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의료민영화는 윤곽이잡힌건가요

민영화 조회수 : 1,441
작성일 : 2012-12-20 12:38:32
미국살때 보험회사 가입하고
아플때 거기서 내준 책자에 나온 병원리스트를 보고 그중에서 골라 갔었어요
제가 계약한 보험이 커버되는 병원으로 가야만했던걸로 기억나요
오래전이라 이렇레 기억이나는데 의료민영화되면 미국처럼 되는건가요?
IP : 223.33.xxx.58
6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사탕별
    '12.12.20 12:41 PM (39.113.xxx.115)

    네... 필리핀처럼 부자들이 가는 초호화 병실. 실력있는 의사 들이 포진되어있는 고급 병원과
    군대 야전병원같이 사람들이 바글 바글하고 좋은 의료 시설들이 없는 일반 병원으로 나눠질껍니다

  • 2. 정말
    '12.12.20 12:42 PM (121.165.xxx.189)

    자랑할거라곤 병원 편히 다닐 수 있는거였는데...

  • 3.
    '12.12.20 12:44 PM (223.33.xxx.58)

    이제 집맢병원 골라서 다니던 시절은 끝났군요 ㅠㅠ

  • 4. 자끄라깡
    '12.12.20 12:45 PM (121.129.xxx.144)

    예 그렇게 되는 겁니다.
    영리병원이 생겨서 실력좋은 대학병원 교수들이 그리 가면
    돈 없는 우리는 그 분들한테 수술 못받습니다.

    지금 의료보험 공단에서 지역과 직장으로 쪼개는 일을 하고 있습니다
    이게 민영화로 가는 첫 단계라고 합니다ㅠㅠ

  • 5. 윗분
    '12.12.20 12:50 PM (180.231.xxx.22)

    지역과 직장으로 쪼갠다는게 무슨말씀인가요. . 자세히좀 가르쳐주세요

  • 6. 자끄라깡
    '12.12.20 2:34 PM (121.129.xxx.144)

    원래 의보는 지역과 직장의료가 있잖아요.
    지역은 직장에 비해 재정이 취약합니다
    그래서 직장의보에서 끌어다 매우는 구조죠.
    그런데 이걸 가지고 총선에서 떨어진 정형근이가 의보공단에 낙하산으로 앉으면서
    직장과 지역이 통합되있는건 위헌이다 제소를 합니다.

    아마 이게 통과 되면 지역의보는 상당한 어려움을 겪겠지요.
    그러면 이대로는 안되겠으니 시정이 필요하다 하면서 민영화를 할겁니다.

    지금도 1인당 입원수가 1년에 몇 십일 이상 넘어가면
    병원엥서 나가라고 합니다.실제로 봤어요.

    의보에서 병원으로 지급되는 돈이 딱 정해져 있거든요.
    대학병원들도 적자보는 마당에 계속 할 수는 없으니까.

    '지금부터 민영화 한다' 그러면 반대에 부딪치고 명분도 없으니까
    저런식으로 단계를 쪼개서 눈에 확 띄지 않게 합니다.
    눈 부릅뜨지 않으면 냄비속 개구리 되는 겁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215960 전업주부라서 임의가입 했는데 국민연금 2013/02/04 1,155
215959 산부인과 검사...슬프고 무서워요... 8 .... 2013/02/04 3,874
215958 아래 여성학 이야기가 있어서 한번 보니 남성학도 있나봐요. 3 잔잔한4월에.. 2013/02/04 1,099
215957 설악 한화 쏘라노 호텔형 취사 안되지만 간단한 식기류는 있나요?.. 4 다녀오신분께.. 2013/02/04 3,474
215956 " 사랑 " 이..쉬운분들 계신가요? 5 아파요 2013/02/04 1,488
215955 초등 태권도 3학년부터는 어떨까요? 9 ... 2013/02/04 2,381
215954 생삼 잘라서 냉동해도 되나요?(쉐이크용) 2 인삼 2013/02/04 887
215953 건대 실내디자인 6 어떤가요 2013/02/04 1,438
215952 아발론 샴푸 쓰시는 분! 케이스 사이즈 좀 알려주세요. 2 냐오냐오 2013/02/04 961
215951 죽전문점에선 5 2013/02/04 1,022
215950 아이비리그 나온 사람들은 어떤 일을 하며 사나요? 12 명문대 2013/02/04 3,836
215949 개천에서 태어난 아들... 52 쩝~ 2013/02/04 16,445
215948 콘솔과 협탁의 차이점이..뭘까요? ^^; 2 katlyn.. 2013/02/04 1,087
215947 잘 참는 아이라서 더 안스러워요. 12 ++ 2013/02/04 2,872
215946 가구 바퀴 파는 도매시장? 2 아시나요~ 2013/02/04 535
215945 "국정원女 수사한 권은희 수사과장, 파견근무로 계속지휘.. 뉴스클리핑 2013/02/04 801
215944 아이에게 노래불러주고 싶네요 5 엄마의 마음.. 2013/02/04 452
215943 존스홉킨스대학 박사후과정 수료...큰 의미인가요? 3 .. 2013/02/04 2,168
215942 여러분이라면 이집을 사겠습니까? 6 깔끄미 2013/02/04 1,940
215941 에또네 가보신분 있나요 에또네 2013/02/04 349
215940 슈니발렌 좋아하시나요?? 39 포포퐁 2013/02/04 4,408
215939 시 제목 좀 알려주세요. 5 2013/02/04 552
215938 중고 이쁜 옷이 생겼는데요.. 조카를 줄까.. 친한 지인을 줄까.. 3 사소한 고민.. 2013/02/04 1,295
215937 세종대 3 기도 2013/02/04 1,308
215936 우체국 인터넷 쇼핑 원래 이렇게 버벅거리나요? 1 랄랄라 2013/02/04 5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