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스노우 보드 와 스키 중 어느게 나을까요?

40 대 중반인데 조회수 : 6,551
작성일 : 2012-12-12 10:54:24

운동 신경이 있는 편이었는데...

속도감 있는것은 겁나는 나이예요... ㅎㅎ

 

저는 예전에 스키만 초급 수준.

남편은 스키, 보드 다 잘타구요...

 

그래도 앞으로 오래 같이 탈려면

뭘 시작해야 하는게 좋을까...

준비할려면 비용은 어떨까... 등등 생각이 많네요.

조언 부탁 드려요

IP : 113.199.xxx.210
13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2.12.12 10:56 AM (1.241.xxx.188)

    보드보다 스키요
    보드는 멋있긴 하지만 두 발이 묶여 있어 스키보다 부상의 위험이 크잖아요

  • 2. 스키
    '12.12.12 10:57 AM (125.177.xxx.54)

    나이가 있으시니 보드 보다는 스키가 낫지 않을까요?
    나중에도 계속 타려면요....

  • 3. ..
    '12.12.12 10:58 AM (112.170.xxx.82)

    저도 비슷한 나이인데 저 운동신경 좋고 뭐든 금방 배우는거 잘 아는 강사도 보드는 말립디다 그냥 스키 타라고.

  • 4. 40대 중반
    '12.12.12 11:01 AM (113.199.xxx.210)

    어머 여쭤 보길 잘했네요^^
    점 두개님처럼...은근히 어쩜 난 할 수 있을지도 몰라 했는데... 감사^^

  • 5.
    '12.12.12 11:05 AM (125.131.xxx.50)

    보드 12년 탔는데..특히 여자한테 진짜 안좋은 운동이예요 ㅋ 우아하게 스키로 넘어가려고 생각중^^

  • 6. ..
    '12.12.12 11:10 AM (119.67.xxx.75)

    올 겨울 보드 집중해서 배우려 했는데...
    윗님 여자에게 안 좋은 점이 뭐지요?

  • 7. 전 외국에서
    '12.12.12 11:12 AM (122.34.xxx.34)

    스키 엄청 탔었는데요 ..여긴 지형상 워낙에 스키장이 전 미국적으로 유명하게 발달된 동네인데
    7순넘어가는 머리 백발인 할머니 할아버지들이 손 꼭잡고 와서
    날라다니며 스키타요
    등급이 한 일곱 여덟 단계인데 전문가에게만 권한다고 되있는 최상급 .그냥 경사가 70도 되는 허벅지 깊이
    눈산을 스치며 날라다니시는데
    그분들이 스키 배울적엔 보드가 없어서 그랬는데 나이들어 보드 타는 분들은 별로 없는것 같아요
    오히려 스키의 고장에선 아이들도 스키 많이 타고 중간에 보드도 탔다 다시 스키로 돌아오고 그러는데
    우리나라의 묻지마 보드 편향이 전 더 이해가 안가더라구요
    여튼 그분들 보니 스키가 젊을때 잠깐이 아닌 평생 스포츠 구나 했어요
    한살이라도 어려서 더 배워두면 부부가 재밋게 즐길수 있는 스포츠 같아요
    여기 스키 오래 타신분들은 헬기타고 산타고 내려오고 (해발 3000미터가 넘어가요 )
    슬로프로 닦아 논걸 자체를 지루해 하시더라구요
    바위가 삐쭉비쭉한 그런 지형에 몇미터씩 바닥에 굳어있다는 snow powder자체를 엄청 즐기죠
    암튼 전 스키 추천요 ~
    보드는 어려서 쌩쌩한 애들도 하도 슬로프에서 넘어지고 나중엔 지쳐서 업어져 있는걸 많이 봐서 그런지 별로 인상이 안좋아요
    배우기도 쉬어보이지 않고 민폐도 끼치는 애들이 많더라구요

  • 8.
    '12.12.12 11:25 AM (125.131.xxx.50)

    음 일단 12년 타보니 무릎 등 관절에 별로 좋지 않고..
    차가운 눈 바닥에 앉아있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기에 자궁이 따듯해야 하는 여성에게 좋지 않고..
    발이 묶여있다보니 특성상 넘어지게 되면 앞으로 퉁 아님 뒤로 쿵인데
    허리 및 특히 하체 부분에 무리가 많이 가더군요. 타면 탈수록 여자한텐 정말 안좋은 운동이란 생각을 했어요 ^^

  • 9.
    '12.12.12 11:29 AM (125.131.xxx.50)

    아 하나 더! 그리고 저처럼 오래타면 허벅지 엄청 굵어져요~~ ㅋㅋㅋㅋㅋㅋㅋㅋ

    ㅠㅠ..

    재미로 몇년 타보긴 좋아요 ^^;;

  • 10. 토실이아줌마
    '12.12.12 11:31 AM (112.151.xxx.169)

    저도 20 대 후반부터 보드를 접해서 탄지는 진짜 꽤 (?) 되었는데요.
    보드는 일단 관절에 무리가 많이 가는 운동은 맞는 것 같에요. 물론 기초 체력이 받쳐주지 않으면
    리프트타고 올라가서 한번 타고 기운 빠지는...그래서 보드를 한시즌 제대로 타려면 봄 여름 가을
    헬스든 뭐든 근력을 잘 키우지 않으면 제대로 못즐기더라구요.

    역에지걸려서 넘어지면 엄청난 통증은 말할것도 없고 나이가 있는 사람들은 몇달까지
    고생하니 일단 시작하신다면 기초 체력이 중요하고 그다음 보호장비 무릅패드 손목패드 엉덩이패드
    헬멧 등등 제대로 갖추시고 시작하세요. 40대에 처음 보드 타는 분들 많이 봤으니 큰 무리는
    없어 보이지만 처음 배우실때 좀 고생은 하실듯 합니다...

    그리고 초보자는 대부분 슬로프에 앉아 있는 경우가 더 많아 충돌의 위험이 더 크긴해요..
    보더와 스키어는 같이 할래야 할수 없는 운명이랄까.. 저도 스키어랑 충돌해서 보드데크 탑이
    부셔진적 있습니다.. ㅠ.ㅠ

  • 11. ,,,,
    '12.12.12 12:29 PM (211.33.xxx.130)

    보드가 체력소모가 스키보다 훨씬 큽니다. 다이어트에 엄청 효과에요. 특히 허벅지살 많이 빠짐...

    그렇지만, 40대에 처음 배우시는 거라면 부상의 위험이 낮고, 체력소모가 적은 스키 추천합니다.

  • 12. ...
    '12.12.12 12:44 PM (110.12.xxx.119)

    아아.. 스키가 체력 소모가 적진 않아요. 제대로 스키판 눌러가며 타려면 허벅지 터져여.
    스키어들이 슬로프 가장자리에 중간 중간 서 있는건 한번에 내려오기 힘들어서 쉬는거에요. 진짜 힘듬.
    보드는 눈밭에 앉았다 일어났다 하면서 바인딩 묶고 풀고 하는게 더 힘들었어요.
    넘어지면 걍 바닥에 패대기쳐지거나 구르거나..
    보드는 허벅지 살 빠지나여? 전 스키 십년 탔더니 허벅지 양쪽 바깥사이드하구 뒤쪽하구 안쪽에 근육이 생겨버렸어요. 딱딱하니 눌러도 눌리지 않는 근육. ^^;;;

    스키 권해드려요. 제 주변에 60~70대 어르신들도 스키 즐기시는분들 많아요.
    보드는 여러분들이 말씀 하셨다시피 부상 위험이 큰데, 주로 골절이 많아요. 손목은 말할것도 없고 어깨.팔목. 엉덩이 꼬리뼈(?).. 무릎.. 제 후배는 평평한 베이스에서 앞으로 푹 꼬꾸라지며 넘어 졌는데 쇄골 골절까지... -,.-;;;

    헬멧 꼭 착용 하시고 타세요.
    뼈 부러진건 깁스 하고 치료 하면 되지만 머리는.. 충격 받으면 데미지가 심해요.

  • 13. ...
    '12.12.12 1:56 PM (175.253.xxx.157)

    저 초딩때부터 스키타다가..어느때인가부터 보드가 대세!
    친구들도 다들 보드를 타고 해서 상급자실력이었던 스키 때려치고 보드 배웠어요~

    전 체대 출신이냐는 소리 들을 정도로 운동신경이 좋은 편이라...^.^;
    금방 배워서 그라운드 트릭도 하고 파이프 들어갈 정도로까지 탔는데..
    다시 겨울 스포츠 한다면 스키로 돌아갈래요;

    아무래도 두발이 묶여 있으니 부상위험도가 큽니다.
    백발이신분이 멋지게 보드 즐기시는 경우도 보긴 했지만...아무래도 젊음의 스포츠일 수밖에 없어요.ㅠ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92380 가드닝 잡지사에서 텃밭가꾸시는 분들을 찾고 있습니다. 1 ssamie.. 2012/12/14 911
192379 수시 올킬-극복방법 6 사노라면 2012/12/14 2,402
192378 대구 수성구 택배지점 전화번호 좀... 4 급해요;; 2012/12/14 1,814
192377 스마트폰 바꾸게되면 메모해놓은것들은? 3 질문 2012/12/14 1,033
192376 십알단 정체가 이렇게 드러나는데도 이래도 네거티브 운운할래? .. 8 호박덩쿨 2012/12/14 1,641
192375 광명점 코스트코 오늘가본 분계세요?^^ 1 코스트코 2012/12/14 1,783
192374 한국인과 중국인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7 아놔 2012/12/14 1,826
192373 지고추 담글때 구멍을 꼭 뚫어야 하나요? 6 문재인대통령.. 2012/12/14 1,530
192372 대선 D-5 박근혜-문재인 경남서 유세 격돌 4 세우실 2012/12/14 835
192371 오전에 부재자 투표하고 왔습니다. 오늘 4시까지인거 알고 계시죠.. 4 투표 2012/12/14 879
192370 이런데도 우리가 지면 우리가 잘못한 거예요. 3 열심히독려 2012/12/14 1,067
192369 초대박 사진이네요 ㅋㅋㅋㅋ미친듯이 웃었네요 ㅋㅋ 13 신조협려 2012/12/14 17,472
192368 제주여행(3월1일~3일까지) 숙소 문의 드립니다. 2 지혜 2012/12/14 979
192367 무늬목 식탁 어떨까요? 1 앙이뽕 2012/12/14 1,564
192366 엠팍애덜 또라이들인게...전라도에서 민주당 몰표 나오는게 9 ... 2012/12/14 2,343
192365 내일 낮 부산역에서 광안리까지는 어떻게 3 부산분들 2012/12/14 2,426
192364 문재인 대통령 후보를 지지합니다. 16 2012/12/14 1,640
192363 손님초대 간편 오븐요리좀 알려주세요~ 11 오븐요리 2012/12/14 2,686
192362 시트콤 패밀리 차지호 옷 어디껀지 아시는 분 3 은사시나무 2012/12/14 1,002
192361 신랑이 저몰래 사채를 쓸려고 합니다. 3 이런일이.... 2012/12/14 2,267
192360 윤모 목사 불법선거운동 관련하여 선관위와 kbs가 신속하게 대응.. 5 나는소설가 2012/12/14 1,356
192359 싱가폴 현미나 보리 가져갈 수 있나요? 5 2012/12/14 850
192358 직장맘들~ 초등생 방과후에 어디 가나요? 4 직장맘 2012/12/14 1,402
192357 26 보구왔어요 근데 댓글중에.. 1 스마일 2012/12/14 1,036
192356 코트 혼용률에서 소재가 여러가지면 안 좋은건가요? ... 2012/12/14 1,211