괜찮을까요? beet 2013/01/12 2,791
205498 고난을 이겨낸 영화, 다큐, 책이나 자기계발서 추천해주세요 13 kle 2013/01/12 1,969
205497 알려줘야 할까요? 망설임 2013/01/12 656
205496 이탈리아, 네덜란드, 영국에서 뭘 사올까요? 6 해리 2013/01/12 1,931
205495 솔치에서 사람똥이 나왔다고 하신분.. 사이트 좀 알려주세요..... 4 솔치 2013/01/12 3,844
205494 처음으로 경매 입찰해야할까.. 2013/01/12 533
205493 졸업앨범 다들 간직하세요? 6 처분 2013/01/12 1,785
205492 내려놓았더니 무산되었던 일이 다시 재개되었던 분들... 계시나요.. 1 어둠의 시간.. 2013/01/12 990
205491 얼굴이 중요해 24 알지못했네 2013/01/12 11,381
205490 아버지를 우상화하는 현상이 갈수록 심해져 과거를 털어놓기로 했다.. 6 --- 2013/01/12 2,003
205489 근데 심마담도 한국에서 초중고는 나왔을텐데 어찌 아는사람이 없나.. 17 심마담 2013/01/12 73,362
205488 컴퓨터를 사려는데 뭘로 사야할까요? 3 드디어.. 2013/01/12 818
205487 레미제라블 봤어요..너무 좋았어요..스포완전약간있음..주의바래요.. 1 뒷북 2013/01/12 1,423
205486 불펜보고 생각 난 제 어머니의 의외인 면 30 남자 2013/01/12 4,541
205485 문자 오타 2 문자` 2013/01/12 518
205484 질염 안가렵기도 하나요? 그리고 재발 막는 법 좀 알려주세요.... 7 ... 2013/01/12 4,505
205483 올 여름 9일 정도 유럽여행 일정 부탁해요~ 1 베를린 2013/01/12 756
205482 오늘 육회했다가 망했어요 (잘하시는분?) 8 뽀로로32 2013/01/12 1,959
205481 자외선차단제 바르고나서 건조할때요 7 o 2013/01/12 2,962
205480 베스트에나온 심씨 13 ㄴㄴ 2013/01/12 9,5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