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스키배우려면...?

기정떡 조회수 : 1,055
작성일 : 2012-12-12 12:47:51

제 나이 삼년있슴 마흔됩니다...

겨울에 너무 집에만 있고... 체지방이 축적되는거 같아..  겨울에는 특별히... 헬스장을 끊어서... 주욱 다녔어요..

여름에는 덥기도 하거니와... 잘 안다녀지더군요..

전 겨울에... 운동을 더 많이해요.. 의도적으로 하니까 그리되더군요..

한 삼년을...  피트니스 센터가서...  기구 들어올리고... 하니.. 이젠 좀 지루해서..

겨울 스포츠를 즐겨보고 싶어요..

아까 어느 분이 스키와 보드에 관한 글을 올리셨던데...

댓글로 묻어가는 질문을 하려다가... 글이 뒤로 많이 밀려나서.. 제가 글을 올립니다  ^^;

보드는..  멋있어보이지만..

나이도 이제 들어가는데..  부상의 위험이 더 클거 같구요...

스키 한번 배워보고 싶네요...

아이들하고 겨울 스포츠 즐기러 갈수도 있을테구요...

 

제 몸이 찬편이고.. 추위를 좀 많이 타는 편이라..

대학다닐때...   과 선배들..동기들과 여러번 갔었지만...

잘 타지를 못하니..  그렇게 두꺼운 옷에 장갑을 껴도 춥더라구요.. 손발은 다 얼고.. 엄청 고생했던 기억이 있어요...

잘타는 사람들은... 덥다고 하구요..

그때는.. 스키장에서 여러명 모아놓고 강습?을 하던데... 전 별로 도움이 안됐어요...

어디서 접수하고 배워야.. 그나마 조금 소수의 인원으로 알차게? 배울수 있을까요...

참고로 저는 일산쪽에 살고있습니다...

IP : 124.50.xxx.57
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2.12.12 1:03 PM (1.225.xxx.2)

    스키장의 안데데스크쪽에 가시면 스키강습 안내가 있지요.
    주로 애 둘하고 엄마, 아빠 이렇게 4명에 코치 한분 이런 강습을 많이 받아요.
    2:1 강습이나 1:1 강습도 있지만 비용 부담이 아무래도 늘어나니까요.
    초등 정도 아이면 하루 배우면 초급 리프트에 올라가긴 합니다.
    평일에가면 운이 좋으면 단체 강습비용으로 5~6명짜리 단체강습을 받는 기회도 생겨요.
    스키장마다 일산쪽으로 셔틀 버스가 많이 오니 굳이 차 안가지고 하루 코스로 스키장을 다닐만 합니다.
    저는 뉴코아 건너편이나 롯데 앞에서 버스를 타고 용평, 보광 휘닉스 쪽으로 갔어요.
    멀어도 이쪽이 설질이 좋아서요.

  • 2. 기정떡
    '12.12.12 1:10 PM (124.50.xxx.57)

    네... 답변해 주신 여러분... 고맙습니다... ^^

  • 3. 프린
    '12.12.12 1:14 PM (112.161.xxx.78)

    저는 아주 어려서 배워서 스키장에서 하는 강사한테 3일 배웠어요
    운동소질은 없는지라 그냥 여기서 만족하구요
    보드는 중학교때 스키샵 강사한테 배웠구요
    이것도 소질은 그닥이라 그냥 살랑살랑 타요
    남편은 운동신경이 좋아서 결혼하고 보드부터했는데 강사한테 안배우고 그냥 타도 하루만에 저 강사한테 배워서 탔던만큼 타더라구요
    저배울때도 아빠가 아주 잘타셨고 계속 자세 봐주셨고 남편배울때도 아빠가 봐주시고 저도 초보는 아녀서 거들었구요
    그러고 남편은 잘타게 되고는 보드선수한테 자세 교정 받느라고 일주일 했어요
    보드 마스터하고 운동신경이 좋아선가 남편은 스키는 혼자 스스로 타더라구요
    여러 강사 두루 본경우에 초보라면 스키장에 있는 강습 1대2정도가 좋을거 같아요
    운좋으면 그 강습해도 1대1로도 배울수 있고기본적인거 잘 가르쳐 줘요
    스키샵에 있는 알바 강사? 도 강습을 하는데요
    여긴 복불복예요 심하게
    아주 잘 가르치는 강사랑 만날수도 있고 아닌경우도 있어요
    타기는 다 잘타는 사람들이지만 가르키는건 복불복이라
    그래도 스키장 강사는 기본은 하거든요
    운동신경 좋으시면 금방배우세요
    스키는 일단 두발로 서는거라 별로 안어렵거든요
    강습 한두번 하고 주변에 좀탈줄아는 사람있음 더 빨리 배우구요
    넘어지는거 겁내지 마시고 속도 겁안내는 사람이 잘타고 쉽게 배워요
    그리고 초보한테 위험한건 넘어지는게 아니고 다른사람이랑 부딪히는 거거든요
    그것만 조심하심 그리 어렵고 위험하지 않아요
    일산은 지리를 잘 몰라서 어느스키장이 가까운지는 모르겠어요
    원래는 저희 성우를 주로 다녔는데 올해 곤지암으로 옮겼는데 운전 한시간 덜하는게 크네요
    다른곳은 한두번 가본거라 추천하기는 쫌 그래요

  • 4. ..
    '12.12.12 2:42 PM (1.241.xxx.188)

    일산이면 포천 베어스타운만 가도 탈 만해요
    오후되면 사람이 많아지니 새벽이나 아침에 가서 타면 좋은데 춥긴 정말 춥죠
    리프트타고 올라갈 땐 칼바람에 떨다 내려오면 몸이 후끈해져 좋은데
    40가까이 되니 생각만으로도 추워져 갈 엄두가 안나요ㅎ

  • 5. ...
    '12.12.12 3:01 PM (112.121.xxx.214)

    스키장 단체 강습 받아도 배우는데 별 지장 없던데....
    원글님이 스키랑 안맞는게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드네요.
    그리고 대학생때도 스키장이 추웠다면...지금 가시면 뼈가 시릴지도...
    저도 대학생때는 추운줄도 모르고 재밌게 탔는데...지금 가니까 추운게 너무 싫어요...
    부상도 무섭구요...
    젊을때는 부상이 무섭단 생각도 안했고 넘어지면서 배우는게 당연하다고 여겼는데..지금은 부상이 무섭네요...
    뭐하러 굳이 비싸고 시간 걸리는 스키를 하시려는지.
    차라리 에어로빅 같은거 따뜻한 실내에서 땀 뻘뻘 흘리면서 해보시는거 어때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91500 일베는 무슨 돈으로 다음보다 큰 서버를 가지고 있는거죠? 13 궁금 2012/12/15 2,704
191499 선거도장의 ㅅ 사람인자가 아니었네요 2 진홍주 2012/12/14 1,598
191498 사랑과전쟁 막장 시아버지요.. 9 .. 2012/12/14 5,146
191497 근데 KTX 민영화는 왜 하려고 하는거죠? 6 .. 2012/12/14 1,372
191496 국정원녀가 컴퓨터에 보안을 걸어놓았다네요. 18 흔들리는구름.. 2012/12/14 3,800
191495 일베충들은 우리 자식이라고 인정하는 새누리 ㅋ 3 모래시계 2012/12/14 1,143
191494 ....... 1 sigh 2012/12/14 628
191493 유아들도 프로폴리스먹어도 되나요? 5 건강이 2012/12/14 6,696
191492 엠팍 가입하고 싶은데 까다롭네요 6 잉잉 2012/12/14 3,022
191491 오늘도 애썼어요 6 힘내자 2012/12/14 783
191490 생새우 냉장고에서 일주일된거 버려야 하나요? 1 .. 2012/12/14 1,084
191489 정말 그랬으면 좋겟습니다. 2 ㅇㅇ 2012/12/14 589
191488 박근혜 똥줄타나 보네요.. 9 ... 2012/12/14 3,473
191487 십알단 팔로워들이 20만명이나 된다는군요 5 호박덩쿨 2012/12/14 1,368
191486 친족 성 범죄는 근절해야합니다. 2 진실이 밝혀.. 2012/12/14 1,367
191485 어두운 파운데이션 추천해주세요 1 파운데이션 2012/12/14 1,827
191484 냉동된 김치 양념, 새양념과 섞어써도 되나요? 1 질문 2012/12/14 730
191483 아이폰 방해금지모드 알람도 안울리나요 4 2012/12/14 67,796
191482 카톡친구가 갑자기 사라졌어요. 3 ... 2012/12/14 5,300
191481 고3과외비 질문 올렸던 사람이예요. 7 그러면 2012/12/14 2,620
191480 대선 앞두고 있는데 할수 있는게 없네요..... 8 말주변없는나.. 2012/12/14 653
191479 주변에 보면 해피바이러스를 전파시키는 사람 있지 않나요 ? 3 .... 2012/12/14 1,206
191478 케네디의 멋진 연설 Boldly.. 2012/12/14 589
191477 급)스마트폰 물에 빠졌을때 대처법 알려주세요 4 .... 2012/12/14 1,670
191476 청국장을 끓였는데 써요. 8 청국장 2012/12/14 1,6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